2018년 9월 25일 화요일

급증하는 폐렴 사망률, 국가별 비교 pneumonia, mortality rate 20180925

탐사 황사마스크 K...


한국의 폐렴 사망률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고령화가 일차적인 원인이지만, 고령화를 배제하기 위해 연령표준화사망률을 비교해도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고, 이러한 추세는 한국을 제외하면 신흥국에서만 나타나고 있다.

대만에서도 한국과 비슷하게 폐렴 사망률이 증가하고 있지만, 연령표준화사망률은 10년 이상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대만의 폐렴사망률은 고령화로 대부분 설명될 수 있다.

한국의 폐렴사망률 증가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고령화 이외의 다른 이유가 필요하다.
몇년 동안 의심받았던 가습기살균제, 미세먼지, 각종 전염성 질환 등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폐렴 - 부상하는 사망원인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7/05/blog-post_14.html

미세먼지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과 공포가 퍼지던 시절 폐질환 관련 유병률, 사망률 등을 조사하던 중 페렴 사망률이 급증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사망원인 통계에 따르면 폐렴은 2017년 사망원인 4위이고, 조만간 사망률이 감소하고 있는 뇌혈관 질환을 넘어서 3위가 될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호흡기질환의 사망원인 중 폐렴과 만성하기도질환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 중 폐렴 사망률은 2005년 이래 지속적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반면 만성하기도질환에 의한 사망률은 느리게 감소하고 있다.

인구구조 변화(주로 고령화)에 의한 영향을 보정한 연령표준화 사망률을 확인해 봐도 폐렴 사망률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선진국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oecd에서 제공하는 폐렴에 의한 연령표준화 사망률이다.
(한국만 통계청 자료를 2017년까지 추가)

폐렴에 의한 조사망률(crude mortality rate)이 증가하는 많은 선진국에서 연령표준화사망률은 정체되어 있거나 감소한다.

한국에서만 폐렴에 의한 조사망률과 연령표준화사망률이 동시에 증가하고 있다.

이렇게 한국에서 유독 높거나 빠르게 증가하는 지표들 중에서 최근 한국에서 핫한 것은 고용과 관련된 것이다.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18/07/blog-post_18.html

한국에서만 다르게 움직이는 지표는 이것이 한국의 미래와 관련된 중요한 변수가 될 가능성도 있고, 간접적으로 다른 중요한 변수의 변화를 드러내는 창이 될 수도 있다.




oecd자료에 포함된 나라 중 지난 몇년간 폐렴에 의한 연령표준화 사망률이 증가하는 나라이다.

에스토니아는 기왕에도 사망률이 낮았고, 15년에 낮아지고 있다.

브라질은 매우 높았고 높아지고 있다.
터키는 낮았지만 급속도로 높아지고 있다.

폴란드, 콜롬비아는 높아지고 있지만 아주 빠른 것은 아니어서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다.


한국과 브라질의 공통점 - 폐렴 표준화사망률 비교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7/05/blog-post_16.html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의 어느 나라도 한국과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으로 비교될 만한 나라로 보이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하면 매우 이상한 공통점을 갖고 있는 셈이다.




한국과 비교하기에 좋은 나라로 대만을 들 수 있다.

한국과 대만의 공통점 - 폐렴 조사망률 비교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7/05/blog-post_24.html

고령화되어가는 인구구조가 비슷하고, 중국과 가깝기 때문에 홍콩, 한국과 더불어 중국의 대기오염원에 대한 노출이 비슷하고, 자동차를 빼면 산업구조가 비슷하고 등등 많은 공통점이 있다.

대만의 폐렴에 의한 조사망률과 연령표준화사망률(대만은 oecd 평균이 아니라 세계평균을 쓴다고)을 한국과 비교하면 한국이 왜 이상한지 저절로 드러난다.

대만의 조사망률은 한국보다 높지만 200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우상향하고 있다는 점에서 동일하다.

그러나 표준화사망률을 비교하면 대만은 2008년 고점이후 횡보하고 있지만, 한국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대만의 표준화사망률은 다른 oecd국가와 근본적으로 다르지 않다.
오직 한국만 달라서 비교대상이 없다.



가습기살균제의 영향은 얼마였든지 사라졌거나 감소하고 있을 것이다.
폐렴 이외 만성 하기도 질환에 포함되었을 수도 있으나 조사망률 자체가 아예 감소하고 있으니 논외이다.

미세먼지와 관련해서는 강력한 증거라고 할 만한 것이 없기는 하다.
그러나 대만, 홍콩 등의 자료와 비교해보면  미세먼지 자체의 폐렴에 대한 영향은 사람들의 우려보다 높지 않을 수 있고, 있다고 해도 오염원에 딱 붙어있는 대만보다 높을 것이라고 상상하기 어렵다.

각종 독감이나 메르스 등이 한국인에게 특별히 더 영향을 줄수도 있겠으나, 과문하다.

폐렴사망률의 지역적인 차이를 보면 특별히 높은 충북 같은 곳이 존재하지만 그것이 한국 전체의 사망률에 영향을 줄만한 규모가 아니다.

작년의 댓글 중 한분께서 언급하신 내용이 있다.
다시 생각해보면 다른 것보다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전반적으로 End of life care가 시설화되면서 요양병원에서 돌아가시는 분이 많은데 거기서 제대로 질 관리가 되지 않아서 폐렴 사망률이 증가하는 것이 아니냐는 가설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연령표준화를 해도 어떤 원인으로 노인의 폐렴사망률이 매우 높다면 표준화사망률이 다른 나라보다 높을 수 있고, 그 원인이 계속 악화되고 있다면 사망률이 높아질 수 있다.




요약

한국의 폐렴에 의한 조사망률 증가는 고령화로 많은 부분이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비교가능한 나라 중 유독 한국에서만 나타나고 있는 연령표준화 사망률의 증가는 고령화와 관계없이 사망률이 급증하고 있는 다른 이유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기왕에 의심되었던 가습기살균제, 미세먼지(중국, 지역), 전염성질환 등으로는 충분한 설명이 불가하다.





-----------------------------------------


대기오염 관련지도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5/blog-post.html

미세먼지가 SO2, O3, NO2보다 덜 중요한 오염물질일 수도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7/05/so2-o3-no2.html


한국 사망원인, 사망률 통계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370710

대만 사망원인, 사망률 톻계
https://dep.mohw.gov.tw/DOS/lp-3960-113.html

oced 사망원인, 사망률 통계
https://stats.oecd.org/Index.aspx?DataSetCode=HEALTH_STAT#


2018년 9월 20일 목요일

미국 주택 거품 US housing bubble 20180920



1년 전에 미국 주택시장 붕괴에 관한 글을 여러편 올렸었다.
fred에서 제공하는 주택시장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타를 바탕으로 정리했던 것이다.

미국 주택시장 붕괴 4 US burst - debt and aging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9/4-us-burst-debt-and-aging.html
미국 주택시장은 한번 더 붕괴되어도 이상하지 않다.
주택가격은 전 세계에서 가장 높고, 미국역사상 가장 높다.
수요공급을 반영하는 재고상황은 5년전부터 악화되고 있다.
가계는 주택을 털어내고 있고, 생산가능인구의 감소가 이 상황을 뒷받침하고 있다.
실수요가 감소해서 가계부채(모기지)증가가 느리지만, 모기지가 필요없는 다른 주체가 가계의 빈자리를 채우고 주택가격을 밀어올리고 있다.
미국 주택시장은 실수요자의 시장이 아니라 전형적인 투기꾼들의 시장이다.

위의 글 이후에도 몇 개의 글이 추가되었으나 결론은 미국 주택시장은 위험하고, 붕괴될 수 있다는 것이었다.

1년 만에 서울 주택시장의 거품에 대한 얘기가 여기저기서 흘러나온다.
내가 보기에 한국 주택시장은 미국 주택시장보다 더한 거품이 있다고 하기 어렵다.
또한 서울 주택시장이 미국 서부의 핵심 지역 주택시장보다 더한 거품이 있다고 하기 어렵다.

