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1월 30일 수요일

소매판매 20년만에 최대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11/20161101.html

"9월의 내구재 판매 감소는 지속되기 어렵고, 이로 인한 소매판매 둔화는 일시적인 노이즈이다."



한달 전에 소비가 5년 7개월만에 최저라고 언론들이 거품을 물었다.
이번달 소매판매는 전월비 5.2%상승으로 20년 10개월만에 최대라고 한다.
그러나 환호성은 들리지 않는다.

지난달 자동차, 휴대폰을 포함하는 내구재 판매의 급감으로 인한 강력한 노이즈가  이번달에 사라져서 정상화되었다.
그게 전부이다.



소매판매액은 안정적으로 우상향 중이다.
전년동월비 3.4%로 15년말 이후의 수준을 회복했다.



9월 급락했던 내구재 판매가 회복되었고, 예측되었던 일이다.
일시적인 노이즈를 가지고 큰일 난 것처럼 떠들던 자들이 많다.
근거없는 부정적인 해석과 전망을 하는 자들이 대개 전문가라고 불린다.




여전히 내구재는 준내구재, 비내구재 대비 뒤쳐져 있다.
자동차 세제관련효과가 사라지는 내년 7월까지는 피하기 어렵다.

소비심리가 탄핵정국에서 얼어붙었다고 알려졌다.
아직 실물지표가 아니라 심리지표에만 반영되고 있기 때문에 탄핵이 가결되면 회복될 것이다.

탄핵을 빨리 끝낼수록 잠재적인 피해가 적을 것이다.



------------

2016년 10월 산업활동동향 - 통계청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357754
소매판매액지수는 승용차 등 내구재,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 의복 등 준내구재 판매가 늘어 전월에 비해 5.2% 증가
전년동월대비로는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 가전제품 등 내구재, 의복 등 준내구재 판매가 늘어 2.3% 증가


10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전년동기대비 8.4% 증가 - 산업통상자원부
http://www.motie.go.kr/motie/ne/presse/press2/bbs/bbsView.do?bbs_seq_n=158837&bbs_cd_n=81


semi chem 20161130








sk머티리얼즈 1조6200억
한솔케미칼         9800억
솔브레인            8900억
원익머트            4300억
이엔에프            3300억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10/display-cycle-sec-vs-lgd.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10/memory-cycle-sec-vs-hynix.html



메모리 싸이클과 1년 전후의 시차.




2016년 11월 29일 화요일

sec shareholder return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10/sec-3q2016-cash-king.html




자료, 기사만 봐서는 불명확.



그림은 그래도 명확.
배당보다 자사주 매입 소각으로 대주주의 지분을 점진적으로 늘리는 것을 선호하는 듯.

연간 20조의 FCF의 50%는 약 10조.
올해 4조 배당을 제외하면 약 6조의 현금과 전년의 잔여재원 0.8조를 합쳐서 자사주 매입 소각.
17년의 FCF도 20조라면 10조의 주주환원 추가.
예정된 16년 4조 배당을 제외하고, 17년말까지 최대 17조의 주주환원 가능.

3분기말 기준 보유현금 83조.
4분기는 투자증가로 FCF 없거나 마이너스일 듯.
내년 중 하만 인수 대금 약 10조 제외하면 73조 이하.
보유현금 65-70조 유지한다고 공언했으니 17년 이후 회사 분할하면서 현금을 지주회사에 많이 보내면 사업회사의 주주환원 감소할 수도.

연 4%(10조/250조)+알파.





2016년 11월 25일 금요일

energy sector, barometer of us economy



http://stockcharts.com/freecharts/perf.php?XLP,XLY,XLI,XLB,XLK,XLU,XLE,XLF,XBI



it버블 붕괴 이후 기술주 etf 80% 하락.
미국 공식 침체 발생.
전세계 침체로 이어짐.




금융위기 이후 금융주 etf 80% 하락.
미국 공식 침체 발생.
전세계 위기로 이어짐.



미국 셰일 버블 붕괴 후 에너지 etf 50% 하락.
미국 제조업 침체(?), 경기 둔화 발생했으나 미국 침체로 이어지지는 않은 듯.

sector로는 bio의 하락이 고점대비 50% 수준이지만 선도적으로 하락하지도 않았고, 저점 대비 상승률은 훨씬 높고, 에너지 섹터에 비하면 규모 작고, 전세계 경제에 대한 영향은 비교 불가.

