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2월 28일 목요일

us economy - 20130228


한국이나 미국이나 주가지수와 금리차가 경기와 관련이 매우 높고 실시간으로 알 수 있다는 점이 다르지 않다.

민간 설비투자가 늘고, 실업율이 줄면 다음 침체까지 수년 이상 경기상승이 지속될 수 있다.

재정적자, 무역적자가 감소하고 있다.
달러가 강해질 수 있다. 금, 원자재는 약해질 수 있다.
어떤 이유로든 단기 금리가 상승하면 조심할 필요가 있다.
그 때까지 주가는 무시해도 된다.

미국이 금융위기로 기회를 잡은 것으로 보인다.
한국에게도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미국지수와 전년동월비.
많은 사람들이 crash를 겁내고 있다.
다행스러운 일이다.




실업율과 신규실업신청자수.
별 문제없이 감소하고 있다.
단기적인 상승도 가능하지만, 아직은 발생하지 않고 있다.





설비가동율과 신규실업신청자수.
설비가동율이 정체되거나 감소할 수 있지만, 아직 위쪽으로 잘 동행하고 있다.





실업율과 설비가동율.
위와 같은 맥락.





소매 판매와 개인 소비. 모두 실질.
이제 더 이상 감소하지 않을 수도 있다.





GDP, M2, M2V 통화유통속도.
지난분기에 M2V 하락이 멈출 것으로 예상했지만, GDP의 급락이 있었다.





각각의 전년 동월비.
M2V의 급격한 하락이 전년동월비로 보면 훈훈한 느낌도 든다.
최근 들어 GDP를 전년동월비로 본다면 같은 방식으로 보는 것이 맞지 않겠나 하는 생각이 든다.
거의 다 왔다.





M2V의 전년 동월비와 금리10년물 전년동월비를 보면 둘중에 하나는 방향을 바꿔야 한다.
금리가 아니라 M2V가 가능성이 높다.





금리, 금리차.
금리차가 0에 도달할 때까지는 시간이 매우 많이 남았을 것이다.
금리차가 상승하기 위해서는 단기금리의 상승이 필요하지만, 버냉키는 기준금리를 낮게 유지하기 위해 온 힘을 다할 것이다.

단기금리가 상승하기 전까지는 시간이 얼마가 걸려도 사람들은 돈을 빌려서 투자와 소비에 사용하게 될 것이다. 그래야 금리가 상승한다.





경기싸이클이 끝나야 주가도 끝이 난다.
87년이 현실화되려면 다른 것보다 단기금리의 상승이 필요하다.
올릴 방법이 보이나?





실질금리, 금리차.
금리차는 10년 전후의 싸이클이지만, 금리차는 30년 전후의 싸이클을 보인다.
금값이 무섭게 변동할 가능성이 있고, 지금 조금 빠진듯이 보이는 것으로는 부족하다.





미스테리했던 그림.
여전히 장기 금리간의 차이는 상승하고 있다.
과거에 침체가 오던 시기에 저렇게 높았던 적이 단 한번이다.
이유는 모름.





주가지수, vix, tips spread.
위험 3종세트라고 했으나, 지금은 위험이 중요한 시기가 아니다.




그러나 위험이 현실화된다면 아래로 많이 갈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수면제가 필요한가...





금리차가 지배하는 기업의 투자 순환.
순서대로 기업의 이익이 증가하고, 가동율이 증가하고, 투자가 증가하고, 빚이 증가한다.

굳이 설명하자면 침체시 급감했던 이익이 회복되기 시작할 때 가동율도 증가하기 시작한다.
가동율이 증가하면 기업이 자기자본 투자를 시작한다. 이익이 더 증가하고 가동율이 높은 수준에 도달하면 빚까지 내서 투자를 하기 시작한다.

그러다 소비가 증가하고 경기가 과열되고, 빚을 내서 투자하니 이익이 감소하고 그러다 공급과잉이 발생하면 이익은 급감하고 설비가동율은 감소하고, 투자도 감소하고, 대출도 감소한다.