미국 주택시장이 붕괴되면 한국도, 서울도 붕괴된다.
그러나 그 정도가 더할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한국 주택시장이 외부의 충격이 아니라 스스로 쌓은 부채의 무게로 내파될 것인가?
알 수 없다.

다만 미국 주택도, 미국 주식도 일년 사이 더 비싸졌다는 것은 명확하다.

일년 사이 악화된 미국 주택시장 관련 그림 몇개만 다시 본다.




주택허가
주택완공
주택허가/완공 비율

허가가 꺾였고, 허가/완공 비율이 무르익고 있다.



주택허가
monthly supply (역축) = 주택재고/월별 판매량



주택허가는 꺾였고, 재고는 올라갈 채비를 하는 것처럼 보인다.




실질주택가격 = 명목주택가격/cpi
명목주택가격
1/monthly supply = 월별 판매량/주택재고 = 재고순환 (전년동월비를 취하면)



명목보다는 실질 주택가격이 주택시장의 순환을 보기에 좋다.

실질은 꺾여있고, 명목은 아직은 아니지만 다음 달 꺾인다고 해도 이상하지 않다.





주택건축허가
주택완공
실질주택가격



셋 중에 둘은 꺾였다.




주택가격 지수 (케이스 쉴러보다 길어서 쓰지만, 짧은 집값지수들의 추세도 대동소이)
가계의 주택담보대출



금융위기 이후 추세는 비슷하지만 대출보다 집값이 더 빨리, 더 많이 올라갔다.




주택가격 지수 yoy
가계의 주택담보대출 yoy
주택가격 지수 yoy - 가계 주택담보대출 yoy



금융위기 이후 상승률로 봐도 주택가격이 부채보다 빨리 올라 간 것이 보인다.
한국에서 최근까지 대출증가율이 주택가격 증가율보다 3배정도 더 높았던 것과는 반대의 상황이다.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이로 인한 금융위기가 발생하기 전에는 미국에서도 대출 증가율이 30년 이상 높았다.
2000년대 초반의 it버블붕괴로 인한 침체는 부채에 영향이 적었지만, 80년대의 더블딥, 90대의 저축대부조합 붕괴는 대출 감소와 동반했다.
미국의 91년 침체는 한국주식시장도 부동산시장도 비켜가지 못했다.





가계의 비금융자산/전체자산 = 주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율  (파랑)
가계의 주택담보대출  (빨강)



미국 가계가 대출받아서 집을 사지 않으니 가계자산 중 주택의 비중이 낮게 유지되고 있다.

Q 1. 가계가 아니면 누가 집값을 올리나?
Q 2. 가계는 왜 집을 안 사나?
Q 3. 가계의 금융자산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는데?

A 1. 기업이 저금리로, 외국인이 현금박치기로
A 2. 집값은 비싸고, 돈이 없고, 빚내기 싫어서, 단독구입이 아니라 아파트에 월세
A 3. 주식 기타





생산활동인구비율
가계의 금융자산 비율

동행하나?
그렇다.

생산활동인구비율이 왜 다시 증가했었나?
멕시코, 이민

생산활동인구비율의 변화가 중요한가?
그렇다. 단 몇달이 아니라 몇년에서 몇십년에 걸쳐서.

가계가 빚내서 집사겠나?
적어도 이번 싸이클에는 어렵겠다.





요약

미국 주택 시장은 일년 전보다 더 위험해졌다.
한국 주택 시장도 마찬가지이다.





-------------
관련


집값 vs 가계부채 - 한국, 미국, 영국, 캐나다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7/09/vs.html

미국 주택시장 붕괴 1 US burst not by NK nuke but by housing bubble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9/1-us-burst-not-by-nk-nuke-but-by.html

미국 주택시장 붕괴 2 US burst - building permit/completion ratio, sold/for sale ratio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9/2-us-burst-building-permitcompletion.html

미국 주택시장 붕괴 3 US burst - real house price vs inventory cycle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9/3-us-burst-real-house-price-vs.html

미국 주택시장 붕괴 4 US burst - debt and aging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9/4-us-burst-debt-and-aging.html

불길한 미국 주택 자동차 doomed us house and auto 20170922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9/doomed-us-house-and-auto-20170922.html

정말 불길한 미국실질주택가격 really doomed US real house price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7/09/really-doomed-us-real-house-price.html

실러교수의 미국주택가격 130년 History of US home price by Shiller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7/09/130-history-of-us-home-price-by-shiller.html

미국 집값과 소유주의 임대료 등가치 House price vs Owner's equivalent rent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7/09/house-price-vs-owners-equivalent-rent.html

믿을 수 없는 100년 간의 미국 실질임대료, unbelievable US Real Rent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7/09/100-unbelievable-us-real-rent.html

한국의 전세비율 vs US Price to Rent Ratio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7/09/vs-us-price-to-rent-ratio.html

미국 기준금리인상과 한국집값, 한국주가, 바뀐 것이 없는 세상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7/09/blog-post_73.html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9/bubble-index.html

일물일가 - 선진국주택가격 house price and exchange rate 20180920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9/house-price-and-exchange-rate-20180920.html



일물일가 - 선진국주택가격 house price and exchange rate 20180920



일물일가 - 선진국 주택가격 house price vs exchange rate 20170910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7/09/house-price-vs-exchange-rate-20170910.html
house price vs exchange rate - law of one price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12/house-price-vs-exchange-rate-law-of-one.html


집값 * 환율 = 달러환산집값

전세계 선진국의 달러 환산 집값은 약 50년 가까이 일정한 범위에서 움직였다.
집값과 환율은 크게 보면 반비례한다고 볼 수 있다.
집값상승은 통화약세와 동반하고, 집값하락은 통화강세와 동반한다.
결국 물가과 환율의 관계는 집값과 환율의 관계와 같다.
경기가 좋고, 달러가 쏠리고, 집값이 오르면 통화강세가 올 것으로 기대하지만, 물가상승의 효과는 통화가치하락으로 귀결된다.

장기적으로 미국도 예외가 아니다.





순서대로 영국, 캐나다, 호주, 미국, 독일, 한국, 일본, 스위스, 중국.
중국을 제외하면 거의 선진국. 중국도 일선도시는 거의 신진국.

미국의 집값을 익숙한 케이스쉴러로 바꾸어도 차이는 없다.
10년을 기준으로 하는 것보다 12년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일물일가의 가설에 더 부합하는 그림을 보여준다.

일물일가의 원칙이 선진국의 집값에 관철된다고 보면 미국의 집값은 지나치게 높고, 일본의 집값은 지나치게 낮다.





국가별 주택가격 그대로.


bubble index



믿을 수 없는 100년 간의 미국 실질임대료, unbelievable US Real Rent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7/09/100-unbelievable-us-real-rent.html
한국의 전세비율 vs US Price to Rent Ratio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7/09/vs-us-price-to-rent-ratio.html
House/cpi = House/Rent * Rent/cpi 전체가치 = 투자가치 * 사용가치
Rent/House = (Rent/cpi)/(House/cpi) 전세비율 = 사용가치/전체가치

전세값은 사용가치에 비례하고, 집값은 사용가치와 투자가치를 포함하는 전체가치에 비례한다.

주택의 전세/매매비율(전세비율)은 전체가치에서 사용가치가 차지하는 비중이다.

역수인 매매/전세비율(PRR, Price to rent ratio)은 투자가치에 비례하는 비례상수로 볼 수 있다.


https://www.nytimes.com/2017/05/18/upshot/how-tales-of-flippers-led-to-a-housing-bubble.html?mcubz=3
via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7/09/really-doomed-us-real-house-price.html

참고로 쉴러교수도 실질임대료의 상승은 주택서비스에 대한 충족되지 않은 수요가, 그 이상의 집값상승은 투자/투기 수요가 설명한다고 보고 있다.
전세냐 월세냐의 차이가 존재하지만 한국이나 미국이나 기본 개념은 다를 이유가 없다.

PRR = Price / Rent
PRR ' = P' - R'
매매/전세비율 = 매매가 / 전세가
매매/전세비율 변화율 = 매매가 변화율 -  전세가 변화율
이것이 서양사람들이 쓰는 PRR을 월세대신 전세에 적용한 것이다.



