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월 26일 목요일

oil, total cost 20170125


http://runmoneyrun.blogspot.kr/2014/10/oil-marginal-cost.html

기름값이 100불에서 급락하기 시작할 즈음에 조사했던 것이다.
당시에 알려진 수요와 marginal cost curve에서 유추할 수 있는 것은 60불 정도에서 나타나는 비용의 plateau가 수요가 급격히 감소하는 상황에서 기름값의 균형수준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기름값은 약 25불 수준까지 내려갔다가 50불대로 돌아왔다.

보통 안정상태에는 total cost를 고려하지만, 가격이 급락하는 경우에 설비폐쇄는 cash cost이하로 가격이 내려가서 상당기간이 지나야 한다.
당연히 폐쇄된 설비를 재가동하는 가격수준과 새로운 투자가 일어나는 가격수준은 매우 차이가 클 수 있다.


원자재 생산비용, 가격, 교역조건, 마진
http://runmoneyrun.blogspot.kr/2015/12/blog-post_30.html

극단적인 가격 변동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총원가가 아니라 현금원가 수준을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현재의 cost curve는 어떻게 변했을까?



2015년, 2016년의 plateau가 급격히 내력간 것은 바로 shale 의 원가가 내려간 것을 반영한 것이다.

http://oilprice.com/Energy/Crude-Oil/The-Truth-About-Permian-Shale-Break-Even-Prices.html

셰일 오일의 원가도 지역에 따라 기술수준에 따라 계산방식에 천차만별이지만, 최근에 원가가 낮은 지역에서는 30불대까지 내려갔다고 한다.

http://oilprice.com/Energy/Energy-General/Shale-Break-Even-Level-Could-Rise-10-In-2017.html

그런데 기름값이 오르고, 인건비가 오르고, 물가가 오르면 원가가 다시 올라가기 시작하는데 그 속도가 17년 한해에만 10불까지도 올라갈수 있다고 한다.
아마도 지금이 이전에도 이후에도 가장 셰일원가가 낮은 시기가 될 가능성이 있다.


http://oilprice.com/Energy/Energy-General/US-Shale-Is-Now-Cash-Flow-Neutral.html


iea에 따르면 2016년 3분기에 미국 셰일산업이 처음으로 현금흐름이 중립이었다고 한다.
무슨 뜻인가?
기름값이 100불을 넘어가던 시절에도 영업현금흐름으로 계속되는 자본투자를 감당할수도 없었다는 것이다.
관점에 따라 2014년에 원가는 기존에 알려진 것처럼 60 - 80불수준이 아니라 100불보다 높았다고 할 수 있다.

2016년 3분기의 유가는 약 45불전후였다. 이 수준에서 자유현금흐름이 0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면 장기적으로 원가가 45불이라고 할 수 있다.
만약 유가가 그 이상으로 상승한다면 원가보다 높으니 이익이 날 수 있다.
그러나 위 링크처럼 17년에먄 예상되는 비용 상승이 10불이라면 미국 셰일의 평균 원가는 여전히 50불 이상이 될 것이다.









2017년 1월 23일 월요일

dollar, oil price, korea export 20170123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1/ism-pmi-cumulative-pmi-korea-export.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4/ism-pmi-rebound-by-dollar-and-oil.html

한국 수출은 세계경제 혹은 미국경제의 바로미터 혹은 선행지표에 가깝다.
미국경제가 회복되거나 개선되면 나빠지지 않는다.

트럼프가 미국경제를 망친다고 보면 한국도 그렇게 될 것이다.
그렇지 않다고 보면 한국도 아닐 것이다.



1985년은 달러, 엔, 마르크에 중요한 해이다.
그 이후 30년간 달러는 한국 수출과 동행하거나 살짝 선행했다.
최근 몇년간 달러가 강세였으나 전년동월비로 보는 그림은 다르다.




