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2월 13일 화요일

물가와 환율 usdkrw, cpi 20161213


1
물가상승률과 환율을 비교하는 것은 몇년만 봐도 되지만, 물가 자체를 환율과 비교하려면 조금 길게 볼 필요가 있다.
레벨을 비교하는 것과 방향을 비교하는 것의 차이때문이다.



2
물가를 고려한 환율은 실질환율이다.
물가를 고려한 환율을 무역가중으로 평균한 것이 실질실효환율이다.

보통의 전문가들이 하듯이 실질실효환율을 2000년 전후부터 비교하는 것은 위의 그림 중에서 아래의 그림을 보고 물가비율과 환율을 비교하는 것과 같다.
그렇게 하고 원화가 강세라고 얘기하는 것은 원화가 펀더멘탈대비 강하다고 보는 것이고 그런 관점에서 1300원 정도가 한국경제에 걸맞는 수준이라고 보는 것도 전혀 말이 안 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그것을 딱 10년만 연장해서 보면 현재의 물가수준에서 적정한 환율은 1000원 아래가 된다.
이것은 실질(실효)환율을 길게 봐도 되지만, 물가와 환율을 따로 보고 비교하지 않으면 보통 사람의 눈과 감각에는 벗어난다.
당연히 생각에서도 벗어난다.
더구나 10여년짜리 차트만 보는 사람들의 눈과 머리에서는 벗어나는 것이 정상이다.

실질환율, 실질실효환율을 보는 것보다 좋은 방법은 환율과 물가를 함께 놓고 비교하는 것이다.

아직도 많은 전문가들은 그렇게 하지 않는다.
이유는 실질환율은 두나라의 물가를 비교하는 것이라서 상대적으로 쉽지만, 실질실효환율은 많은 국가의 물가를 비교하는 것이라서 어렵기 때문이다.
neer와 reer를 비교해서 관련된 모든 국가의 물가비율을 포착하는 방법을 생각해봤지만, 아직 아무도 그렇게 하지 않는다.

http://runmoneyrun.blogspot.kr/2015/04/reerneer-inflation-ratio-from-bis.html




3
물가비율과 환율을 비교하고, 각각의 전년동월비를 비교하는 것이 상식에 부합한다.
그러나 시장은 레벨보다 속도에 빠르게 반응하는 경우가 많다.
(주식시장이 이익보다 이익의 변화율에 반응하는 것과 비슷하다. 심하면 1차가 아니라 2차미분에 반응한다)
그러니 환율과 물가를 비교하는 경우에 물가, 환율, 각각의 변화율을 전부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물가와 환율만을 비교해서 원화의 적정수준을 판단한다면 나는 단기적으로 1000원 전후라고 본다.
그렇다고 1300원이라고 보는 자들이 틀렸다고 보는 것은 아니다.
환율 변동성은 장기적으로 물가와 비교할 수 없게 높다.
왜?
가끔씩 시장과 사람들이 미치면 수많은 시장의 평균에 해당하는 물가보다 하나의 시장에 해당하는 환율이 그 미친 정도를 더 크게 반영하기 때문이라고 본다.


결론은?
시장이 미쳐가면 1300원, 정상화되어가면 1000원.


참고로, 위의 물가와 환율의 관계는 중국과는 반대이다.
과거에 비교해 본 10여개의 나라 중에 오로지 중국만 반대이다.




2016년 12월 12일 월요일

G2, dollar, yuan, ppi, cpi


세상 일에 이해하기 쉬운 것도 있고, 어려운 것도 있다.
물가는 그 중 이해하기 쉬운 편이고, 환율은 그 중 어려운 편이다.

그러나

돌이켜보면 최근 몇년 간 발생한 위안화의 약세는 오로지 물가만으로 설명해도 충분하다고 본다.



G2에서 생산자물가 소비자 물가가 모두 오르고 있다.
결국 기름값이 핵심이다.
여기에 장기 싸이클, 단기 싸이클을 고려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미국, 중국이라고 표시해놓지 않으면 구분하지 못할 정도로 비슷하다.

미국 생산자 물가는 골라 쓰기 어려울 정도로 다양하다.
그 중 Producer Price Index by Commodity for Final Demand: Finished Goods (WPSFD49207) 을 사용했다.
이유는 더 자주 쓰이는 ppiaco가 중국ppi보다 변동이 과도하게 커서 아래처럼 국가간 물가 비교시 기술적인 문제를 낳기 때문이다.




미국과 중국의 물가 차이를 보면 14년 말 기름값이 폭락한 뒤로 소비자물가와 생산자 물가의 방향이 다른 것을 볼 수 있다.

미국의 소비자 물가가 침체가 우려되는 수준에서 벗어나면서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던 중국 물가와 차이가 감소하고 있다.
이것으로 미국경제, 미국통화의 강세를 설명할 수 있나? 가능하나 복잡하다.

그럼 생산자 물가에 같은 논리를 적용할 수 있나? 아직은 어렵다.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2/future-of-yuan-from-china-cpi.html

중국 미국의 소비자 물가 차이와 환율의 관계는 다른 나라와 같지 않다.
설명은 가능하지만 다른 나라와 반대의 관계를 보인다는 점에서 수수께끼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이 2005년 이래 강화되었지만 2014년 위안화 약세가 시작되면서 달라지고 있다.
아직도 많은 환율 전문가들이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점이다.