우연히 유명한 부동산 전문가가 만든 버블지수라는 것을 보게 되었다.
버블지수
=(특정 지역의 매매가 상승률 – 전국 평균 매매가 상승률) – (특정 지역의 전세가 상승률 – 전국 평균 전세가 상승률)

조그만 바꾸어 보자.

bubble index
=(특정 지역의 매매가 상승률 – 특정 지역의 전세가 상승률) - (전국 평균 매매가 상승률 – 전국 평균 전세가 상승률)
= 특정지역의 매매/전세비율 변화율 - 전국평균 매매/전세비율 변화율
= 특정지역 PRR' - 전국평균 PRR'     (미국식)  
= 전국평균 전세비율' - 특정지역 전세비율'     (한국식)

위 식을 요약하면 이렇다.

PRR 상승률이 전국평균보다 많이 높으면 거품.
전세비율 상승률이 전국평균보다 많이 낮으면 거품.


그런데 이것은 주식의 PBR 변화율이 평균보다 높으면 고평가이고, 낮으면 저평가라고 하는 것과 같다.

PBR이나 PER가 자신의 역사적 평균보다 높은지 낮은지 비교하는 것은 상식적이다.
PBR이나 PER가 현재의 시장 평균보다 높은지 낮은지 비교하는 것도 상식적이다.

그러나 PBR의 변화율이 시장평균보다 높으면 거품이라고 하는 것은 그럴듯하게 들리지만 줄넘기로 치면 2단뛰기도 아니고 3단뛰기를 하는 것처럼 보인다.

변화율을 거품지수로 쓰면 거품의 등장을 더 빠르게 포착할 수도 있다.
그러나 거품이 고점에서 한동안 유지되는 고원기(plataeu)가 나타날 경우 거품이 저절로 사라지고 있는 것처럼 착각할 수 있다.
또 특정지역의 PRR이나 PIR은 전국평균보다 수십년이상 높을 수 있다.


부동산에 거품지수가 필요하다면 PIR과 PRR을 평균과 비교하는 정도가 적당하다고 본다.
B1 = 특정지역PIR/전국평균PIR * 100
B2 = 특정지역PRR/전국평균PRR * 100
혹은 
B3 = B1과 B2의 적당한 평균
저렇게 시계열을 구해놓기만 해도 필요한 정보는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사실 price도 충분히 많은 정보를 담고 있고, PIR, PRR도 넘치게 많은 정보를 담고 있다.
여기에 전국평균으로 나누고, 변화율까지 구해야 거품인지 알 수 있다면 그것은 너무 수준높은 거품일 것으로 보인다.





2018년 9월 15일 토요일

레포펀드, rp 레버리지 펀드



단기 자금시장과 관련된 기사들을 확인해보면 mmf 대신 헤지펀드들이 운용한다는 레포펀드 또한 abcp의 위험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레포펀드 설정규모는 약 6조원으로 규모는 mmf의 100조와 비교할 수 없다.
그러나 '4배까지 레버리지를 사용'해서 1일물짜리 rp매도로 자금조달을 하고, 이 자금으로 몇개월 만기의 의심스러운 abcp를 '적극 매수'하는 위험한 상품이다.

자금 조달, 운용 양쪽으로 최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초고위험 상품이라고 볼 수 있다.

마진은 없거나 적자에 가까운 상태에서 헤지펀드 수탁고 경쟁만 하고 있으니 제대로 운영될 지 의심스럽다.


<배수연의 전망대>단기자금시장 뇌관이 된 레포(RP)
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67117
실제 지난 1분기 말에 이어 지난 4월에도 지준일을 앞두고 일부 운용사는 부도위기에 내몰리기도 했다. 한은이 전격적으로 자금을 풀어 극적으로 마무리되면서 부도사태를 면했지만, 해당 이슈는 이후에도 반복해서 나타날 조짐을 보이고 있다.

rp 평균잔고: 17년 기준 64조
rp 매도(자금조달): 증권사 57%, 자산운용사 32%
rp 매수(자금공급): 은행고유 19%, 은행신탁(mmt) 25%, 자산운용사 mmf 31%
자산운용사의 rp 레버리지 펀드: 최대 4배 레버리지, rp 매도 급증의 이유.


대규모 만기때마다 레포금리 급등…익일물 거래 규제하나
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67323
한은 관계자는 "자산운용사가 예전에는 자금을 공급하는 역할을 했는데 현재는 레버리지펀드를 운용하면서 레포를 통해 자금을 조달 하다 보니 공급량이 (상대적으로) 줄었다"고 말했다.

자산운용사들이 rp로 자금조달하는 금액이 증가하면서 공급량이 상대적으로 줄었고, 대부분 1일물 거래라서 유동성 감소에 취약.


커져가는 레포펀드, 증권사 PBS 수익은 '제로'
http://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1808010100001630000102&svccode=00&page=1&sort=thebell_check_time
지난해 초 인하우스 헤지펀드 시장에 진출한 교보증권이 처음으로 상품을 들고 나오며 흥행 돌풍을 일으켰다. 안정형 상품 가입자인 법인고객과 초고액자산가들에 은행 예·적금이나 MMF 대용으로 레포펀드를 추천하며 자금을 대거 끌어모았다.

'레포펀드' 향한 불편한 시선
http://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1808070100010370000671&svccode=00&page=1&sort=thebell_check_time
레포펀드는 RP시장에서 레버리지를 일으켜 확보한 재원으로 크레딧물이나 ABCP 등을 적극 매수해 수익을 내는 단순한 방식으로 운용한다. 이러한 운용 전략 상 PBS가 개입되는 부분은 거의 없다.

현재 레포펀드의 설정규모는 총 6조원, 한국형 헤지펀드 시장의 25%에 달한다.
헤지펀드 수탁고 경쟁으로 은행 예적금, mmf 대용으로 추천.
투자자들이 몰리는 이유는 연 3%에 달하는 높은 수익률때문.


헤지펀드 설정액 23조 돌파, '레포펀드' 성장 지속
http://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1809050100006690000409&svccode=00&page=1&sort=thebell_check_time



요약

레포펀드가 3%에 달하는 높은 수익률로 헤지펀드 시장의 성장을 이끌고 있다.
그러나 단순한 운용 방식에도 불구하고 유사시에 양쪽으로 박살날 가능성이 있는 빛좋은 개살구이다.





터키발 한국 단기금융시장 경색 20180915


정기예금 abcp 증가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6/06/abcp.html
카타르 정기예금 abcp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9/abcp.html
qnb의 교훈 - 위험의 확산, 개인의 소외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9/qnb.html

카타르 qnb관련한 한국의 펀드런이 해결되고 있을 것으로 추측했었다. (아래)
그러나 아직 여파가 진행중이다.

카타르 왕실 전용기, 에르도안 품에…선물이냐 구입이냐 '시끌'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9/14/0200000000AKR20180914119000108.HTML?input=1195m
일부 친정부 언론은 카타르 군주(에미르)의 선물이라고 보도했으나, 야당 의원은 매물로 나온 항공기를 대통령실이 구매했다고 주장한 탓이다.

카타르 왕실 전용기의 가격은 5억파운드, 약 7천400억원이라고 한다.

모비우스 "아르헨 봐라…터키 금리인상 해결책 아냐" 경고
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68071

터키는 이틀 전 외환위기를 막기 위해 금리를 24%로 625bp 올려서 시장의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 냈으나, 이것으로 터키의 금융위기를 막기에 충분한지는 불확실하다.


그림: tradingeconomics
터키 기준금리 24%는 2000년대 초반까지의 80%에 비하면 낮은 편.

터키 문제의 핵심은 에르도안 자체임에도 불구하고, 위기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자체 수술실까지 설치된 초호화 비행기를 구입한 에르도안이 터키를 위기에서 벗어나게 할 지도자로 보기는 어렵다.
기적적으로 에르도안을 권좌에서 몰아내는 미션을 터키가 달성해도 단기간에 개선되기보다는 포퓰리스트 정권이 들어서면서 추가적으로 악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터키와 카타르 사이에서 검은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의 펀드런은 해결단계에 있을까?