유가도 대략 90년대 후반부터 한국 수출과 동행한다.
유가와 달러의 밀접한 관계도 90년대 후반 이후 강화되었다.
한국이 이런 현상들과 관련이 높은 것이 우연은 아닐 것이다.





트럼프, 사우디가 기름값을 낮출지 높일지 알 수 없다.
그러나 기름값이 추세적으로 높아지는 것이 한국경제에 유리하다는 것은 명확하다.

그런데 지금 그러하다.
트럼프를 걱정하되 지나치게 하지 말자.



rig count, oil price, dollar 20170123


http://runmoneyrun.blogspot.kr/2015/01/rig-number.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5/10/rig-count-oil-price.html


source: http://www.energyeconomist.com/a6257783p/exploration/rotaryrigweekly.html


유가 50$은 셰일가스개발의 손익분기점에 도달한 수준.
rig count는 유가가 50불에 근접한 6개월전부터 꾸준히 증가.
트럼프가 아니어도 셰일에 대한 투자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뜻.

미국에서 트럼프가 제조업 투자 증가를 이끌어내고, 유가상승으로 에너지산업의 투자도 증가하면 당분간은 투자가 성장을 이끌 수도.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12/saudi-arabia-foreign-reserves-vs-oil.html

유가가 70불에 도달하면 사우디의 재정압박도 급격히 완화.
러시아, 브라질도 개선.

그러나 한국은 물가상승의 악영향을 받을 수도.
원화강세가 수입물가상승을 완충할 수 있지만, 달러강세가 유지되는 한 한계 명확.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1/yuan-big-short-vs-big-long.html





물가상승, 금리상승이 정해져 있다면 옐런, 트럼프의 시소게임은 노이즈에 불과할 수도.

위안화 강세전환후 달러강세 일단락 가능성.
한국에는 다행.










도소매 계란가격 변화


chicken cycle 닭고기 순환! egg cycle 계란 순환?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1/chicken-cycle-egg-cycle.html


댓글로 계란의 산지, 도매, 소매가격에 대해 제보를 해 주신 분이 있었다.

http://www.ekape.or.kr/view/user/distribution/distribution_02_04.asp





표는 아래에.

조류독감이 발생한 것은 11월 중순이지만, 계란의 최저가는 11월 29일.
가격 상승이 발생하기 시작한 것은 12월 초순.
소매가의 고점은 1월 12일.

도매가격이 1000원 오르는 동안 소매가격이 4000원 올랐으니 유통에서 폭리를 취하고 있는 것인가?
수입계란이 풀리면 가격이 내려갈 것인가?

둘 다 가능성이 적다고 본다.



11월 29일 최저가를 기준으로 가격을 조정하면 위와 같다.
산지가격과 도매가격의 추이는 같다.

가격이 폭등하기 시작한 것은 12월 20일.
그런데 상승폭은 이 시기부터 산지가격이 소매가격을 넘어섰다.
살처분으로 인한 공급 축소가 가격에 본격적으로 반영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2달동안의 가격 상승과정은 소비자 가격이 완만하다.
유통단계에서 가격변동을 증폭했다기 보다는 반대로 일정정도 흡수했다는 것이다.

소비자 가격이 고점을 찍은 1월 중순 이후 산지가격은 소폭이지만 추가상승했다.
아직도 공급감소가 가격에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산지가격과 소비자가격의 상승폭은 70-80%로 같다.
산란계의 숫자는 살처분으로 30%이상 감소했고, 계란 출하가 금지된 지역도 많다.
공급물량의 감소가 50%라면 80%의 가격상승에도 불구하고 매출의 감소는 10%이다.

출하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농가, 도매상, 소매상의 이윤이 증가했을까?
비용구조에 달린 문제이지만 가능성은 적고 오히려 이윤이 감소하거나 도산위험에 놓인 경우가 증가했을 것이다.
더구나 모든 지역에서 일정하게 출하량이 감소한 것이 아니라 특정지역의 매출이 통째로 사라지는 것에 가깝기 때문에 계란을 생산, 취급하는 농가, 도매상의 위험은 매우 증가한 것이다.
출하가 반으로 줄었는데 가격이 2배도 오르지 못했다면 이것으로 충분한 것인가에 대해서는 상당히 의심스럽다고 할 수 있다.

