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7월 24일 월요일

debt service ratio, bis


bis의 자료에 따르면 가계의 dsr이 제공되는 나라 중 2000년 이후 dsr이 지속적으로 증가해서 12%를 넘는 유일한 나라.



bis의 분기 보고서에 한국 부동산, 가계부채 관련 부분을 확인해보니 일부 국가의 dsr을 비교해 놓았다.
오른쪽 아래에 한국이 표시되어 있지만, 평균을 뺀 변동만을 보여 준 것이라 국가간 dsr 수준의 비교는 어렵다.



http://www.bis.org/statistics/dsr.htm

bis에서 제공하는 엑셀화일에 17국가의 dsr이 1999년 이후 수록되어 있다.


2000년 이후 dsr이 금융위기 이후에도 고점을 넘어 지속적으로 우상향 하는 나라는 벨기에, 프랑스, 한국 정도에 불과하다.
그 중에 벨기에 프랑스의 dsr은 8 이하이고, 한국은 12%를 넘는다.



아래에 16년 말의 dsr이 10% 이상, 이하인 국가로 구분했다.

dsr 10% 이상.

덴마크, 네덜란드, 오스트레일리아, 노르웨이는 급등후 조정 혹은 횡보.

한국, 캐나다, 스웨덴의 장기 추세가 비슷하고, 최근 dsr이 비슷한 레벨.



dsr 10% 이하.

영국, 미국, 스페인, 포르투갈은 급등 후 급락한 나라.
핀란드, 이탈리아는 급등후 횡보.
일본, 독일의 dsr은 추세적으로 감소.




금융위기 이후 dsr과 디레버리징은 관련이 있으나, dsr과 집값의 추세는 크게 관련이 없음.
따라서 디레버리징과 집값의 관련성도 떨어짐.

2015년 이후 한국의 dsr이 지속 증가하는 것은 거치기간이 없거나 짧고 원리금을 분할 상환하는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을 정책적으로 장려한 것과 관련이 있을 듯.
위험성이 증가했다고 보기는 어려움.

반대로 dsr이 낮거나 상승폭이 적다고 안전한 것도 아님.
dsr과 부채 총량, 집값 상승률을 전부 고려해야.


같은 보고서의 2007년부터 2016년말까지 한국의 실질 집값 상승률은 거의 0%.
일본, 미국과 비슷하고 인도, 캐나다, 브라질, 터키, 멕시코, 중국 등과 차이가 큼.


가계부채를 dsr을 기준으로 통제하는 것이 얼마나 실효성이 있을지 전혀 모르겠음.



댓글 2개:

  1. 항상 귀한글 감사합니다 듀프레인님

    한국의 집값의 실질 값의 미 상승에 관해서는
    궁금한 점이 많습니다.

    KB 자료를 보게 되면 아파트, 연립, 개인주택의 가격이 다르게 움직이는것으로 보입니다만
    이것을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까요?

    항상 도움은 못드리고 질문만 드려 죄송합니다.

    날이 많이 덥습니다. 건강하세요..^^

    답글삭제
    답글
    1. 전문가께서 질문하시니 부담스럽지만, 그냥 제 생각을 말씀드리면 숲과 나무를 구분하는 것이 힘든 일이라는 것은 주식이나 부동산이나 비슷한 것 같습니다.
      거래량, 시가총액, ipo 같은 것으로 주식시장에 쏠린 자금의 흐름이나 비율을 파악하는 것처럼 부동산시장도 마찬가지 접근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지역이나 사이즈별 거래량, 시가총액, 분양, 착공, 완공 등의 자료를 이용해서 비중이 높은 곳이 현재의 시장을 지배하거나 큰 영향을 준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가격 자료를 만드는 기관에서 지수를 만들 때 어떤 방식을 쓰던 우선은 시가총액이 큰 지역의 가격흐름이 가장 중요할 것이고, 다음은 거래량/거래금액이 큰 지역이 될 것 같습니다.
      kb도 감정원 자료가 방대하고 그 세부까지 살피는 것은 역시 곰님같은 전문가분의 영역이겠으나, 인구의 반이 수도권, 1/4이 서울에 살고 시가총액으로 서울의 주택이 차지하는 비중이 아마도 반은 넘을 것이기 때문에 서울지역이 주도하는 부동산 가격상승에서는 시장을 판단하는 것이 그래도 지방이 주도하는 시절보다 편한 것이 아닐까 합니다.

      마치 삼전이 주도하는 주식시장에서는 시장의 나머지 3/4를 대충 봐도 삼전과 삼전의 환경을 잘 파악하면 한국시장을 대충 파악할 수 있는 것과 비슷하지 않나 싶습니다.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