네가지 중에 한가지도 꺾인 것이 없다.
다시 시작하려면 적어도 몇년은 남아 있다.
여기에 예외는 81년의 급리 상승에 의한 더블 딥이다. 그러나 지금을 인위적으로 금리를 높일 시기가 아니다.

작년까지는 미국 정치권의 삽질이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컸지만, 올해는 지표들이 다시 가속되고 있으니 더 어렵다.

고용증가는 가동율증가와 비례하니 위에서 가동율을 고용으로 바꿔 읽어도 된다.




전년동월비로 봐도 크게 다르지 않다.




GDP 대비로 봐도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런데 투자가 지난 수십년간의 평균에도 못 미친다.
늘려야 한다.
그래야 고용도 증가한다.





정부의 세입, 세출이다.
세출은 줄고 세입이 늘고 있다. 물론 아직은 적자이다.






적자이기는 하나 감소하고 있다.
정부가 지출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고 그것이 고통을 줄일 수도 있다.
그러나 정부의 적자가 줄고 있는 와중에도 경제는 확장국면에 있다.
지난 4분기의 GDP 감소는 아직 위험 신호가 아니다.




수출, 수입.
수입은 과거의 고점수준이나, 수출은 과거의 고점을 넘었다.





게다가 전년 동월비로 보면 방향이 반대이다.
미국의 재정적자, 무역적자가 모두 감소하는 방향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러다가 달러가 강해지면, 원자재, 금은 바이바이. 그런가?

민주당에게 대통령자리를 넘겨주었어도 공화당이 원하는 방향이다.
신기한 일이다. 민주당도 원하던 것인가...





경기 싸이클 종합.
반쯤 왔다. 시간으로 봐도 숫자로 봐도 그렇다.





고용을 늘리고 싶으면 투자를 늘려야 한다.
투자가 늘면 싸이클은 진행한다.
아직 갈 길이 멀다. 고만 좀 싸워라.






us large tech stocks


초대형 기술주 몇개 를 모아보니 MS를 제외하면 2009년 대개 시총100조 정도였다.
애플, 구글 외에 oracle이 눈에 띈다.
앨리슨 CEO가 괴짜라 아이언맨의 모델이었다는데, 회사는 모범적인 성장을 10년간 지속했다.
돈이 남아서 하와이 섬도 통째로 사고, 섬에 갈 비행기도 회사채 산다는데, 배당은 0%이다.
회사가 성장하고 주가도 꾸준히 상승하니 주주들이 애플처럼 집단행동을 하지는 않는 모양이다.


AAPL Market Cap Chart


Seagate



저장 장치 시장

HDD는 사양산업이다.
지난 몇년간 삼성과 히다치가 빠져나가면서 seagate와 western digital이 전체시장의 90%를 과점하는 시장으로 변했다.

2011년 말 태국에서 홍수가 나면서 WD의 공장이 침수되고 전세계 공급이 감소하면서  HDD의 가격이 2배 이상으로 급등했다. 덕분에 2012년 두 업체는 사상최고의 실적을 기록했다.
아직도 HDD의 가격은 홍수이전의 가격으로 회복되지 않았다. 마치 구제역으로 인한 돼지고기 가격 급등과 비슷하지만 하락은 훨씬 더딘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무엇이 이런 차이를 만들어낼까?

홍수 이후 HDD 공급량의 감소, 가격 급등이 발생하는 동안 SSD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플래시메모리의 가격하락, SSD메이커의 전략적인 공급증가 등이 겹치면서 SSD의 보급이 광법위하게 진행되었다.

이전에 SSD와 HDD의 가격차이는 바이트당 100배에 가까왔지만, 지금은 10배를 조금 넘는 정도에 불과하다. HDD의 가격급등이 HDD의 퇴장을 앞당기는 것으로 볼 수 있는 일이 발생한 것이다.