망가진 단기자금 시장, 추석 앞두고 아우성
[카타르 ABCP 후폭풍]"최소 30조 자금 묶였다"...A1급 조달 금리도 덩달아 상승
http://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1809120100018410001146&svccode=00&page=1&sort=thebell_check_time


더벨 기사에 따르면 최소 30조원의 자금이 mmf등에 묶여있어서, 단기자금 시장 전체가 '돈맥경화'사태를 겪고 있고, 카드사 등의 일부 금융사는 추석을 앞두고 유동성 구하기에 혈안이 되어있고, 자금인출이 불가능해지면서 cp나 전단채를 통한 자금 조달을 시도하지만 받아줄 곳이 적어지면서 3개월물 cp 금리가 20bp 가까이 상승했다고 한다.
더구나 카타르에 대한 신용리스크가 해결되지 않으면 자금 경색이 해소되는 데는 상당 기일이 소요될 것이라고 한다.



요약하면 현재 한국의 단기자금시장이 개판이고, 단기간에 해결되기 어렵다는 것이다.



금융시장의 선수들도 mmf에 물려있는 심각한 상황이지만, 대한민국의 경제기사는 온통 부동산문제로 도배되고 있다.

총리가 부동산문제 해결을 위해 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초법적인 발언을 해서 부총리도, 한은부총재도 부인하는 쇼를 벌이는 상황이다.
덕분에 저런 신기하고 놀라운 일이 벌어져도 일부러 찾아보지 않으면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조차 알기 어렵다.

기준금리는 보통 한번에 25bp씩 올린다.
그러나 시장은 정치권의 헛소리 잔치와 상관없이 단기금리를 20bp나 올리고 있었다.


----------------
관련

'터키發 펀드런' 진정국면…QNB ABCP 한달새 8000억원 만기 상환
http://www.edaily.co.kr/news/read?newsId=04073766619339792&mediaCodeNo=257&OutLnkChk=Y
시장의 우려를 불식시킬 분기점은 오는 11월이 될 전망이다. 운용업계 한 관계자는 “QNB ABCP의 만기가 오는 11월에 집중적으로 몰려있다”며 “수조원대의 ABCP가 무난히 상환되면 시장에서도 부실화 가능성을 낮게 볼 것”이라고 밝혔다.

11월까지 무사하기를 바람.

A1등급 손절가, 5% 육박…증권사 '로스컷' 주목[카타르 ABCP 후폭풍]뉴로드제사차 발행물 300억 손절...DB운용, ABCP 매도가격 관심
http://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1809120100020080001242&svccode=00&page=1&sort=thebell_check_time

9월 4일 중소형 증권사가 2% 이상 손실을 보고 손절했다고.
9월 6일 db손해보험은 db자산운용의 abcp를 2.27%에 매수했다는데.







2018년 9월 13일 목요일

qnb의 교훈 - 위험의 확산, 개인의 소외


카타르 정기예금 abcp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9/abcp.html

카타르국립은행qnb의 abcp에 투자한 mmf에서 펀드런이 발생했다.
이 펀드런때문에 한국이나 카타르나 전세계에 금융위기가 발생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관련된 문제를 확인해 둘 필요가 있다.


지난 8월 한국의 mmf에서 17.5조원이 이탈했다.

MMF 자금 한 달 새 26조 이탈…일시적 요인
http://www.viva100.com/main/view.php?key=20180913010004671

그런데 8월 8일부터 9월 10일까지만 확인하면 26.6조가 mmf에서 이탈했다고 한다.
전체 mmf설정액이 131.9조에서 105.3조로 급격히 축소되었다.

이중에 법인이 빼낸 자금은 25.5조이고, 개인이 빼낸 자금은 1.1조이다.
이전 기간과 비교하면 법인이 펀드런을 발생시키는 동안 개인은 아무것도 하지 않고 있던 것이다.



법인이든 개인이든 mmf에 넣어 둔 돈을 위험자산에 투자한 것으로 여기는 일은 거의 없다.
원금의 손실이 발생할 것을 예상하지도 않고, 필요하면 언제든지 인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여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국의 카타르은행 정기예금관련 abcp는 10조 전후라고 한다.
터키와 카타르에 위기가 발생해도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은 mmf전체 132조 중에 10조 전후에 불과하나, 한국의 법인은 2.5배에 가까운 액수를 mmf에서 인출했다.



왜 그랬을까?



카타르관련 abcp를 편입한 mmf라면 전부 터키위기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만약 펀드런이 발생하면 인출제한이 생기고, 최악의 경우에는 원금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위험의 확산이 의심되면 먼저 돈을 빼는 것이 최선이다.

26.6조가 전부 카타르 관련 mmf였을지는 알 수 없다.
만약 mmf에 편입된 상품의 정확한 내역을 알 수 없거나 운용사의 정보를 믿을 수 없다면 모든 mmf는 잠재적으로 같은 위험에 노출된 것으로 간주하고 전부 인출하는 것이 최선이다.

8월초 132조의 mmf중에 약 10조원의 카타르은행 abcp가 편입되어 있었지만, 이것은 우물에 독을 탄 것처럼 전체 mmf에 영향을 주었다.

향후에 유사한 위험이 발생하면 유사한 상황을 피할 수 없다.



왜 법인이 전체 mmf의 4분의 일을 인출하는 동안 개인은 거의 인출하지 않았을까?
냉정히 판단해 보니 터키의 위험이 카타르에 확산될 가능성은 낮고, 카타르국립은행의 신용도는 한국의 시중은행들보다 높고, 상품을 파는 증권사, 은행에 문제가 생기면 정부가 나서서 해결을 해 줄 것이라고 믿었을까?

그럴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이다.
개인들은 터키, 카타르의 위험이 mmf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은 아예 몰랐을 것이고 알게 되었을 때는 이미 인출이 제한되었을 시점이었을 것이다.

법인들이 펀드런을 발생시키면서 mmf를 환매, 해지하는 동안 개인은 아무것도 모르고 있었다면 mmf의 위기상황에서 자산운용사의 대응은?


db자산운용을 손자회사로 둔 db손해보험은 손해를 무릅쓰고 카타르은행 abcp를 매입했다.

DB 손보와 DB 운용의 수상한 QNB ABCP 거래
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67494
DB 손보가 매입한 자산의 평균 매입금리는 2.27% 수준이다. 유통시장 거래금리 대비 170bp가량 더 비싸게 사들인 셈이다.
한 업계관계자는 "시장에서는 4%에 거래가 돌고 거래도 거의 이뤄지지 않는 채권인데 DB 손보가 시장 호가 대비 너무 비싸게 받아준 건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한국에서 db그룹의 저런 거래를 일방적으로 욕하기 어렵다.
이미 2년 전에 동부증권에서 2조의 카타르abcp를 만들어 유통시켰었을만큼 동부그룹이 선도적이었기 때문에, 펀드런 관련해서 발생하는 투자자의 민원과 손실은 동부그룹이 무제한으로 감당해야 할 수 있고, 펀드런 환매제한을 초기에 해결하는 것이 길게 봐서 싸게 해결하는 방법일 수 있다.
그러나 db손해보험 투자자 입장에서는 그냥 독박을 쓴 것이다.
위험이 한 회사에서 다른 회사로 넘어가는 것을 피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럼 앞으로는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을 것인가?
전세계적인 위기가 아니더라도 경기하강국면, 경기침체국면은 경기순환과정에서 피할 수 없다.
적어도 몇개에서 몇십개의 국가는 주기적으로 국가부도를 겪게되고, 그런 시기에 개인은 금융사, 법인 대비 매우 취약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정부가 일부를 구제할 수 있으나, 전부를 구제할 수도 전액을 구제할 수도 없는 것은 명확하다.
향후 몇년은 안전자산의 범위는 매우 좁게, 위험자산의 범위는 매우 넓게 판단해야 할 것이다.




요약

전세계 어디에서든 위험이 발생하고 확산되는 과정에서 한국의 개인투자자는 매우 취약한 위치에 놓인다.
알아서 조심하자.



