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7월 5일 금요일

sec 2013q2




매출은 57조.
계절성을 고려하면 정상적인 성장.

9.5조의 op.
지난 분기 소송충당금을 고려하면 2011년 이래 지속 증가 중.




opm 16.7%.
지난 분기 16.6%와 비슷. 2007년 이래 최고.


말들이 많지만, 실적이 아깝다.




----------------

갤럭시 s4 판매 기사는 전과 달리 회사의 공식 보도자료에 의한 것이 아니라 신빙성이 떨어진다.
2000만대 돌파 시점이 6월 언제인지도 알 수 없고, 2분기 판매량이 2천만대를 얼마나 넘는지도 알 수 없다.
이미 잠정실적이 발표되었는데도 회사에서 언급이 없다.
자신감이 상실되었든 다른 이유이든 전에 하던 것은 꾸준히 했어야 한다. 그래야 시장의 신뢰를 얻는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421&aid=0000360478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31&aid=0000295793





----------------

0704


시장이 원하는 것이 정말 10조의 영업이익인가?
그렇다면 2분기까지 4분기 합산 영업이익은 36조이다.
2분기 순이익이 8.5조라면 4분기 합산은 29조이다.

그렇다면 상식적으로 시가총액이 얼마라야 하는가?

전세계 it업체는 몇개를 제외하면 하드웨어 업체는 11에서 15정도이고, 소프트웨어업체는 대개 20 이상이다.
애플 10, 퀄컴 17, 인텔 12, tsmc 16, MS 16, 구글 27.

삼성전자는 과거에 9-10 정도가 일반적으로 인정받던 하단값이다.
9배에서 261조, 10배에서 290조 정도된다.

현재 시가총액은 194조 (자사주 제외시 170조) 정도된다.

만약 시장이 10조의 영업이익을 실제로 기대한다면 현재의 시총은 위기상황이 아니면 나오기 어렵다. 그러나 지금 금융위기 속에 있는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2분기 얼마의 실적을 보이던 장기적으로 연 25조정도의 영업이익, 20조정도의 순이익을 유지하면 현재 주가와 어울린다. 그런 점에서 14년 혹은 15년의 둔화된 스마트폰시장을 당겨서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12년의 영업이익 순이익이 각각 29조, 24조였다.
그것보다 낮은 실적이 유지될 것으로 시장이 예상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2분기 실적이 어떻게 나와도 별 의미가 없다.

작년 3분기 이후 6조 이상으로 증가된 순이익을 유지할 능력이 있는지 보여주어야 하지만,  미래를 보여줄 방법이 있는가? 쉽지 않은 일이다.
실제로 노키아나 블랙베리같은 업체들이 지난 몇 년 간 보여준 쇠락은 it기업들의 지속가능성에 의문을 갖게 한다. 결국 10조 전후의 영업이익이 유지되는 것으로는 부족하고, 뭔가 더 확실한 것을 보여야 한다.


그럼 시장이 삼성전자에 바라는 것이 무엇이 있을까? 물론 아이폰같은 획기적인 상품을 내놓는 것을 제외하고 말이다.

1. 순이익 예상치가 30조 이상이라는 것으로 부족하면 그것을 뛰어넘어서 35조, 40조의 순이익을 만드는 것이다. 9억대의 스마트폰 시장이 4-5년간 17억대 이상으로 성장하는 것을 피하기 어렵다. 삼성이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고 영업이익율을 10%대로 유지하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노키아가 전성기에 했던 일이다.

2. 매출이나 이익에서 세계 it 업체 1위에 올라가면 할인율은 감소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아쉽게도 현재 수준의 예상실적에서는 다른 기업이 도와야 가능한 것이라 2분기에는 쉽지 않을 것이다.

3. 아직 가능성이 없지만 진행중인 신사업(바이오, 의료기...)에서 돌파구가 생길수도 있다. 이것은 먼 미래의 일이다.

4. 사업부문별로 기업 분할을 할 필요성이 있다. 이미 삼성디스플레이는 분사해서 자회사의 형태로 존재한다. 휴대폰, 가전, 반도체 중에서 반도체는 지금도 나누는 것이 영업 면에서도 유리할 수 있다. 이미 올해 들어 삼성전자는 공식적으로 3부문으로 나뉘어 운영되고 있다. 또한 한국 주식시장의 규모로 볼 때 지금의 삼성전자 한 회사의 비중이 과하게 커서 시장에 혼란을 초래하는 경우도 있다.