만약 시장이 1월 초순 이후 새로운 균형가격에 근접하고 있었다면 수입된 소량의 계란은 어떤 역할을 할 것인가? 시장에 정부의 가격통제 의지를 보여주지만, 그것으로 끝이다.
아직도 균형가격에 도달하지 못했다면, 보조금만큼의 세금 낭비이다.


조류독감이 통제되어서 산란계의 공급이 증가하고, 높은 가격으로 인해 수요가 감소하는 과정이 충분히 진행되기 전에는 계란 가격은 내려오지 않을 것이다.
과거의 계란파동 추이를 보면 어떤 이유든 1년 이상 상승하고 1년 이상 하락한다.
현재의 가격수준 이상에서 올해 하반기까지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







2017년 1월 5일 목요일

SMP, LNG, oil, coal 20170105



data: http://www.worldbank.org/en/research/commodity-markets




data: http://epsis.kpx.or.kr/epsis/



smp는 lng가 결정.


Natural gas prices in Asia mainly linked to crude oil, but use of spot indexes increases

yuan - big short vs big long


위안화가 강세로 반전되어야 달러 강세가 끝날 것으로 본다.

유럽, 일본의 성장률, 물가가 미국에 뒤쳐져 있는 동안에는 중국의 역할이 필요하지만, 위안화가 펀더멘탈보다 고평가되어서는 기대하기 어렵다.
고평가 저평가는 계산만으로는 부족하고 시장에서 충분히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 레벨을 여러가지로 가늠해보고 있었으나, 1년 만에 중국과 위안에 대한 빅숏을 주장하는 자들이 발호하면서 중국 당국이 강력한 시장개입을 했다.




달러약세, 기타 통화 강세가 미국 연준과 관련있다는 주장에는 1도 공감할 수 없다.
중국경제가 혼자 힘으로 독야청청할 수는 없겠으나, 망하는 것은 외부의 힘이 아니라 그들의 손으로 결정될 것으로 본다.

달러당 7위안이 시장이 인정할 만큼 충분한 수준의 약세에 도달했던 것인지 지금 확인할 수 없다.
그러나 위안이 달러강세를 단기간에 뒤집을 수 있는 결정적인 힘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을 시장에 충분히 보여주었다.

깨지 않고 수박이 익었는지 알려면 두들겨 봐야 한다.
이제 한번 두드렸다.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12/next-money.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12/future-of-dollar-widening-gap-from.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12/yuan-target-based-on-china-foreign.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12/g2-dollar-yuan-ppi-cpi.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12/house-price-vs-exchange-rate-law-of-one.html






2017년 1월 4일 수요일

chicken cycle 닭고기 순환! egg cycle 계란 순환?


돼지고기 싸이클, 쇠고기 싸이클은 잘 알려져 있다.

beef cycle 한우순환 - 20151009
http://runmoneyrun.blogspot.kr/2015/10/beef-cycle-20151009.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4/china-cpi-pork-or-hog-cycle.html

최근 조류독감 때문에 계란값 파동이 발생하고 있지만, 이상하게 닭값 파동에 대한 언급이 없다.
확인해보니 육계, 산란계는 고기소, 젖소 이상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육계에는 분명한 싸이클이 존재한다.
반면 산란계에는 계란값의 변동이 존재하지만 마리수와의 관련성이 적고 급등락을 한다.
재고의 유효기간이 더 짧은 것이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마리수, 가격지수 모두 통계청 자료.


육계에는 약 4.5년의 주기의 싸이클이 존재한다.
매우 일정한 주기를 보이고, 가격이 선행하는 보편적인 형태이다.
산란계와 달리 육계에는 계절성이 매우 높다.