-----------
관련


카타르銀에 몰린 국내 MMF, 터키발 위기 뒤에 숨은 위험이 또 있다
http://withinnews.co.kr/news/view.html?section=1&category=163&item=&no=16352
실제로 국내 뿐만 아니라 제3 세계 개발도상국 등의 금융 포션을 보면 이번에 관심을 일으킨 ABCP와 같은 단일 투자 상품에 상당 부분 이른바 ‘몰빵’투자를 하는 경향이 있다. 상당히 위험성이 있는 일이지만 자행되고 있는 현실이다. 우리나라 역시 일부 MMF가 카타르 은행 ABCP에 30~40% 가량을 집중 투자한 상황이 드러났다. 공모펀드인 MMF의 취지를 무색하게 만드는 부분이다. 이런 취약성들은 매우 위험하고도 어려운 부분이라하지 않을 수 없다.

DB운용 환매 연기에 투자자 불만…당국 "운용사가 판단할 사안"
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65606

DB운용 '구원투수' 나선 DB손보, 카타르銀 ABCP 988억어치 매입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91138131

DB자산·흥국운용 MMF, 듀레이션 규제 위반
http://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1809120100020670001279&svccode=00&page=1&sort=thebell_check_time

터키발 금융위기에 MMF서 17.5조원 이탈...8월 전체 펀드 순자산도 감소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662545

위기의 진앙 ‘구조화 금융’ 몸집 커져… 더 큰놈 올 수도
http://www.hankookilbo.com/v/99644a57165047888bde1cf4e50e0c3f

중국이어 카타르 정기예금 ABCP, 괜찮을까
http://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1605230100040130002440&svccode=00&page=1&sort=thebell_check_time



2018년 9월 12일 수요일

고용동향 8월 - 최저임금 인상 철회해야


장하성의 안전벨트 - 2019년 고용 시나리오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9/2019.html

3개의 시나리오 중 최악에 가깝다.
실업자수, 실업률은 금융위기 당시와 같다.
취업자수 변동치도 금융위기에 버금간다.

정부가 무슨 비상수단을 동원해도 효과가 없다면 원인을 제거해야 한다.
최저임금 인상을 철회하는 것이 유일하게 고용의 추가적인 악화를 막는 방법이다.

아래는 계절 조정한 수치.
계절성이 극단적으로 높은 지표를 과거와 비교하려면 계절조정수치나 전년비(또는 차이)를 봐야 한다.
계절조정하지 않은 지표를 몇개월 뜯어다 비교하는 것은 사기를 칠 목적이다.



위는 14년 이후를 확대한 것.

취업자는 감소하고 있고, 실업자는 금융위기 당시에 육박하는 숫자를 보이고 있다.
실업자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경제활동인구(취업자+실업자)는 오히려 전달보다 증가했다.


경제활동인구는 고용지표 중 유일하게 악화되지 않았고, 금융위기 당시 실업자의 증가가 아니라 경제활동인구의 감소가 실상을 더 정확히 보여주었다.
그래서 정부가 삽질을 멈추면 최악을 피할 여유가 남아 있다는 증거일 수도 있다.




고용률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고, 실업률은 금융위기 수준으로 증가했다.
취업자, 경제활동인구, 실업자 변동치는 모두 금융위기 당시와 비슷하다.

취업자 수와 고용률이 개선되었다는 대통령의 발언은 한달 전에도 지금도 거짓말이다.






계절조정하지 않은 취업자 변동치는 7월 5천명, 8월 3천명이다.

서비스판매종사자는 문재인 취임 혹은 사드보복 전후부터 감소했지만, 단순노무종사자의 감소는 18년 최저임금 인상이후부터 급격해서 고용에 대한 직접적인 타격이 제조업 단순노무직에서 더 컸던 것으로 볼 수 있었다.

8월의 문제는 서비스판매종사자의 감소가 급격히 확대되었다는 것이다.
고용지표의 추가적인 악화가 가능하다는 전조로 보인다.



요약

고용만을 보면 한국의 위기는 이미 시작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년의 최저임금 인상 이후 더한 어려움을 겪지 않으려면 지금이라도 최저임금 인상을 철회해야 한다.




---------------

장하성의 안전벨트 - 2019년 고용 시나리오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9/2019.html

표본 오류로 인해 소득격차가 늘었나?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9/blog-post.html

가계소득 통계 - 사과와 배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8/blog-post_31.html

고용 난장판 - 일자리 안정자금 3조의 효과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8/3.html

가계소득 2분기 - 더 쇼킹
20180823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8/2-20180823.html

고용동향 7월 - 쇼킹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8/7.html

한국 최저임금이 세계 최고 수준일까?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7/blog-post_18.html

고용동향 6월 - 진짜가 오고 있다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7/6.html

생산가능인구과 경제성장률의 교훈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6/20180622.html

바닥이 없는 고용상황 20180615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6/20180615.html

가구별 근로소득 vs 개인별 근로소득 20180615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6/vs-20180615.html

사드보복과 고용쇼크의 관련성 20180614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6/20180614.html

최저임금과 고용쇼크의 관련성을 인정하는 김동연 20180516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5/20180516.html

최저임금과 고용쇼크의 관련을 부인하는 김동연 20180417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4/20180417.html

최저임금과 실업률 minimun wage and unemployment rate 20180412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4/minimun-wage-and-unemployment-rate.html

최저임금인상이 날린 일자리 20만개
http://runmoneyrun.blogspot.kr/2018/04/20.html




2018년 9월 11일 화요일

카타르 정기예금 abcp


정기예금 abcp 증가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6/06/abcp.html
중국이어 카타르 정기예금 ABCP, 괜찮을까
http://www.thebell.co.kr/front/free/contents/news/article_view.asp?key=201605230100040130002440

위는 2년 전의 포스팅과 기사.
아래는 며칠 전의 기사.

터키사태, 카타르 정기예금 기반 유동화증권 상환에 미치는 영향 제한적 - 한기평
http://www.fntimes.com/html/view.php?ud=201809051029424038d94729ce13_18
한기평은 따라서 "터키 익스포저 보유에 따른 리스크가 QNB, CBQ, ENBD의 정기예금을 기초로 발행된 유동화증권의 상환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카타르 은행의 터키 은행자회사에서 부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2년 전에는 발행잔액규모를 알 수 없었지만, 한기평은 10조원을 상회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문제는 '터키'가 아니라 카타르 외교 리스크?
http://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1809030100000530000031&svccode=00&page=1&sort=thebell_check_time
최근 터키발 위기에 카타르은행 정기예금 ABCP를 담은 국내 펀드가 환매 불가 방침을 내놓고 있다.

더구나 카타르 은행의 터키 관련된 리스크뿐 아니라 이란에 우호적인 정책으로 인해 아랍권에서 외교적으로 고립될 위험이 커지고 있다고 한다.


터키 외환 위기에 카타르 투자자 ‘발동동’
http://news.kbs.co.kr/news/view.do?ncd=4032451&ref=A
수시로 돈을 넣고 뺄 수 있는 단기 투자 펀드상품, MMF에 가입한 김 씨는 은행에 상품을 해지하러 갔다, 돈을 뺄 수 없다는 답변을 들었습니다.

시장에서 눈에 보이는 큰 위험도 무시하기 시작하고, 은행, 증권회사에서 개인에게 위험을 떠넘기면서 수수료 따먹기에 혈안이 되기 시작하면 신기하게도 그냥 지나가는 법이 없다.


양매도 etn의 김차장과 은행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8/etn.html

양매도 etn은 그나마 규모라도 작은 점이 다행이라면 다행이다.


-------------
추가

터키발 금융위기에 MMF서 17.5조원 이탈...8월 전체 펀드 순자산도 감소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662545

한국에서 8월에만 17.5조의 자금이 mmf에서 유출되었고, 상당금액이 카타르 abcp에 투자한 mmf였다는 기사가 쏟아지고 있는 중.


"터키 금리인상 미흡하면 리라 또 폭락…2.8%p이상 인상 전망"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9/11/0200000000AKR20180911169300108.HTML?input=1195m
카타르 국영은행 QNB 계열의 QNB파이낸스인베스트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부라크 칸르는 "기준금리를 22% 아래로 유지한다면 리라 폭락의 문이 열릴 것"이라고 경고...

