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9월 19일 화요일

미국산업생산, 가동률, 재고/매출비율, 태풍 us huriccane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9/korea-profit-capacity-utilization.html

한국 가동률을 보고 나서 미국 8월을 다시 봤다.
미국 태풍은 세다.

https://www.nytimes.com/interactive/2017/09/01/upshot/cost-of-hurricane-harvey-only-one-storm-comes-close.html

태풍이 지나가면서 노이즈가 생겼는데, 2005년에 아래로 뾰죽한 노이즈도 태풍카트리나였다는 것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8월 산업생산지수와 전년동월비.
유가급락으로 인한 침체 위기에서 회복 중에 타격을 입은 모양이다.
86년, 87년 전후와 유사한 상황으로 본다.



일하는 설비가 만들어 내는 것이 산업생산이고, 전체 설비에서 노는 설비를 뺀 일하는 설비의 비율이 설비가동률이니 함께 발표되는 것이 당연하다.
같은 위치에 같은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도 당연하다.
05년과 마찬가지이다.

재고/매출비율은 재고순환지표에서 매출yoy-재고yoy를 보는 것과 질적으로 똑같다.
그런데 방향이 다른 지표들과 반대라서 매출/재고비율로 바꾸었다.
보통 불편한 것에는 역사적인 이유가 있지만, 단지 불편한 것만 문제되는 것은 아니다.
뒤집어 놓으면 훈련받은 사람도 제대로 비교하기 어렵고, 현재 상황을 오해하고 착각할 수 있다.
조만간 8월치가 같은 방향으로 악화되면 그게 정상이다.

만약 태풍이 다 지나가고도 회복되지 않으면 그때 이유를 찾는 것으로 충분하다.
지금은 기다릴 시간이다.



산업생산과 가동률의 전월차.
위에서 언급한 이유로 매우 유사한 궤적을 보인다.

전월비, 전월차는 노이즈로 인해 2-3달 정도의 평균값을 쓰거나 따로 제공되는 계절조정값이 있는 경우 그것을 사용해야 하나 특별한 상황에서는 명확하게 효용이 있다.
2005년 카트리나에 의한 급락이 명확히 보이고, 8월의 급락은 그것에 미치지 못한다.
그러나 전부 반영된 것인지 9월까지 여파가 미칠지 아직 알 수 없다.





https://fred.stlouisfed.org/series/TCU

Capacity Utilization: Total Industry (TCU) is the percentage of resources used by corporations and factories to produce goods in manufacturing, mining, and electric and gas utilities for all facilities located in the United States (excluding those in U.S. territories).(1) We can also think of capacity utilization as how much capacity is being used from the total available capacity to produce demanded finished products.





한국도 기업이익이 설비가동률에 선행한다 korea, profit, capacity utilization


기업이익이 설비가동률에 선행한다.

미국만 그런 것이 아니고, 한국도 마찬가지이다.
왜 중요한가?

한국의 기업이익이 늘어나고 있다.
그런데 아직 설비가동률이 증가하고 있지않다.

만약 설비가동률이 증가하면 무슨 일이 생기나?
투자가 증가한다.
기업들이 향후 몇년 동안 50조가 넘는 투자를 집행할 것이라는 뉴스와 일치한다.

설비가동률의 증가는 기업이익과 투자를 연결하는 다리이다.
증가해야 하고, 증가할 것이다.

---

16년 말 미국의 기업이익이 다수의 기대/예상과 달리 고개를 들고 있었다.
설비가동률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기업이익이 설비가동률에 선행한다 profit, capacity utilization 20161216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12/profit-capacity-utilization-20161216.html

8개월 후 확인해보니 설비가동률만 증가한 것이 아니고 투자가 고개를 들고 있었다.
이렇게 딱딱 들어맞으니 미국경제는 들여다 보는 맛이 난다.

기업이익이 설비가동률에 선행한다 corporate profit, capacity utilization 20170825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8/corporate-profit-capacity-utilization.html








그러나 한국은 미국과 다를 수도 있다.
확인해 보니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보자.


(누르면 커짐)

위는 2015년까지 한국 제조업의 연간 세전순이익률.(yoy아님)
아래는 제조업 월별 설비가동률(빨간선).

가동률이 2011년 이후 지속해서 감소하고 있다.
이런 조건에서는 백약이 무효일 수 있다.
그러나 1980년부터 2011년까지 30년간의 자료가 말하고 있는 것은 이익률과 가동률이 함께 간다는 것이다.
(참고로 순이익률말고 영업이익률은 전혀 다르다. 궁금하면 찾아보길)

두 자료의 시간축은 정확히 맞추었어도 이익률 자료가 띄엄띄엄이라 선행성을 명확히 얘기할 수 없다. 그러나 1년 이내의 차이를 유지하면서 순이익률이 가동률에 선행하는 것으로 보인다.
지금 중요한 점은 한국 기업의 이익은 이미 이륙을 시작해서 이전 고점을 넘기고 있고, 이익률은 16년, 17년에 상승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제 남은 것은 가동률 상승을 기다리는 것이다.
그리고 투자가 증가하는 것을 기다리는 것이다.
그러면 한국은 수출, 투자에 기반한 이전의 성장 공식대로 성장할 것이다.