홍수 이후 급등했던 가격에서 지속적인 가격하락이 이어지고 있고, PC의 사망으로 대변되는 태블릿으로의 수요 이동이 광범위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런 현상을 반영해서 HDD업체에 대한 투자 의견을 낮추는 경우가 많고, 실제로 두 업체의 PER 밸류에이션은 4-5로 미국의 IT업체 전체 업체 중에서 가장 낮다.

음울한 여건에도 불구하고 배당이 2-4%정도로 조금 높고, HDD에 대한 PC수요가 감소해도 하이브리드 디스크에 대한 수요가 대치할 수 있고, 태블릿, 스마트폰의 사용증가에 따른 클라우드 수요가 늘지만, SSD가 클라우드의 저장장치 수요를 대치하기에는 가격이 높고 물리적으로 SSD의 전세계 생산 캐파가 필요량의 10%에도 못미친다는 얘기도 있다. 

HDD산업이 사라지려면, SSD가 개인용 기업용 저장용량을 공급할 수 있어야 하는데 적어도 지금보다 10배 이상의 캐파가 필요하다. 향후 클라우드의 수요가 증가할 것을 고려하면 수십배에 달할 것으로 본다. 기술도 발전할 것이고, 투자도 증가할테니 가능한 시점이 올 것이다. 

두 HDD업체를 시가로 사려면 20조가 든다. per로 보면 5년에 원금의 회수가 가능한 것이다.

플래시메모리 업체는 삼성, 하이닉스, 마이크론, 도시바가 있는데, 삼성의 플래시를 20조로 치고, 하이닉스 18조, 마이크론 9조, 도시바의 플래시를 10조로 보면 60조 가까이 된다. 이 부분에서는 삼성을 제외하면 몇년간 이익이 나지 않고 있다. 여기에 샌디스크 12조, 마벨 5조등 관련 기업들의 시총도 만만치 않다. SSD를 팔거나, 기업에 저장 솔루션을 제공하는 부분의 가치도 높다. 적어도 100조에 해당하는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두 산업을 시총으로 비교하면 아래와 같이 차이가 크다.
HDD 20조 vs flash/SSD 100조

그런데 이익으로 비교하면 HDD가 크거나 비슷하다.
HDD 4조 vs flash/SSD 2-4조


HDD는 공급의 감소가 발생한 효과가 1년이 넘게 지속되고 있다. 사양산업이고 투자가 감소하고, 메이저 플레이어들이 탈출하면서 공급과 수요의 균형이 공급측에 매우 유리한 상황으로 이동했었다는 명확한 증거이다. 공급의 감소, 수요의 증가 어떤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비슷한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최근 메모리 가격 상승에 대한 업계의 기대감이 매우 높다. 일시적인 수요증가가 아니라 구조적으로 공급증가율이 낮아져서 발생한 문제라서 한두분기 이상 오래 지속될 것이라는 기대가 있고, 전세계 메모리 업체의 주가가 모두 강세이다. 그런데 대개 수요와 공급의 미스매치는 발생하더라도 몇 % 이내에 불과하다. 그것이 수십%, 수백%의 가격변동을 일으킨다. 

메모리의 공급 부족이 실제로 발생하려면 그것은 경기회복에 따른 안정적인 수요의 증가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같은 조건에서는 HDD의 수요도 그럭저럭 유지될 수 밖에 없고, 공급의 증가는 기대하기 어렵다.  seagate는 하이브리드 디스크에 WDC는 다변화에 관심이 있다.

얼마전 애플에 수천억을 투자하고, 우선주 관련해서 소송을 제기했던 아인혼이라는 펀드매니저가 있다. 애플이 비효율적으로 천문학적인 이익을 유보하고 있는 것은 반성할 일이지만, 우선주 발행이 기업의 가치를 올린다는 주장은 납득이 되지 않는다. 배당을 하든지, 자사주매입을 요구하는 정도로 충분하다. 우연히 그 사람이 운영하는 펀드에서 시게이트의 비중을 최근에 많이 낮추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과거에 성과가 좋으니 돈이 많겠지만, 적어도 최근에 알려진 내용만으로 보면 아주 정상으로 보이지 않는다. 이런 사람이 최근에 가장 많이 비중을 낮춘 것이 seagate라고 한다.

seagate나 WDC나 기업내용만으로는 비슷해서 자세히 들여다 봐야 한다. 그런데 아인혼이 힌트를 확실히 줬다. 그래서 seagate를 샀다.