특이한 것은 육계생산기간이 소나 돼지와 비교할 수 없게 짧지만 주기는 돼지싸이클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13년 마리수 저점에 가격의 저점이 선행하지 않은 것은 금융위기 이후 닭고기 값의 급등 여파가 진행중이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3분기까지의 자료라서 최근의 급등은 반영되어 있지 않지만 올초의 계란값이 2008년 이후 저점권이었다.
계란가격이 고점권까지 올라가면 80에서 140까지 올라가게 되고, 보통 4000-6000원 하던 한판 가격이 만원정도에 도달하는 것은 충분히 가능한 조건이었다.
여기에 조류독감으로 산란계의 수가 반으로 감소한다면 계란값 급등은 오히려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봐야한다.

공급 감소에 더불어 생산, 유통, 소비의 모든 단계에서 사재기가 나타나면 급등은 피할 수 없다.
그런 조건에서 정부가 개입해도 세금만 낭비될 뿐이다.
보조금을 아예 없애면 일시적으로 지옥을 경험해도 시장기능을 통해 해소될 것이지만 국민들의 아우성이 커지면 이번에도 정부는 헛심을 열심히 쓸 것으로 보인다.

내 기억에 없지만 2004년의 계란값은 단기간에 2배 상승했고 지금의 급등 폭과 비슷하다.
그리고 1년 만에 원래 수준으로 돌아갔다.
아마 기사를 찾아보면 계란값 파동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ism pmi, cumulative pmi, korea export 20170104




pmi 증가 추세.
cumulative pmi 상승 전환.



한국 수출과 동반 상승 유지.
12년 이후의 갭을 좁힐 가능성 증가.

ism pmi는 경기 고점과 차이가 5정도로 크지 않지만, 한국수출은 원자재가격상승과 더불어 14년 수준을 얼마나 빨리 회복하느냐의 속도 문제.
이후의 지속가능성은 다른 문제.



real rate vs term spread - 경기순환과의 관련성


금리차는 경기에 선행한다.
실질금리는 실질성장을 반영한다.





term spread (누르면 커짐)


http://runmoneyrun.blogspot.kr/2015/11/term-spread-since-1919.html

1950년 이후 장단기금리차로 경기를 파악할 수 있다.
경기 침체가 진행되는 기간에 금리차가 급등한다.
경기 침체가 발생하기 직전에 금리차가 역전된다.
그래서 경기선행지수로 쓸수 있다.

그럼

실질금리로 경기를 파악할 수 있나?
그럴 것 같지만 실제로는 어렵다.
왜 어려운지는 아래 그림을 보면 알 수 있다.




cpi, real rate (누르면 커짐)


순환이 보이지만, 실질금리는 5-10년 주기의 금리차 순환보다 긴 주기를 갖는다.


지난 100여년간 금리는 60-70년, 실질금리는 30-35년의 긴 주기를 보이는 순환을 보였다.
이 실질금리 싸이클은 원자재 또는 인플레이션 싸이클과 본질적으로 일치한다.

물가가 경기에 선행하나? business cycle vs price index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6/business-cycle-vs-price.html




한 증권사 보고서의 그림인데 출처는 일부러 밝히지 않는다.
최근 실질금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비슷한 착각을 하는 애널들이 종종 보인다.

실질금리가 2014년-2015년에 상승한 것도 사실이고, 같은 시기에 미국에서 제조업 침체라고 불릴만한 경기둔화가 발생할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실질금리가 급등한 시기에 대체로 경기불황을 경험했다는 것은 어떻게 봐도 틀렸다.

인플레이션과 경기와의 관계는 금리차처럼 명확하지 않지만, 실질금리보다는 명확하다.
경기후반에 물가가 올라가고, 침체기를 지나면서 물가가 내려간다.