자. 주문을 외워보자.

윙가르디움 레비오사.



--------
추가



위 그림의 분절된 이익률을 알아보기 불편해서 눈으로 이익률을 연결한 보조선 추가.
설비가동률 그래프에 보조선을 평행이동해서 변곡점의 위치 비교 용이.


history of semi-bubble: NVIDIA vs qualcomm vs applied materials


semi bubble (반도체거품)이 맞을 수도 있지만, semi의 semi-bubble(반쯤 거품)일 수도 있다.
그러나 semi 전체로 보면 아직 bubble이 아니라 froth정도만 생기는 중일 수도 있다.
이번 싸이클이 끝나면 누구나 알 수 있을 테니 결론을 내기보다는 그림과 숫자를 감상해 보자.


최근 AI, big data, parallel computing, smart car, bitcoin mining 등 뜨는 분야라면 거의 빠짐없이 nvidia의 이름이 나오고 있다.
FANG이나 BAT나 tesla에 비해 결코 덜 핫하다고 할 수 없다.
게다가 실적도 좋다.

문제는 주가.



그림 출처: google finance

2년도 안 되는 기간에 7배가 올랐다.
비트코인, 이더리움같은 것들의 상승률과 비교할 수 없으나 가치계산이 불가능한 코인들에 비하면 기업의 가치는 계산할 수 있으니 좀 비싸 보인다.
게다가 미래는 항상 안개에 가려 있다.

그러니 과거와 비교해 본다.




it버블이 한참이던 시기에 시총이 몇 십조 정도되는 반도체 기업 중에 가장 빠르게 상승한 것은 qualcomm이었다.
한국 공정위에서 1조짜리 과징금을 맞은 그 회사이다.

15개월 동안 정확하게 30배 상승했다.
의외일 수도 있고, 한국의 skt를 생각해보면 그럴만도 하다는 생각도 든다.
그럼 그 뒤로 장렬하게 산화했을까?



최대한 길게 보자.


삼성전자, tsmc도 시총을 보면 넣어야 하나 차트가 잘려있고, 많으면 번잡하고, 상승률도 소박해서 뺐다.


장비회사 amat의 상승률은 4251배이다.
인텔은 302배.
nvidia는  113배.
퀄컴은 92배. (99년의 수직 상승은 역대급)
예전 계산기회사 ti의 상승률은 겨우 58배.

nvidia는 20년간의 상승으로 이제 100조를 넘는 반열에 올라섰지만, 상승률로는 충격적인 수준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게다가 2000년 대부분의 반도체 기업이 20년짜리 고점을 찍을 당시의 시총과 비교하면 nvidia가 열심히 독주해서 시총이 수십조 커졌어도 반도체 산업 전체 규모에는 별 영향도 없다.

다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2000년의 IT거품은 높이로는 최고가 아니었을지 몰라도 규모로는 어마어마했다는 것이다.
아직도 많은 it 기업들이 당시의 고점을 못 넘기고 있는 것도 결국 거품때문이었다고 할 수 있다.



2000년까지 한 개의 경기싸이클 동안에 벌어진 주가 상승과 비교하면 어떨까?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9/us-term-spread-20170912.html

저축은행 붕괴부터 it버블 고점까지의 90년대 미국 경기싸이클은 100년 동안의 여러 싸이클 중에서도 전형적인 10년짜리 표준에 가깝다.




그 10년 동안 반도체 주가는 부침은 있으나 평균 100배 상승을 보인다.
나도 착각했다.
10배가 아니라 100배.



nvidia를 보면 거품의 향기가 난다.
그러나 과거의 진짜 강력했던 거품과 비교해 보면 높이도 부족하고 넓이는 비교가 되지 않는다.
요즘 유사거품기업들은 이익을 내는 경우가 많아서 밸류에이션은 과거와 비교할 필요가 없다.

사실 나도 정말 궁금하다.
지금 거품의 한 복판에 있는지 아닌지.






-----------
기타

참고로 메모리 반도체기업들은 95년에 메모리슈퍼싸이클이 끝나면서 거품붕괴에 준하는 하락을 보인다.
2000년까지 회복하기는 하지만 별도의 싸이클로 봐야 할 정도로 골이 깊다.
삼전, 하이닉스 등 한국의 메모리반도체기업만 시련을 겪은 것이 아니다.


아래는 마이크론의 차트.
4번째 높은 고점이지만 2000년도 아니고 95년 수준에 불과하다.

출처: yahoo finance (google에 없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