왜 카타르qnb계열에서 터키에 대한 커멘트를 따는지 이해가 되는 듯한 느낌.








2018년 9월 10일 월요일

한미 기준금리차, 한미 장기금리차, 환헤지비용 20180910


금리차 vs 환율 20180227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2/vs-20180227.html

최저임금인상과 기준금리, 환헤지비용 swap point 20180413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4/swap-point-20180413.html

원달러, 환헤지 프리미엄, 해외투자 20160815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6/08/20160815.html



한미 기준금리가 역전된 후 확대되고 있다.
장기금리차도 역전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미국의 기준금리가 상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성장률, 고용, 물가 어떤 지표도 기준금리 상승에 부합하고 있고, 추세는 어느 때보다 강해서 당분간 변화의 가능성도 보이지 않는다.

미국 기준금리 인상으로 금리역전 폭이 확대된 이후 환헤지비용에 해당하는 스왑포인트는 비례해서 확대되었고 금융위기를 제외하면 가장 큰 수준이다.
상대적으로 헤지비용포함 미국채권의 매력은 감소되었고, 한국채권의 매력은 증가되었다.

실제로 16년 하반기 이후 해외채권에 대한 투자는 감소했고, 외국인의 국내채권에 대한 투자는 증가했다.
2006년에도 비슷한 상황이 발생했었다.
차이점은  외국인의 국내채권투자는 2007년 하반기 금융위기가 끝날 때까지 감소하는 방향으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차
미국의 장단기금리차
달러원 환율

미국의 기준금리가 경기후반의 금리차를 결정한다.
환율도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교과서처럼 금리가 높은 쪽으로, 높아지는 쪽으로 달러가 흐르고 환율이 변하는 것이 아니라 그 반대라고 볼 수 있다.






한국과 미국의 장기금리차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차
달러원 환율

장기금리차도 역전된 상태 유지.



그림 출처: 동부증권 보고서 "한미 금리차의 역사와 FX스왑 전망"

보고서 내용이 어렵지만 그림이 훌륭하다.
채권, 외환 시장을 모르는 나같은 사람에게는 그림만으로도 충분.

스왑포인트와 기준금리차는 높은 관련성을 보인다.
금융위기 때처럼 금리차 이외에 국가신용도, 금융시장의 달러수급 등이 영향을 주지만 기준금리차가 일차적인 변수라고 한다.

미국 채권투자시 금리차 0.5%는 1.5% 이상의 헤지비용이 상쇄한다.
장기채권에 대한 환오픈시 불이익을 주는 제도로 인해 해외채권투자가 감소하는 것은 예상할 수 있는 일이다.





실제로 내국인의 해외 채권투자(빨강)는 16년 하반기부터 감소했고, 외국인의 한국채권투자(초록)는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2006년 상황과 비교하면 내국인의 해외채권투자감소는 금융위기 정점까지 지속되었다.
반면 외국인의 국내채권투자는 중간에 방향이 바뀌었다.
금융위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 기준금리차가 다시 상승하기 시작한 이후 외국인은 위험관리모드로 전환한 것으로 보인다.





요약

미국의 기준금리가 상승할 때가 아니라 기준금리가 하락하기 시작할 때 위험이 본격적으로 모습을 드러낸다.
이 때 한미기준금리차가 상승하기 시작한다.
이 때 스왑포인트가 상승하기 시작한다.
이 때 외국인의 채권투자가 감소하기 시작한다.



----------------

추가  20180911

스왑포인트 = 선물환율 - 현물환율
스왑레이트 = 스왑포인트/현물환율*100

韓美 금리 역전에도 한국채권 사는 외국인… 비밀은 환차익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23&aid=0003398015&sid1=001

기사에도 나올 일인지는 모르겠음.






2015 mers summary





확진 vs 신규격리



확진 vs 사망자




20일째 (6월 8일) 환자 발생(확진) 피크.
60일내에 환자 발생 종료.
총 186명 환자 발생.
사망자 36명. (이후 사망자 38명으로 증가)

1명의 환자마다 평균 75명의 신규격리자 발생.
환자발생과 신규격리는 약 7일간의 시차.
평균 격리기간은 5-6일.
환자발생누적곡선과 격리해제누적곡선은 약 12일의 시차.

알려진 잠복기 14일 전후.


이상은 15년 메르스 7월 17일까지 공개된 자료로 확인했던 내용.



2018년 초기대응은 확진과 격리가 과거보다 1주일 이상 빠르게 진행.
그러나 현재 알려진 격리자의 숫자 22명은 과거보다 현저하게 낮음.
빠른 대응으로 격리자 숫자를 낮출 수 있을지는 두고 볼 일.




-----------

http://www.who.int/emergencies/mers-cov/en/
http://www.who.int/csr/disease/coronavirus_infections/risk-assessment-august-2018.pdf?ua=1



The largest outbreak outside of the Middle East occurred in the Republic of Korea resulting in 186 cases (including one case who travelled to China) and 39 deaths.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5/07/mers-0712.html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5/06/mers-wave-multiple-peaks.html

메르스 위기경보 ‘주의’ 격상…중앙방역대책본부 설치
http://korea.kr/policy/societyView.do?newsId=148853803

국내 메르스 사태 주요 일지
http://www.yonhapnews.co.kr/photos/1991000000.html?cid=GYH20180908000600044&from=search

외국인 1명 뺀 21명 2주 자가 격리
http://news.donga.com/3/all/20180910/91905991/1



2018년 9월 8일 토요일

무역전쟁 관람법 - 일본소비세인상전후 20180908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이 한치 앞을 모를 정도로 심각하게 전개되고 있는 와중에 중국의 대미 무역수지 흑자가 사상최대라는 발표가 있었다.

G2 무역전쟁 무색…中, 8월 대미 무역흑자 300억달러 돌파
http://www.ajunews.com/view/20180908155003705

그러니 저런 기사제목이 붙는다.
미국이 중국과의 무역전쟁에서 기선을 제압하고 있는 것으로 보는 것은 착각이라는 얘기가 나올만 하다.
미국의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서 내부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높고, 애플도 태도를 바꾸었다고도 한다.

그러나 저런 숫자나 기사를 보고 승패를 판단하기에는 매우 이르다.
나는 관세가 본격적으로 부과되기 전에 미국의 수입이 증가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본다.



물건값이 오를 것이 예상되면 언제 어디서나 사재기가 나타난다.
해당상품의 매출이 이벤트 시작 전에 오르고 이후에 감소한다.
한국에서 담배값을 올릴 때마다 발생하는 일이지만, 더 큰 규모로 일어났던 예를 살펴보자.



13년 10월 일본의 아베총리는 14년 4월부터 소비세를 5%에서 8%로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무슨 일이 발생했을까?
세금이 오르기 전에 소비가 증가하고 세금이 오른 후에 소비가 감소했다.
차이점이라면 당시에 일본의 세금 인상은 의심하는 사람들이 별로 없었고, 미국의 관세부과는 여러모로 불투명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확인해보자.

일본의 소비자물가지수이다.
세금이 상승하면서 물가가 수직으로 상승했다.


물가상승률(yoy)이다.
역시 수직으로 상승했다.
추가된 세금은 3%였지만 이미 물가는 상승하고 있었고 고점의 물가는 전년비로 4%에 육박한다.





물가yoy에 소매판매yoy를 겹친 것이다.

14년 물가가 수직상승하기 전에 판매는 물가와 동행하면서 꾸준히 증가하고 있었고, 이것은 아베노믹스의 효과와 소비세증가의 선반영이 겹쳤을 것이다.

그렇게 꾸준히 증가하다가 세금부과직전 판매가 일시적으로 급증했다.
거의 수직상승에 가깝다.
세금 부과가 시작된 후 판매는 수직으로 감소해서 1년동안 평균 0% 전후로 낮게 유지된다.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세금을 어떤 순서로 어떤 방식으로 얼마나 부과할지 아무도 알 수 없다.
그저 트럼프 마음에 달려있는 것처럼 보인다.
불확실한 상황에서 미국업자들의 첫번째 대응은 가격이 오르기 전에 구매를 앞당기는 것이다.
미국의 관세부과 가능성이 높아질수록 수입은 증가할 것이다.