미국 레스토랑 산업 인덱스



오픈테이블에서 발표하는 식당업계의 지수이고, 전년동월비와 비슷하게 만든 인덱스라는 설명이 붙어있다. 객단가가 높은 고가의 레스토랑이 이 회사의 예약서비스를 많이 이용한다고 하고, 저가 레스토랑은 상대적으로 적다고 한다.

미국 식당 예약에 관한 가장 큰 규모의 데이타베이스를 보유하고 있다고 하는데, 2010년부터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OpenTable Restaurant Industry Index - North America


http://index.opentable.com/

2013년 2월 25일 월요일

chipmaker



ARMH Chart
ARMH data by YCharts


TSM Chart
TSM data by YCharts


QCOM Chart
QCOM data by YCharts


NVDA Chart
NVDA data by YCharts


INTC Chart
INTC data by YCharts


MU Chart
MU data by YCharts


SNDK Chart
SNDK data by YCharts






돼지고기 거품



최근 2년간의 돼지고기 가격의 급등과 급락은 단기의 pork cycle과 관계없이 구제역이라는 재난 상황에 의해 발생되었다. 국산 돼지고기 수요의 감소, 수입 돼지고기 공급의 증가가 동시에 진행되었기 때문에 사육두수의 증가만으로 판단하는 것보다 그 영향이 오래 갈 것으로 보인다.

한우 순환
http://blog.naver.com/abdcdbr/150128453236

1년 전에 한우 파동으로 생산자, 소비자 모두에게 어려운 상황이 벌어졌었다.
이번에는 돼지고기 가격 급락이 다시 생산자, 소비자에게 어려움을 주고 있다.

변함없이 정부당국, 유통구조, 수입돼지고기를 탓하겠지만, 그것이 이번 돼지고기 파동의 원인이라고 보기 어렵다.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2011년의 돼지고기 가격 급등은 정상적인 pork cycle을 벗어난 특별한 조건이었다.

구제역으로 사육두수가 급감하면서 가격이 급등한 것이 문제의 시작이었다. 현재의 가격이 고점 대비 낮지만 과거 수준에 비해 낮은 것이 아니고, 이제 겨우 가격이 정상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사육두수도 과거수준으로 돌아온 것에 불과하다.

문제는 일반적으로 상품의 가격이 높을 때 상품뿐 아니라 상품공급자들의 공급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돼지가 문제가 아니라 돼지 사육자들이 문제가 되는 것이다. 높은 가격이 오래 지속될수록 공급과잉도 상당기간 유지되지만, 아직 사육두수가 과거보다 크게 높지 않기 때문에 한우파동 때보다 유리한 점이 있다.

수입 쇠고기는 한우와 품질의 차이가 크고 미국산 쇠고기에 대한 거부감이 남아 있지만,  수입 삼겹살은 상대적으로 국산과 구분이 잘 되지 않는다. 수입돼지고기로 전환된 수요가 돌아오려면 시간이 더 걸릴 수 있다.








모두 통계청 자료. 위의 둘은 직접 그린 것이고, 사육두수는 통계청이 발표한 그림이다.
한육우 사육두수가 여전히 증가하고 있었다.



2013년 2월 24일 일요일

검색엔진 밸류에이션 비교





검색 엔진 4개의 밸류에이션을 비교한 표이다.
야후,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시총, per를 사용했고, 점유율은 최근의 기사를 참조했고, 5년간 성장율은 과거의 수치를 어렴풋하게 확인한 것이고, 향후 성장율은 상식수준에서 조금 높게 추정한 것이다.