금융위기 이후에는 업종의 관점에서 에너지 섹터가 미국 경제의 방향을 보여준다고 해야 할 듯.

이전 고점에서 버블 붕괴된 섹터 기술, 금융은 이후 싸이클에서 평균 이상. 거품을 피하고 싶다면 이후 십여년간 안전한 업종은 에너지일 듯.








2016년 11월 23일 수요일

dfs 20161123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11/20161122.html 출입국 20161122

10월 입국자에 사드의 영향은 없었다.

그럼 10월 면세점 매출에는 어떤 영향이 있었을까?
없었다.



1
면세점 매출은 사상최대.
구매인원은 9월에 비해 증가.


2
내국인 구매인원과 금액은 비례하면서 감소.


3
외국인 구매인원은 9월 대비 증가하나 7월 고점이래 감소.
그러나 매출은 사상 최대.



4
외국인 구매인원은 중국인 입국자보다 입국자 전체에 비례.
단기적으로 중국인제외 입국자와의 관련성이 더 높을 수도.

중국인이 면세점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아도 기저를 형성할뿐 단기적인 추이는 전체 입국자 혹은 전체 구매인원이 결정.



5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10/dfs-20161025.html

면세점 객단가의 계절성이 강화되고 있다.

외국인입국자당 외국인 면세점 매출은 상승중.
계절적인 입국자 감소추세를 상쇄하는 계절적인 단가 상승 추세.



6
외국인 객단가는 사상 최고.
내국인 단가는 횡보.


7
메르스의 기저효과, 사드에 의한 매출 감소, 세일페스타에 의한 매출 증가 어떤 것도 면세점 매출 추이에 중대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볼 이유가 없다.

15년 메르스로 주춤했던 입국자 증가, 구매인원 증가, 객단가 상승의 장기 추세가 계절적 변동성을 뛰어넘어 지속되고 있는 중.

언제 사드의 영향이 나타날지는 수수께끼.
올해 내로 나타나지 않으면 연간 면세점 매출은 원화약세까지 거들면서 12조원을 넘길 듯.
그러면 전년대비 30% 성장.




2016년 11월 22일 화요일

출입국 20161122


1
입국자 전월대비 증가.
그러나 중국인 입국자는 감소.
중국인을 제외한 입국자는 사상 최대.


2
기타 아시아인의 추세적 입국 증가가 기여.



3
일본인 입국은 여전히 환율에 민감.
높은 관련성 유지.



4
중국인 입국자의 계절적 감소는 한국 일본에서 공히 관찰.


5
전체 입국자는 한국의 계절성이 높고, 11월 이후 차이 확대 예정.


6
출국자 전월 대비 감소 중.
2대 여행사 점유율은 유지.


7
출국자 전월대비 감소 중이나 입출국자 증가 추세 유지.

입국자만 폭증하는 일본과 달리 입국자(외국인)와 출국자(내국인)의 차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증가하는 상황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항공기, 공항 등의 여행 인프라 공급이 한국의 여행 수요를 결정.
2. 한국인의 소비 패턴 변화(여행 수요 증가), 중국동남아인의 소득 증가(여행 수요 증가)가 우연히 일치.
3. 한류 붐으로 한국에 대한 여행 수요 증가.



8
중국인 입국자 계절적 감소 중.
크루즈입국자와 기타로 나눈 입국자 전망치와 8월 이후 일치. 중국인 입국자의 감소는 정상 범위.
2014년과 비교시 메르스 영향을 제외하면 2015년 700만, 2016년 810만 정도의 추세를 유지 중인 것으로 봐야.

사드의 영향은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다고 봐야.
1. 한국과 일본의 중국입국자 감소는 정확히 동행.
2. 한국의 중국입국자는 사드를 무시한 전망과 일치.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10/20161025.html 출입국 20161025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9/20160922.html 출입국 20160922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8/20160822.html 출입국 20160822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8/20160806.html 출입국, 크루즈 20160806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6/20160622.html 출입국 20160622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5/20160523.html 출입국 20160523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4/20160422.html 출입국 20160422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3/20160322.html 입국자 20160322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3/20160301.html 입국자 20160301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3/exchange-rate-vs-tourism-japan.html





2016년 11월 17일 목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