그런 일이 벌어졌다면 중국의 대미수출은 증가한다.
관세가 부과된 이후에도 수출이 증가할 것인가?
만약 위안화가치가 관세율보다 더 떨어진다면 충분히 가능하다.

그러니 막상 미국이 관세를 올리는 상황이 발생해도 무역전쟁의 결과는 시간을 두고 환율까지 고려해서 판단할 필요가 있다.


위에서 언급한 예들은 한국에서 18년 1월부터 최저임금이 16.4% 상승한다고 17년 7월 결정되었을 때 고용지표에 어떤 영향이 나타날지 예상하는 것과 비슷한 일이다.
최저임금 만원 공약을 내건 대통령이 당선되었을 때부터, 혹은 공약을 발표했을 때부터 영향을 주었다고 보는 편이 적절할 것이다.


일정 시점에서 고강도의 외부 충격이 주어질 때 나타나는 변화는 오랜 시간에 걸쳐 천천히 나타나는 변화보다 인과관계를 판단하기 쉽다.
3가지 전부 그런 예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일본은 과거지사이고, 한국은 진행형이고, 중국-미국은 아직 시작에 불과하다.






기왕에 발표된 것은 중국 자료 8월까지.
위는 미국 자료 7월까지.









tesla sales 20180908




data: https://insideevs.com/monthly-plug-in-sales-scorecard/



생전의 잡스가 애플 자체였던 것처럼, 머스크는 테슬라 자체이다.
테슬라는 생산지옥에서 벗어나고 있지만, 머스크는 아직 지옥에 빠져있는 것처럼 보인다.

https://www.forbes.com/sites/ellenrwald/2018/09/07/tesla-is-elon-musk-for-better-or-for-worse/#dfe5eaa1f799
https://www.wired.com/story/elon-musk-weed-toke-tesla/
https://www.nytimes.com/2018/09/07/business/tesla-stock-elon-musk.html

이번에는 마리화나로 난리가 났지만, 상장폐지 트윗 이후에도 정신적, 육체적 고통과 과로를 호소하는 인터뷰 등으로 지속적인 이슈가 되고 있다.

전기차 시장에서 테슬라의 비중은 여전히 증가하고 있다.
테슬라의 월 판매는 23000여대에 도달했지만, 16년 말 이후 2년 가까이 다른 전기차 업체들의 판매는 월평균 13000여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왜 테슬라의 전기차 판매만 증가하고 있을까?
다른 자동차 회사의 문제인지, 미국 제도의 문제인지, 혹은 테슬라의 판매 증가 자체가 문제인지 나는 판단할 수 없다.

테슬라는 기존의 자동차 딜러 중심의 판매방식을 벗어났고, 자체 충전소를 늘리고 있고, 한대 팔때마다 적자가 증가한다고 하고, 머스크는 폭주하는 모습을 보이고, 핵심경영진은 탈출 중이고.

전기차 시대의 도래는 기정사실처럼 보이지만, 미래로 가는 길은 미국에서조차 쉽지 않은 듯하다.




https://www.bloomberg.com/graphics/2018-tesla-tracker/






2018년 9월 6일 목요일

ism pmi vs korea export 20180906 - 커플링, 디커플링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7/12/korea-export-vs-ism-pmi-dollar-oil-tech.html

한국의 수출과 미국의 ism pmi는 오랫동안 높은 관련성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17년 말부터 명확하게 방향을 달리하기 시작했다.
미국 경기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동안 한국 수출은 일년 가까이 내리막 추세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이제는 많은 사람들이 반도체 독주의 수출만으로는 17년의 높은 수출증가율 유지가 어렵다는 것을 받아들이고 있고, 2018년의 수출증가율을 4-5%의 현실적인 값으로 수정하는 애널, 이코노미스트들이 나타나고 있다.

미국경제가 독야청청하는 것도 한국 수출의 위험한 현실도 누구나 알고 있는 상황에서 ism pmi와 한국수출을 다시 비교해 보자.



ism pmi와 비교시 12년 이후 한국의 수출증가율이 과거수준보다 낮아졌다.
그렇게 16년까지 지속되었다.
소위 한국와 미국의 경제 혹은 주식시장이 디커플링되었다는 얘기가 돌던 시기이다.

17년 반도체, 화학정유의 수출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ism pmi와 수출증가율의 차이가 축소되기 시작했다.
한국과 미국이 다시 커플링된 것처럼 보이던 시기였다.

17년말부터 시작된 한국 수출의 둔화는 미국경기의 지속적인 확장과 괴리의 폭을 넓히기 시작해서 현재는 다시 12년부터 16년 사이의 넓은 간격을 보여주고 있다.
사실 내 눈에는 더 벌어진 것처럼 보인다.

이제 다시 한국경제, 한국주식시장이 미국과 디커플링되었다는 얘기가 나온다.
또 중국과 한국이 커플링되었다는 얘기도 나온다.


그래서 현재수준은?


2011년까지의 찬란했던 시절은 돌아오기 어렵다고 보고 제외하자.
2017년의 높은 수출도 과속스캔들로 보고 무시하자.

그러면 현재의 낮아진 수출 증가율은 미국의 높아진 ism pmi와 거의 맞는 수준이다.
잠시 독주했던 한국의 수출이 제자리를 찾은 것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게 봐도 미국이 조금 높고 한국이 조금 낮다.





ism pmi의 특성은 장기적으로 50을 중심으로 순환하는 것이다.
다른 pmi도 대개 비슷하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평균이 정확하게 50은 아니라서 지난 70년간의 평균은 52.88정도 된다.
무슨 뜻일가?

미국 경기에 대한 판단에 pm(구매관리자)들의 낙관적인 편향이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주기적인 ism pmi 개정에도 불구하고 존재하는 것을 보면 정말 미국의 제조업은 2.88% 혹은 그 두배 정도의 성장세를 장기적으로 유지하고 있을 수도 있다.

전에 순환적인 성격을 갖는 ism pmi를 누적하면 장기적인 경기의 추세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평균(50이 아님)을 빼서 누적한 cumulative pmi를 만들었다.
이 지표의 급락기는 미국 경기침체와 잘 일치한다.
또한 이 지표는 미국경제의 35년, 70년짜리 장기순환(금리, 실질금리, 원자재...)과의 관련성을 보인다.


특히 주목할 만한 사실은 17년 이후 40년 간의 하락추세에서 벗어났을 가능성이다.
70년동안 1960년대에 한번 발생한 사건이다.

ism pmi가 전문가들의 전망을 뛰어넘고 있다.
순환적인 pmi의 성격을 고려하면 미국경제의 과열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우려는 합리적이다.

반면 cumulative pmi로 보면 미국의 최전성기였다는 60년대, 70년대의 재림을 알리는 신호일수도 있다.
이것에 대한 판단은 최소 이번 싸이클이 끝난 이후에 가능하고, 안전하게는 다음 싸이클의 고점까지 확인해야 한다.
길면 15년 이상 지나야 알 수 있으니 뭔 소용인가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만약 그런 일이 발생한다면, 한국은 그 흐름과 동행해야 한다.
그래야 국민, 기업, 정부 모두 지금보다 행복해질 것이다.





2018년 9월 5일 수요일

장하성의 안전벨트 - 2019년 고용 시나리오


장하성의 jtbc 인터뷰 발언은 내년 상반기까지 고용상황개선이 어렵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를 바탕으로 19년까지의 고용상황을 추정했다.
최선의 시나리오에서도 상상을 뛰어넘지만, 장하성은 안전벨트를 조이고 운전을 지속할 생각인 듯하다.

장하성 "소득분배 개선 효과, 늦어도 내년 하반기엔 나타날 것"
http://news.jtbc.joins.com/html/505/NB11690505.html
장하성/청와대 정책실장 : 지난해 16.4% 오른 것은 정말 제가 생각한 것보다 높았습니다. 솔직히 저도 깜짝 놀랐습니다.