한국의 역사적 환율 변동을 금리차로 설명하려는 시도는 넌센스라는 것을 이제는 많은 전문가들이 알고 있다. 아마 10년 정도 걸린 것 같다.
그러나 최근 몇년 동안 급격히 증가한 경상수지 흑자, 안정된 외화보유고가 한국을 환율 선진국으로 만들어 줄지는 아직 알 수 없다.
그런 불측한 한국조차 물가와 환율의 장기적 관계는 교과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한국 환율예측이 어렵다면, 중국은 그런 점에서 몇 배는 더 어렵다.

외환보유액의 추이는 여전히 위안화와 관련성이 높다.
그러나 장기적인 방향은 물가 수준이 결정하게 될 것으로 본다.


-------------------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10/yaun-20162021.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8/china-yuan-foreign-exchange-reserves.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3/yuan-vs-chinese-export-broken-relation.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6/china-cpi-20160610.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5/china-cpi-up-us-cpi-up-next.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5/china-cpi-20160512.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5/pork-crisis.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3/the-end-of-current-business-cycle.html





bdi vs interest rate 20161212





http://stockcharts.com/freecharts/perf.php?$TNX,$BDI,$DJUSCL

기름값이 반등하기 시작한 16년 초 이후 철광석, 석탄, 산업용금속 등도 바닥을 확인하고 있다.
건화물을 나르는 벌크선 운임도 기름값과 비슷한 시기에 저점을 확인했다.
비교해본 원자재 혹은 직접 관련된 지표, 지수들 중에서 bdi가 최근 급등하고 있는 미국 금리와 2009년 이래 가장 높은 관련성을 보인다.

bdi나 구리가 대표적인 경기의 바로미터라고 알려져 있지만, 중요한 시기에 오버슈팅, 언더슈팅, 독야청청, 독박 등으로 별 쓸모가 없다.
이해하기 쉽고 피부에 와닿는 지표로서는 그런데로 쓸만하다고 볼 수 있지만,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나 생산자 물가, 소비자 물가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으로 보면 기름값이 모든 원자재 중에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다시 봐도 경제지표로서는 금리관련 지표들만한 것이 없다.
금리차, 금리, 금리전년동월비를 보면 그것으로 직접적인 관련성을 확인할 수 없는 경제 분야는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12/interest-rate-copper-zinc-lead-gold.html



2016년 12월 8일 목요일

항공화물여객 20161208


항공화물 20161109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11/20161109.html



10월의 급증이 노이즈가 아니라 추세의 연장이라는 점을 확인.
수출 증가와 관련될 수도.

수출과 무역수지 - 변곡점을 지났다http://runmoneyrun.blogspot.kr/2016/12/blog-post.html




여객은 계절적 저점. (도착=출발)
14년, 15년과 비교시 상승추세는 유지하나 둔화 중.


약 1년간 지속된 항공화물여객 둔화에서 완전히 벗어남.





2016년 12월 7일 수요일

interest rate, copper, zinc, lead, gold 20161207




1
copper, zinc, lead

07년, 11년 고점이후 하락. 16년 반등.




2
copper vs gs10

금리와 동행.



3
copper yoy vs gs10 yoy

전년 동월비로 보면 2011년까지 높은 관련성.
최근 몇년간 지속적인 하락으로 관련성 낮아짐.




4
copper/gold 바닥권.
역시 금리와 동행.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11/real-rate-20161111.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3/coppergold.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6/gold-20160622.html


향후 물가가 오르고, 금리가 오르고, 여기에 실질금리까지 상승한다면
base metal, 달러, 금은, 장기채권 순으로 안전.







2016년 12월 4일 일요일

cosmetics retail sales, online, offline, cross border, export 20161204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11/cosmetics-retail-sales-20161101.html



1
월말 발표된 10월 소매판매.
추세 유지 중이나 성장률은 10%대로 둔화.



2
10월 온라인 소매판매.
성장률 감소했으나 증가추세 유지.
오프라인 판매는 2년째 정체.



3
월별비교 시 오프라인 판매의 정체 명확.

면세점 매출 월 1조 중 화장품 매출은 50% 전후. 약 5000억.
13년 이후 면세점 화장품 매출의 증가를 고려하면 이를 제외한 오프라인 매출은 13년이 고점.

분기별로 발표되는 역직구 매출을 확인하면 14년 이후 온라인 매출 증가의 2/3는 중국매출.


연간 화장품 소매판매 20조.
연간 면세점 화장품 매출 6조 (수입화장품 포함). 이중 중국 비중 80%.
연간 역직구 매출 1.3조.

연간 화장품 수출 4.5조.
연간 중국홍콩수출 3조.




4
만약 지구상에서 중국이 사라지면
소매판매는 20조에서 14조로 감소.
수출은 4조에서 1.5조로 감소.

따이공규제, 역직구규제, 관광규제, 구매규제 등을 통한 한 채널의 감소는 다른 채널의 증가로 보완되지만, 15년 3분기처럼 계절성, 전염병, 따이공규제 등이 동시에 작용하면 백약이 무효일 수도.

11월 수출에 대한 시장의 반응이 그러한 듯.




2016년 12월 2일 금요일

ism pmi, cumulative pmi, korea export 20161202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11/ism-pmi-cumulative-pmi-korea-export.html

수출과 무역수지 - 변곡점을 지났다http://runmoneyrun.blogspot.kr/2016/12/blog-post.html




한국 수출과 관련성이 높은 ism pmi 회복.
20개월만에 최고라고.



ism pmi 구성요소 중 선행 지표들의 회복도 진행.
최근 몇개월만 보면 선행성이 의심되지만 트럼프 효과라고 볼 여지 존재.




cumulative pmi는 아직 방향을 판단할 수 없음.

유가와 한국의 수출이 시사하는 것은 상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