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9월 22일 일요일

global 호구 list



동부화재 2200억원
LIG손보 1000억원
메리츠화재 550억원
현대해상 330억원
교보생명 500억원
KIC가 지난 4월 800억원
하나생명
KDB 생명
교원공제회 5000만달러
사학연금 5000만달러
증권사 중에서는 유일하게 KDB대우증권 5000만달러




골드만은 수수료로만 10%를 남겨먹었다.
말레이시아는 금융시장에 폭락이 발생하기 직전에 채권을 대량으로 발행했다.
채권이자 1%를 더 먹겠다고 떼로 몰려들었다가 최근 신흥국 금융시장의 급락으로 단번에 10%정도를 날린 투자자에 한국의 대형 보험사들이 대부분 포함되어 있다. 삼성, 미래는 일단 기사에는 없다.

골드만이 한번에 버는 수수료가 10%이고, 한국의 금융사들이 10년동안 추가로 벌기를 기대했던 이자가 10%이고, 최근에 몇 개월간 발생한 손실이 10%이다. 
한국의 금융회사들이 현 상태에 머물러 있으면 앞으로도 이런 꼴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다. 
이런 꼴을 당하고도 무슨 일이 있었는지 골드만삭스의 내부고발이 없었다면 알 수도 없었을 것이다.

지난 2년간 국내 증권사들이 브라질이나 기타 신흥국 채권을 고객에게 넘기면서 떼 먹는 수수료가 3-4% 정도였고, 고객들이 더 벌기를 기대했던 이자가 연1-2%였다. 세금혜택을 포함하면 조금 더 클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최근 발생한 손실이 대략 10-20%정도는 된다고 한다.

한국의 금융기관들이 외국의 금융기관들에게 당하고, 국내 소비자들을 털어먹고 있다.
나는 몇 푼이지만 골드만 삭스에게 배당을 받아먹고 있으니, 저런 금융회사들보다는 훨씬 애국을 하고 있는 셈이다. 이런 우라질.


-------------------------

골드만 '불완전 판매 논란' 말레이채권…동부화재 등 보험사들 5억弗 샀다



"동부화재 2200억원, LIG손보 1000억원, 메리츠화재 550억원, 현대해상 330억원 등 손보사들이 매입에 적극적이었다. 대형 생보사 중에서는 교보생명이 500억원어치를 사들였다.

보험사 외에는 KIC가 지난 4월 800억원어치를 매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투자은행(IB) 업계 관계자는 “구글에서 검색할 수 있는 정보를 놓친 (보험사) 실무자들이 책임을 느껴야 한다”며 “1MDB를 산 보험사들의 리스크 관리 능력에 문제가 있다는 시장의 평가가 있다”고 말했다."



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78717

"대형사 중에서는 교보생명이 500억원 정도를 투자한 것으로 전해졌고 하나생명과 KDB생명 등도 말레이채권에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다."


[더벨]자본시장법 위반, 문제의 골드만삭스 중개 채권은

[마켓인사이트] 골드만이 판 '말레이시아 폭탄채권' 연기금·증권사도 샀다


"한국투자공사(7600만달러), 교원공제회(5000만달러), 사학연금(5000만달러) 등이 샀다. 증권사 중에서는 유일하게 KDB대우증권이 5000만달러를 투자했다.  "



------------
관련

http://runmoneyrun.blogspot.kr/2013/09/goldman-and-1mdb.html




2013년 9월 19일 목요일

No taper - 버냉키의 추석 선물


선물로 뒤통수를 내려친 느낌.

아래는 EWY.






Ben Bernanke Goes Hardcore Dove


ben bernanke
REUTERS/Jim Young
Ben Bernanke smiles after being sworn in as the 14th Chairman of the Federal Reserve Board during a ceremony in Washington, February 6, 2006.

2013년 9월 18일 수요일

country of risk, risk of country




source: yahoo


시장이 반영하는 리스크가 뉴스와도 지표와도 조금씩은 다르다.

중국, 한국이 비슷하고, 남아프리카, 러시아가 비슷하다.
대만까지 포함해서 다섯나라가 신흥국 중 빨리 회복했고 결과적으로 지난 6개월 간의 성과가 비슷하다.

멕시코가 좋다고 하지만, 차이가 크고 현재 벌어지고 있다.
fragile x에 포함된 남아프리카가 매우 위험한 나라라고 하지만, 한국과 비슷하다.
말레이시아는 안전하다고 하지만 인도네시아보다 조금 나을 뿐이다.
터키, 인도, 인도네시아는 우열을 가릴 수가 없다.