장하성의 jtbc 인터뷰 중 가장 논란이 되고 있는 부분이다.
지나치게 솔직해서 마음을 비운 듯한 느낌이 들 정도이다.

16.4%로 결정되기 전 마음 속에 있던 숫자는 무엇이었을까?
그런 마당에 올해 다시 한번 10.9%가 인상되도록 방치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더 궁금한 것은 저런 발언을 한 이유와 타이밍이다.
초현실적인 고용, 소득 지표로 인해 통계청이 유탄을 맞은 상황에서 책임자가 포카페이스로 밀고나가는 것이 아니라 양심선언에 가까운 발언을 했다.

인터뷰 전문을 보지 못했으나, jtbc가 달아 놓은 제목이 힌트를 주고 있다고 본다.
장하성 발언의 핵심도 그것일 수 있다.
앞으로도 1년은 더 나빠질테니 마음 단단히 먹고 기다려라.
이것은 국민들에게 보내는 면피 메시지일 수도 있지만, 지지자들의 결집을 호소하는 메시지일 가능성도 있다.
어느 쪽이든 실수로 한 발언은 아닐 것이라고 본다.



내년 하반기에 소득분배개선이 나타나는 이유가 노인수당, 아동수당이라고 기사 본문에 나와있다.
왜 세금을 나눠주는 쉬운 일의 효과가 1년 반이나 지나서 나올까?

이렇게 질문하면 복잡해지고 답을 찾기 어렵다.
세금나누기의 효과를 1년 반동안 차단하는 것이 무엇일까?

최저임금 급등으로 인한 일자리 감소 효과이다.
17년 취업자수 증가대비 30만이 감소했고, 정부 목표 18만 대비로도 18만이 감소했다.
18년에 16.4%로 30만이 날아갔으니, 19년에 10.9%로 20만이 더 날아갈까?

나라가 망해도 시간이 충분히 지나면 회복된다.
아시아의 국가, 남미의 국가, 남유럽의 국가도 비슷하다.
얼마나 빨리, 어느 수준으로 회복되는지는 다를 수 있지만, 모든 지표는 바닥을 확인하면 회복된다.

2월부터 본격화된 고용지표의 악화는 7월까지 가속되고 있다.
대통령의 발언과 달리 취업자수 감소는 금융위기와 비슷한 수준이고, 금융위기 이후 10년동안 증가하던 고용률, 경제활동참가율도 18년 들어 꺾인 후 내리막이다.
현 정권이 제대로 찬물을 부은 것이다.
이런 상황이 19년 상반기에 다시 한번 발생할 것이다.

대통령의 경제인식으로 볼 때 추락을 피할 방법을 찾지 않을 것이다.
그것을 장하성이 19년 하반기까지 회복되지 않는다는 발언으로 확인한 것이다.

내년 상황을 추정하기 전에 만약 내년 최저임금이 동결되었다면 어떤 상황이 가능한지 생각해보고 적절한 기준선을 만들어야 한다.
여기에 최저임금 10.9%의 효과를 더해야 한다.
현시점에서 예측의 어려운 점은 어지러운 대외변수보다는 8개월이 지나도 고용바닥을 보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렇거나 말거나 찌라시를 내는 것도 아니니 내 맘대로 일단 해 본다.


원자료는 엄청난 계절성때문에 추정 불가하다.
아래는 전부 계절조정한 자료이다.
누르면 커진다.


1) 기준 시나리오




왼쪽 위와 아래는 취업자, 실업자, 경제활동인구이다. 위는 확대한 것.
오른쪽 위는 고용률, 실업률, 경제활동참가율이다.
오른쪽 아래는 전년대비 변동치이다.

만약 현재의 취업자, 실업자, 경제활동인구가 내년까지 유지된다면?
취업자 변동치로는 이미 금융위기 수준이었지만, 고용률, 경제활동참가율은 금융위기와 거리가 멀었다.
그러나 내년 하반기에는 금융위기는 아니어도 03년의 카드대란 급 침체에 준하는 그림으로 변한다.

이것을 기준 시나리오로 놓자.




2) 최악의 시나리오

이제 현재속도의 고용 악화가 지속된다고 가정해보자.
월간 2만명의 취업자감소. 월간 2천명의 실업자 증가.
연간 24만명의 취업자감소. 연간 2.4만명의 실업자 증가.

7월 전년비 취업자 증가 5천명(원지표)이라고 하면 대통령처럼 취업자가 증가하는 것이고 뭐가 문제냐고 생각할 수도 있다.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8/3.html
대통령 발언의 문제점 요약 포함.

그러나 전혀 쉽게 볼 일이 아니다.

아래의 추정은 현재의 지표(계절조정)가 내년까지 그대로 이어진다고 보는 것이다.
얼마나 끔찍한 상황인지 확인해 보자.








왼쪽 위에 7월까지의 취업자수, 경제활동인구의 하락추세를 19년말까지 그대로 연장한 것이다.
이러면 고용률, 경제활동참가율도 금융위기급으로 하락하게 된다.
그러나 취업자 변동치는 이미 금융위기 수준을 훨씬 앞서가게 된다.

더 악화되는 것을 상상하기 어려우니, 최악의 시나리오라고 할 만하다.
정점에서 실업자수, 실업률이 더 높을 수 있지만 그런 가정도 필요 없는 상황이다.



3) 최선의 시나리오

장하성의 시나리오가 여기에 가까울 것이라고 본다.
내가 상상할 수 있는 최선이지만, 정권의 철통지지자들에게는 음해를 목적으로 한 최악의 시나리오에 불과할 수도 있겠다.



18년 말까지 고용 회복이 진행되다가 19년 상반기에 다시 최저임금 급등으로 악화되고 하반기부터 회복되는 것.
당장 8월부터 취업자가 1만씩 증가하고 내년 2월부터 다시 2만씩 감소, 내년 8월부터 다시 2만씩 증가.
요약하면 W자 모양의 고용변화를 가정한 것이다.

이러면 고용률, 경제활동참가율, 취업자변동치는 연말까지 바닥을 확인하는 것처럼 보일 것이다.
그러나 내년 상반기 다시 하락하고 경기 저점을 찍게 된다.
이 저점이 미국, 중국, 신흥국을 포함한 세계경제의 둔화와 운없게 겹치면 한국경제는 뼈를 맞는 느낌이 들 수도 있다.

만약 이게 소득주도성장 책임자가 보는 그림과 비슷하다면, 그의 얘기를 진심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무엇을 상상하든 그보다 어려운 시절이 내년 상반기에 나타난다.





--------------------
참고
아래 그림은 분모가 되는 15세 이상 인구에 대한 가정이다.
통계청 전망치보다 낮은 속도로 증가한다고 가정한 것이니 충분히 여유가 있다.
앞으로 10여년 이상 증가하는 것이 공식 전망이지만, 멈춘다고 해도 위의 고용률, 경제활동참가율에 큰 차이가 없다.






-----------
관련 글



표본 오류로 인해 소득격차가 늘었나?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9/blog-post.html

가계소득 통계 - 사과와 배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8/blog-post_31.html

고용 난장판 - 일자리 안정자금 3조의 효과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8/3.html

가계소득 2분기 - 더 쇼킹 20180823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8/2-20180823.html

고용동향 7월 - 쇼킹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8/7.html

한국 최저임금이 세계 최고 수준일까?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7/blog-post_18.html

고용동향 6월 - 진짜가 오고 있다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7/6.html

생산가능인구과 경제성장률의 교훈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6/20180622.html

바닥이 없는 고용상황 20180615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6/20180615.html

가구별 근로소득 vs 개인별 근로소득 20180615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6/vs-20180615.html

사드보복과 고용쇼크의 관련성 20180614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6/20180614.html

최저임금과 고용쇼크의 관련성을 인정하는 김동연 20180516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5/20180516.html

최저임금과 고용쇼크의 관련을 부인하는 김동연 20180417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4/20180417.html

최저임금과 실업률 minimun wage and unemployment rate 20180412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4/minimun-wage-and-unemployment-rate.html

최저임금인상이 날린 일자리 20만개
http://runmoneyrun.blogspot.kr/2018/04/20.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