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unit labor cost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unit labor cost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3년 2월 9일 토요일

Unit labor cost vs disposable income


채훈아빠님의 글에서 단위노동비용과 GDP 디플레이터를 보는데, 추이가 매우 비슷해보인다.


두 개를 겹쳐보니 매우 잘 일치한다.
다만 단위 노동 비용의 변동성이 훨씬 더 크고 평균적으로 GDP deflator보다 적은 값을 유지한다.



소비자물가지수, PCE deflator와도 같이 겹쳐보았다.
여전히 큰 차이는 없다.
다만 생산자 물가는 변동성이 다른 물가보다 매우 커서 제외했다.

단위 노동 비용은 본질적으로 기업의 여러가지 비용 중 하나이다.
그 중에서 노동력에 대한 비용을 표시한 것인데, 임금이 물가와 잘 연동된다는 것은 잘 알려진 것이다.
그러니 단위노동비용과 물가지수들이 일치해도 상식적으로 이상할 것은 없다.

그렇지만 두가지 의문점이 생긴다.
왜 시차가 없는가?
왜 단위노동비용증가율이 체계적으로 물가보다 낮은가?




비교를 위해 우선 명목 가처분 소득을 겹쳐 보았다.
80년 이후 일반적으로 단위노동비용<GDP디플레이터<소비자물가<소득증가율 순이다.
기업의 노동비용증가율은 물가보다 적고, 노동자의 소득 증가율은 물가보다 높다.

그런데 단위노동비용과 소득증가율의 차이는 60년 동안 일정한 수준(3-5%)을 유지한다.

노동시간증가?
노동인구증가?
생산성?
보조금?

단위시간당 명목 임금 증가율을 사용하면 일부 변수를 배제할 수는 있을 것이다.
그러나 어느 한가지가 다 설명할 수는 없다.
마치 저 차이를 유지하는 메카니즘이 존재하는 것처럼 일정하다.
좀 신기한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