구글, 바이두(중국의 구글), 얀덱스(러시아의 구글), nhn(한국의 ???) 외에 지역별로 몇개의 검색엔진/포탈의 역할을 하는 업체(yahoo, bing, qihoo, daum 등)이 있으나 지역별 점유율이 낮거나, 기업의 매출에 기여하는 바가 적어서 여기서는 논외이다.

pc에서 모바일로 경쟁의 영역이 이동하고 있지만, 점유율은 pc의 검색 점유율을 따라가고 있다.
아직 모바일의 검색광고 수입이 검색퀘리수에 비해 매우 낮지만, 점차 높아지고 있다.
다양한 광고가 가능한 태블릿 시장의 확장이 가속되면 매출 증가는 가속될 것이다.

위의 업체중 검색의 점유율이 명확히 상승하고 있는 것은 yandex 하나에 불과하다.
나머지 업체들은 이미 지역별로 고착된 일정 수준의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고, 다양한 업체의 시장에 대한 접근으로 경쟁이 발생하고 있지만, 모바일로 인한 인터넷의 보급이 여전히 증가하고 있어서 검색빈도가 크게 감소하지도 않는다. 그러나 검색시장 자체의 성장은 과거처럼 빠르지 않은 것이 명확하고, 모바일 검색의 모네타이제이션은 아직 투자와 연구가 지속되어야 하는 영역이다.

google은 검색광고 이외에 안드로이드, 구글글라스, 구글 스토어, 스마트폰, 태블릿, 크롬북, 스마트카 등 많은 영역에서 혁신의 아이콘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과거 애플이 10년 동안 차지하던 위치를 차지할 가능성이 보이고, 주가, 밸류에이션이 그것을 반영하고 있는 중이다. 애플의 시대에서 구글의 시대로 넘어갈 가능성이 보인다.

baidu는 중국에서 구글이 과거에 했던 시도(전자상거래, 맵 등)를 따라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자체의 OS를 가지고 아프리카의 저가 스마트폰시장에 진출하거나 중국이외의 지역에서 검색의 점유율을 높이려는 시도도 하는 모양이다. 일단은 수익보다는 비용이 빠르게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 미국에서 살아남은 인터넷 기업들(아마존, 이베이, 야후, 구글 등)은 주주들의 실망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인 연구, 개발, 투자를 지속했던 기업들이다. 중국의 인터넷 기업들에서도 비슷한 모습이 보인다. 물론 생존, 번영은 다른 문제이다.

nhn은 검색만을 보면 yandex, baidu보다 높은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다. 최근 몇 년간의 성장율도 그러한 사실을 보여준다. 그러나 밸류에이션이 다른 검색업체와 비교해서 상당히 높다고 할 수 있다. 라인에 대한 기대감이 이미 상당히 반영된 것이다. 만약 라인이 없다면 적정 per는 baidu와 비슷한 수준일 것으로 보면, 적어도 50%의 프리미엄(4조)이 존재한다.

nhn의 세계 검색시장 점유율을 알지 못하지만 각국 인구와 점유율을 비교하면 얀덱스의 반 이상이 되기 어렵다. 다른 검색업체의 점유율과 시가총액이 3-4배 범위이고, 이 비율을 nhn에 적용하면 6조 정도가 적당하다. 이렇게 보면 100% 정도의 프리미엄(6조)이 존재한다.

nhn의 프리미엄이 라인때문이라고 한다면 시장에서 4-6조정도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것이다. 적당한가?
카톡이 최대 3-5조를 인정받는다고 하고, 트위터가 10-20조 정도를 인정받는다고 한다.
회원수, 접속자수, 매출 등 여러가지 비교가 가능하다. 상장기업들이 아니라 단편적인 정보밖에 없지만, 크게 거품이 있는 것으로 보기 어렵다.

이렇게 살펴보면 네 회사 중에 특별히 비싸거나 싼 것이 보이지 않는다.
성장율과 비교하면 그나마 baidu가 조금 싼 것이 아닌가 한다.
그런데 하필 그것만 포트폴리오에 빠져 있다.
이것이 중국에 대한 선입견때문일까?
향후 10년간 다른 어떤 지역보다 빠르게 성장할 것이라고 하는데, 극복하기가 쉽지 않다.