그래서 실질금리는 침체가 시작되기 전에 하락하고 침체의 중후반에 상승하기 시작한다.
10년물의 장기금리로 실질금리를 보는 한 그러하다.
명목금리보다는 주로 인플레이션의 영향이다.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12/nominal-rate-gold-oil.html

실질금리는 장기적으로 실질성장에 비례한다.
실질금리 급등이 침체와 관련된다는 것은 두세번의 노이즈에 현혹된 것이다.
유가 급락에 이어진 물가 급락이 노이즈의 원인이다.
실질금리까지 끌어들일 필요가 전혀 없다.




실질금리와 실질 GDP (누르면 커짐)

둘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통계적 분석이 필요한 것도 아니다.
눈으로 그냥 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실질GDP와 비교하려니 물가로 GDP디플레이터를 썼다는 점만 다르다.

실질금리가 실질GDP와 동행한다면 동행지수이다.
그러나 실질GDP를 보는 것과 비교해서 경기싸이클을 파악하는데 득이 없다.
그러니 그것으로 초장기적인 자산시장의 흐름을 파악하거나 단기적으로 관련성이 높은 자산군(금, 엔화)의 움직임을 파악하는 것은 모르겠으나 몇년단위의 경기를 파악하는데 적당한 도구라고 보기 어렵다.




2017년 1월 3일 화요일

china pmi 20170103




중국 자료라고 해도 두 개가 상당기간 일치하니 일단 믿어볼만.
기름값, 중국물가, 미국물가, 한국수출처럼 16년 1월 전후가 저점.
경기회복이 지속되어도 초반 1년은 이미 지나간 것.


cosmetics retail sales 20170103




안정적 우상향.






retail sales 20170103


소매판매 20년만에 최대http://runmoneyrun.blogspot.kr/2016/11/20.html

소매판매 20161101http://runmoneyrun.blogspot.kr/2016/11/20161101.html

2달간의 노이즈가 지나가고 안정적으로 우상향.
믿거나 말거나.


11월 소매판매액은 최대치를 경신하면서 안정적으로 증가 중.
원 수치뿐 아니라 전년 동월비도 4년째 꽉 채워서 우상향.

내구재가 약하고 비내구재가 강하다.
내구재가 약한 가장 큰 이유는 자동차.



내구재가 상대적으로 약하지만 감소하는 것은 아니다.
자동차 세제 혜택 종료에 따른 수요 감소의 충격에서 5개월만에 회복.

한국, 미국의 정치적 불확실성 감소 중.
정부나 한은이 나서지 않아도 경제주체들의 심리적 안정이 유지될 가능성.




cosmetics export 20170103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12/cosmetics-export-20161215.html


3304에 수출통계 34.7%적용.



전년동월비 저점 확인 중.



월별 비교시 정상 수준 복귀.



중국의 한국산 수입은 한국의 중국향 수출보다 몇십% 적었으나, 차이가 감소.
16년 하반기 이후 차이는 플러스로 전환. 의미는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드러날 듯.
어느 쪽이든 우상향 추이는 그대로.





korea export 20170103


수출과 무역수지 - 변곡점을 지났다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12/blog-post.html





2016년 1월이 수출 저점. 유가 저점과 동일.
이미 하락 추세 완전히 탈피.





interest rate, - gold, + oil, 20170102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12/nominal-rate-gold-oil.html

명목금리를 금값과 기름값변화율의 합으로 치환해본 것이다.
그러나 기름값변화율보다 기름값을 쓰는 것이 더 그럴 듯 하고 최근 2-3년간의 금리 추이와 잘 맞는다.


명목금리 = a*(-금값) + b*기름값 + c  





2005년 이전 20년 이상 유지된 4% 전후의 steady state는?
금값에 반영된 실질금리(아마도 실질성장)와 기름값에 반영된 기대인플레이션의 합.

4%를 제외한 나머지(빨간선과 파란선의 차이)는 무엇일까?
미국이 망하거나, 팔고 싶을 때 못 팔거나, 내가 살기 어렵거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