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1월 30일 목요일

금리와 가계부채의 미래

기준금리가 오랫만에 인상되었다.
gdp 3.6% yoy 금리가 어디까지 올라갈까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10/gdp-36-yoy.html
기대인플레이션, 물가, 금리, 실질금리 20171024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10/20171024.html

최근의 경제지표를 보면 당연한 일이고, 이미 시장이 예상하고 있던 것이고, 한국은행도 충분히 신호를 주고 있었다.

그런데 금융시장 말고 경제주체들은 어떤 준비를 하고 있었을까?




가계의 이자 수입(원천)과 지출(사용)을 kosis에서 받아온 것이다.
10년간 아슬아슬하게 흑자를 유지하던 이자소득이 16년을 기점으로 적자전환되었다.
이제부터 금리가 상승하면 그만큼 가계의 이자부담이 증가하게 되어있다.

왜 이렇게 되었나?

주택담보대출때문이다.

또한 상당부분은 국민연금지출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만약 국민연금의 수입을 가계부문과 합친다면 다른 그림이 나올 것이다.

그러나 어느쪽도 크게 달라질 것이 없다.
정부가 가계부채를 탕감하고, 부동산가격과 주택담보대출을 잡으려고 노력해도 가계가 이자부담을 단기간에 낮출 방법은 없다.




다행인 것은 비금융법인의 이자부담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도 산업별로 기업별로 양극화되어 있고 여전히 대우조선같은 한계기업들이 좀비처럼 국고와 세금을 축내고 있지만, 전체적으로 보아 12년을 고점으로 위험이 감소하고 있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다.






부문별 순이자 수입을 표시한 것이다.
2000년까지 가계의 이자수입은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이후 감소하기 시작해서 2007년까지 급감했고, 2016년 들어 갑자기 큰 적자를 기록했다.
금리 인상이 지속되면 부채가 증가하지 않아도 이자부담이 비례해서 증가할 것이다.

가계의 이자수입의 '원천'은 어디인가?
2005년까지 기업의 이자지출이 직접, 간접적으로 가계, 금융, 정부, 국외로 흘러 들어간 것을 볼 수 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금융법인의 이자수입은 net로 보면 가계가 아니라 기업부문과 해외부문에서 발생한 것이다.
2016년에야 비로소 가계가 금융의 이자수입에 본격적으로 기여하게 된다.
지난 몇년간 은행의 대출증가가 주로 가계대출증가에 기인했다는 것을 고려하면 의외의 결과이다.


만약 한국의 다음 위기가 기업부문이 아니라 가계부문의 부실에 의해 발생할 것으로 본다면 90년대 기업부문의 이자지출이 98년까지 지속적으로, 거의 지수함수적으로 증가되었던 것을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2016년 가계부문의 이자부담이 증가하는 속도는 매우 급격하고, 또 갑작스럽기 때문에 무슨 일이 발생했던 것인지, 속도가 유지될지는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




요약
금리인상은 가계에 결과를 예측하기 어려운 부담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