다른 무엇보다 환율까지 고려하면 한국과 중국이 가장 비슷하다는 것이 마음에 걸린다.
중국의 위험과 한국의 위험이 성격상 비슷한 것인가?

한쪽은 부채가 가장 많은 나라에 속하고, 다른 쪽은 저축/투자가 가장 많은 나라에 속한다.
비슷한 점이 있다면 부동산 가격에 대한 의심과 금융시스템의 잠재된 위험.
중국의 은행지분을 올해까지 미국 투자은행들이 상당히 털어냈다고 한다.
한국의 소매은행, 투자은행 관련업무에서 손실을 보거나, 정리하고 떠나는/떠나려는 외국계은행들의 움직임은 새로운 것이 아니다.
금융에 관한 한 중국과 한국은 시장과 정부가 부실을 키우고 있다는 점이 공통점이고, 그것을 감당할 생각이 외국 자본들에게 없다는 의심이 든다.

지금은 중국이 아니라, 미국, 유럽과 비슷해져야 안심이 되지만, 중국이 푼 돈 덕에 한국의 기업들이 직접 수혜를 본다면 자체로 나쁠 일은 없다. 소비가 아니라 투자에 기반한 중국경제의 고성장이 지속가능하지 않다면 그 뒤가 문제일 뿐이다.



2013년 9월 17일 화요일

Lehman brothers 2013/09/15 price chart


어떻게 되는지 보자는 심정으로 캡쳐해두었는데, 벌써 5년 전의 일이다.
당시에는 리먼의 파산 말고도 비현실적인 사건들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었지만, 아직도 2008년 금융 위기를 리먼 사태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는 것을 보면 가장 큰 사건 중의 하나였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94년의 저점부터 2007년의 고점까지 20배 이상 상승했다.
그것이 2년 동안 사라져 버렸다.




베어스턴스가 구제금융을 받고 살아났던 3월처럼 마지막 순간까지 리만도 구제될 가능성이 높다고 많이들 생각했을 것이다. 나도 그랬다.

그러나 파산 일주일 전부터 이미 상당수의 사람들이 기대를 접었다는 것이 주가에 나타난다.
이전 2년 동안 80달러에서 15달러로 1/5토막이 된 주가는 한 주만에 다시 3달러대로 1/5토막이 되었다.






리먼 파산은 금융시장의 태풍이 되었고, 이후 세계 경제는 대공황 이후 최대의 충격에 노출되었다. 위험을 예측했다면, 아마 연준의 판단은 달랐을 것이다. 이후 위기의 확산을 막기 위해 전 세계에서 수천조 원 이상이 투입되었다. 그래도 많은 피해자들이 나왔지만, 미국정부와 연준의 적극적인 개입과 양적완화가 전세계의 더 큰 손실을 막은 것으로 볼 수 있다.

구제금융 덕분에 BofA, AIG같은 금융사가 결국 살아났다. 제조업의 대표격인 GM도 살아났고, 크라이슬러도 살아났다. 미국 경제가 최근 급격한 테이퍼링에 떨었고, 덕분에 서머스가 낙마했으니 아직은 미국 경제의 자생력에 대한 확신이 미국인들 사이에 크지는 않은 모양이다.

돌아보면 다 알 것 같아도, 여전히 어떤 것이 최선이었는지는 알 수가 없다.
만약 리먼을 구제했다면?
이후에 다른 기업들을 구제하지 않았다면?

산업은행이 리먼을 인수했다면 한국이 망했을까?
아니면 한국이 세계를 지옥에서 구했을까?
혹시 세계를 구하고 망하고 있었을까?








2013년 9월 15일 일요일

3d printer: neverending story


http://www.gizmag.com/mebotics-microfactory/29065/
http://www.kickstarter.com/projects/327919589/the-microfactory-a-machine-shop-in-a-box

With the Mebotics Microfactory you can etch, print and mill on the same machine!

With the Mebotics Microfactory you can etch, print and mill on the same machine!





http://www.theinquirer.net/inquirer/news/2294483/intel-says-open-source-3d-printed-robots-are-coming

Intel's somewhat crazy sounding Twenty-first Century Robot project aims to let anyone create robots, and change them and share them in online communities, enabling them to be 3D printed with varying designs.