2013년 2월 22일 금요일

google baidu yandex priceline apple




GOOG Chart
GOOG data by YCharts


BIDU Chart
BIDU data by YCharts


YNDX Chart
YNDX data by YCharts


PCLN Chart
PCLN data by YCharts


AAPL Chart
AAPL data by YCharts






google boom







심사에 통과한 사람만 google glass를 1500달러에 사서 시험해 볼 기회를 주겠다고 한다.

연말까지 google store를 열 계획이라는 소문이 있다.

구글의 무인 자동차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주가가 800달러를 넘자, 구글의 목표주가를 1000달러로 올린 분석가가 2명 나타났다.




2013년 2월 21일 목요일

저장 장치 시장


아래는 2012년 메모리, HDD시장의 시장 점유율이다.




HDD시장은 3개 업체의 과점체제로 정리되었다.
Nand 플래시에서 인텔은 마이크론에게 합작공장의 지분을 넘기고 공급받는 처지라서 실제적으로 4개 업체가 남았다고 할 수 있다.
Dram에서 엘피다가 마이크론에게 인수되었으니 무의미한 점유율을 가진 업체들을 제외하면 3개 업체로 정리되었다고 할 수 있다.




HDD가 ODD처럼 사양산업이 될지는 아직 알 수 없지만, 여전히 SSD와 10배가 넘는 가격차를 고려하면 아주 빠르게 진행되지는 않을 것이다. 하이브리드 디스크와 클라우드의 확장으로 상당기간 SSD와 경쟁할 수 있을 것이다.

삼성은 HDD를 seagate에게 넘기고 약 10%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고,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어서, 저장장치의 모든 영역에서 가장 큰 위치를 점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도시바는 HDD와 NAND를 보유하나 점유율이 낮다.
하이닉스와 마이크론은 메모리 시장만을 WDC는 HDD시장만을 차지하고 있다.
삼성을 제외한 업체들은 장기적인 생존을 위해서 새로운 영역으로 진출하거나, 덩치를 키울 필요가 있다.

인텔처럼 WDC도 인터넷 TV시장에 진출했지만, 성공할지 알기 어렵다.
나머지 세 업체 중 하이닉스는 당분간 합종연횡에 참여하기 어려울 것이다.
도시바, 마이크론이 합친다면 저장장치 시장은 거의 완벽한 독과점시장이 될 것이다.









2013년 2월 20일 수요일

3doodler






http://www.the3doodler.com/

3d 프린터 대용으로 쓸 수는 없을지 몰라도 몇 만원대의 가격이라면 어떤 용도로든 쓸모가 있을 것이다.

3차원으로 그릴 수 있다는 것은 실용성을 떠나서 자체로 재미있는 일이다.



3M, corning, seagate, wdc





MMM Chart
MMM data by YCharts



GLW Chart
GLW data by YCharts



STX Chart
STX data by YCharts



WDC Chart
WDC data by YCharts



WDC Chart
WDC data by YCharts

경향하우징페어 두번째 참관


작년에 이어 두번째 참관이다.
LG, 한화는 이번에도 참여하지 않았고, OCI는 작년에는 크게 전시하더니 이번에는 보이지 않는다. KCC는 더 큰 부스를 만들어서 전시하지만 내용은 부실해지고 인테리어 상담하는 직원과 자리가 많아졌다.

LED조명, 시스템 창호, 태양열/태양광, 공구, 한옥, 나무집, 외장재, 바닥재 등의 비율의 비슷한 것 같은데, 전체적으로 줄고 동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가구 전시가 많이 늘었다.

작년에는 기억나는 외국업체가 한 두개 있었다. 그런데 올해는 일본업체들 몇개 (히노끼 등), 대만업체 한 개, 중국업체 몇 개, 기타 외국업체 몇 개 등 작년보다 외국업체가 늘었다.

전체적으로 작년보다 부실하다.
경기의 탓일까?

그래도 새로운 것들이 많으니 시시한 전시회들보다는 백 배 낫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