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5월 28일 수요일

euro 20140528



전에는 엔화의 끝없는 강세가 미스테리였지만, 세상이 해답을 주자마자 유로가 바통을 이어받았다.
2년 가까이 달러보다 강했지만, 그게 정말 드라기의 말 한마디로 시작된 것인지는 모르겠다.

다만 지금은 약해진다고 해도 이상하지 않기 때문에 유럽에 투자를 고려한다면 헤지에 대해 전보다 심각하게 고려해야 할 시기이다.
향후 1-2년간 약 15%의 환손실 가능성을 감수하고도 투자할 만한 가치가 있는 자산이 보인다면 안해도 상관없을 것이다.

아래는 유로와 관련이 높은 몇 가지 지표들을 비교한 것이다.
Fred에서 보여주는 유로17개국의 인플레이션지표는 미국 수치와 직접비교하기 곤란하고 쓸모도 없어보여서 뺐지만, 추세는 미국과 매우 비슷하다. 궁금하면 self.




3개월, 12개월 libor금리 차이이다.
단기 자금수요와 환율의 관련성이 높은 것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신호들 사이의 선후관계를 얘기하기는 어렵다.
직관적으로는 단기가 더 변동성이 커야할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
시장의 규모와 관련이 있으려나...




독일, 미국의 10년 국채 두개를 비교한 것이다.
국채는 통합 유럽 국채가 없으니 독일을 비교한 것인데, 남유럽은 전혀 다른 길을 갔다.
평균을 적당히 구해서 비교할 수 있지만, 혼자 하기는 어려운 일이다.
유럽 국채의 평균에 해당하는 기존의 지표가 존재할 것으로 보이나, 그냥 유로와 미국 금리, 유로와 독일 금리를 비교해도 의미있는 관련성이 존재한다.
일단 숙제.




FED와 ECB의 자산 비율을 환율과 비교했다.
미국은 양적완화의 종료가 다가오고 있고, 유럽은 이제 시작될 가능성이 있다.
자산 비율이 내려갈 가능성이 높다.
환율도 그러하다.




자산의 비율이 아니라 전년동월비 차이를 구했다.
2008년 이후로 더 잘 맞는다.

중요한 것은 선행성을 보인다는 것이다.
그런데 벌써 하락하고 있다.

너무 빠르면 그것도 문제이다.
그러나 쓸만한 신호가 될지 두고 볼 일이다.




경제의 펀더멘탈에 대해서 미국, 유럽 양 대륙에서 말들이 너무 많아서, GDP만 떨렁 비교하는 것이 너무 얄팍한 느낌도 든다.

그러나 이 정도면 2005년 이래 GDP가 유로 환율을 결정한다고 설레발을 쳐도 될만하다.




신흥국 외환보유고가 유로 환율을 따라갈 이유가 무엇인가?
재미있는 일이지만 지금 상관할 문제는 아니다.
제공하는 데이타가 느려서 당장 알 수 없지만, 환율에 후행하는 것으로 보이니 몇개월 후에 확인해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유로와 관련성이 높은 지표들이 앞서거니 뒤서거니 방향을 바꿀 태세이다.
일단 그것으로 충분하다.

지수상승과 더불어 나타나는 통화약세는 일본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 이래 유행병처럼 퍼질 모양이다.
이래서야 투자하기가 갈수록 어려워지는 셈이지만, 이것 또한 시간이 지나면 적응이 될 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