Intel's 21st century robot project shown off at IDF - Jimmy and Paul






http://runmoneyrun.blogspot.kr/search?q=3d+printer
http://runmoneyrun.blogspot.kr/search/label/3d%20printer

David Dreman - surprisingly mediocre return




source: yahoo

위는 펀드 매니저이면서  유명한 투자관련서적을 쓴 데이비 드레먼의 2007년 고점 이후 성과를 확인한 것이다.
나스닥보다는 못하고 s&p500보다는 낫다.
시장평균과 다르지 않은 것이다.

모닝스타에서도 같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http://quotes.morningstar.com/fund/DRSVX/f?t=DRSVX

펀드의 규모는 채 1000억도 되지 않는다.
규모가 커서 문제가 될 상황은 아니다.

2003년부터 2007년까지 만 4년동안은 40%정도 시장을 앞섰다.
어떤 것이 진짜 실력일까?

펀드의 홈페이지에도, 특이사항이랄 것은 없다.

금융위기 이후 헤지펀드들의 성과가 시장과 비슷하거나 못하다고 한다.
헤지펀드의 상대적인 성과가 부진해진 것은 이미 10여년 이상 지속되었다.
그래서 수수료를 낮추는 경향이라고 한다.
한국은 이렇게 어려울 때 헤지펀드가 시작되었으니, 살아남으면 실력은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미 확인한 것처럼 그 유명한 빌 밀러도 실속이 없다.
못지 않게 유명한 데이빗 드레먼도 실속이 없다.
일본의 사와카미 펀드도 유명세에 비하면 그저 일본 지수를 조금 앞섰다는 것에 불과하다.

헤지펀드든, 가치투자펀드든 초과 성과를 내는 것이 전세계적으로 어려워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버핏과 멍거에 버금가는 투자자는 상상 속에서나 혹은 책 속에서나 존재하는 것은 아닌가 의심스럽다.







2013년 9월 13일 금요일

twitter ipo



http://www.mercurynews.com/business/ci_24083803/twitters-surprise-ipo-filing-why-now

"Twitter plans to sell its shares on the New York Stock Exchange rather than the Nasdaq, whose technical snafus helped mar Facebook's opening day."



펀딩받은 돈이 수천억이라 상장이 전혀 급하지 않은 것 같던 트위터가 상장하는 것은 지금이 sns 기업들의 전성시대라는 것을 증명하는 셈이다. 페이스북이 ipo가격을 넘고, 시총이 1000억달러를 넘긴 것이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http://runmoneyrun.blogspot.kr/2013/08/facebook-100b.html


트위터의 현재 매출은 10억 달러가 되지 않고, active user도 2억명을 좀 넘는 수준이다.
시장에서는 트위터의 가격을 100억 달러에서 200억 달러 정도까지 평가하고 있다.
현재 링크드인의 시총은 280억 달러이다. (야후 기준)

http://runmoneyrun.blogspot.kr/2013/08/linkedin.html


네이버 라인에 대한 평가는 트위터까지 상장되면 더 쉬워질 것이다.
현재는 9-10조 정도의 가치를 인정받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아직까지는 가입자수의 증가율이 트위터보다 몇 배 빠르다.
상식 수준에서 추정할 수 있는 2014년의 매출(1-1.5조)도 트위터보다 적지는 않을 것이다.



http://runmoneyrun.blogspot.kr/2013/08/comparison-of-sns-user-growth.html





------------
추가

http://finance.yahoo.com/blogs/breakout/twitteripo-let-frenzy-begin-143326319.html

"According to the gossip circle that is Wall Street, Twitter is set to record just over $500 million in revenue in 2013, roughly twice what it did last year."

http://www.latimes.com/business/technology/la-fi-tn-twitter-ipo-5-things-to-know-20130912,0,737913.story

http://www.mercurynews.com/business/ci_24083366/twitter-by-numbers

http://allthingsd.com/20130913/does-twitter-have-a-growth-problem/?source=email_rt_mc_body&app=n

http://www.forbes.com/sites/roberthof/2013/09/13/twitters-key-ipo-problem-it-still-hasnt-hit-the-mainstream/

http://www.forbes.com/sites/nathanvardi/2013/09/13/why-twitters-ipo-wont-be-like-facebooks-ipo/

http://money.cnn.com/gallery/technology/2013/09/13/twitter-who-gets-rich/index.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