5. 지배구조, 승계와 관련해서 지주회사 전환 외에 대안은 없다. 삼성전자의 자사주, 삼성물산, 삼성생명의 지분들이 결국은 지주회사로 모이고, 사업자회사가 분리되는 구도가 될 가능성이 높은데, 언제 어떤 방식을 취할 것인가는 알기도 어렵도 또 이재용이 전면에 나서기 시작한지 겨우 몇개월이라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6. 한국시장이 전세계의 선진국, 후진국 주식시장을 통털어 배당 수익율이 가장 낮은 편이다. 대부분의 국가들이 3%에서 5%이고, 2%도 많지 않다. 한국이 1%에 불과한 가장 큰 이유는 삼성전자의 배당이 낮기 때문이다. 비록 성장기에 투자에 필요한 자금을 유보할 필요가 있다고 하나 필요한 투자를 하고도 이미 순현금이 증가하는 상태에 들어갔다. 올해부터 이익규모에 따라 10조에서 20조까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0.5%에 불과한 배당수익율을 3-4%정도로 올려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 그래봐야 겨우 애플, 인텔과 비슷한 것이다.

7. 삼성의 자사주 매입은 그들에게 가장 필요한 일이다. 지주회사로 전환한 대부분의 기업들이 자사주를 이용해서 지주회사에 사업자회사에 대한 지분을 늘렸고, 이것은 대주주가 지분교환을 통해 자회사를 지배하는 기틀이 되었다. 자사주 매입은 지주회사로 전환되지 않은 한국 기업에서는 소각하지 않으면 소액주주에게는 득이 된다고 할 수 없다. 찬성하기 어렵지만 긍정적으로 보는 사람들도 있기는 할 것이다.

8. 현재 주가는 백만원을 넘어선지 오래이다. 삼성그룹 내에도 에스원, 제일기획처럼 액면분할을 한 기업들이 있다. 1/10정도 분할은 언제라도 가능할 것이다. 가치 증가와는 관련이 없어도 분할매수, 분할 매도에 유리하다.

9. 해외투자자들이 직접 투자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ADR 혹은 GDR을 외국 시장에 상장할 수 있다. 실제로 외국 투자자들이 삼성전자에 투자하는 것이 불편해서 미국에 상장된 한국 etf에 투자하거나 아예 포기하기도 한다는 것이 기사에도 등장한다.

10. 당분간 조용할 것으로 보이지만, 주식 양도세 문제가 끝없이 발목을 잡을 수 있다. 이 문제가 어떤 식으로든 결론이 나야 수익이 난 장기투자자들이 방침을 정할 수 있다. 이것은 물론 삼성전자가 어찌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11. 통상 임금과 관련한 소송이 삼성과 관련되었다는 뉴스를 듣지 못했다. 그러나 이 문제도 한국과 관련된 지뢰라고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사회적인 타협의 문제이기 때문에 소송보다는 정치적인 해결이 좋을 것으로 보지만, 중요한 것은 질질 끌지 않는 것이다.

댓글 6개:

  1. 주가는 정말로 이해할 수가 없군요.

    이익이 얼마든, 손해가 얼마든 상관없이 짐싸고 나가고 싶다라고 소리치는 듯한 느낌...

    지금 주가는 아무래도 2004년도에 봤던 모습과 흡사한 것 같은데, 그 때는 실적이 계속올라가는데도 주가가 하락했던 기억이..

    http://pds23.egloos.com/pds/201212/06/58/a0116058_50c02928c1208.png

    그때 PER가 대략 6정도까지 떨어졌고 ROE는 30근처에서 정점을 찍고 추세적으로 하락..

    이해를 할 수 없으니 만들 수 있는 여러가지를 끌어온다면, 그냥 나가고 싶다고 아우성 치는 모습 같네요..

    답글삭제
    답글
    1. 딱 그 때랑 비슷하지만 내용은 더 좋아 보이는데...
      시장은 아우성이라는 표현이 적당하네요. 받을 수 없는 것이 아쉽네요.

      삭제
    2. 삼성전자가 아니라 한국증시를 거부하는 느낌입니다. 만약 미국회사였다면 이랬을까 싶네요. 단지 삼성전자만의 이슈를 가지고 파는건지 좀 의심이 가네요. 매도이유로 언급되는 것들이 아예 없는 말도 아니라는 점은 좀 아쉬운 부분입니다. 생각보다 다른 업체들의 반격이 빠른 것 같아요.

      삭제
    3. 시장이 가중치를 두는 미래가 있겠지만, 얼마나 멀리 보는지, 얼마나 정확히 보는지는 역시 시간이 검증해주겠지요. 투자는 '시간의 성과'잖아요. ㅎㅎ.

      삭제
  2. (이게 모두 다 아베때문이다)엔화 약세는 주기적으로 약 2-3-4년 정도 (짧으면 2년 길면 4년보통 3년)마다 오더군요. 거기에 맞추어 자동차와 아이티 주가가 오르락 내리락... 이번엔 달러 강세와 엔화 약세가 동시에 와서 우리 증시에 악천후인듯 합니다.

    답글삭제
    답글
    1. 원엔 장기차트를 보면 주기가 다릅니다.

      http://stooq.com/q/?s=jpykrw&c=30y&t=c&a=lg&b=1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