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2월 21일 월요일

남아프리카 공화국 오미크론 다시보기 20220221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22/01/20220112.html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오미크론이 최초로 보고된 이후 많은 전문가들이 낮은 치명률에 주목했다.

비록 높은 감염성을 보이더라도 많은 사람들이 감염되고, 면역을 획득하면 향후의 새로운 변이에 대해서도 상당한 면역을 가질 수 있고, 향후 판데믹이 엔데믹으로 전환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높은 감염률, 낮은 치명률이 모두 중요한 요소였지만, 3개월이 지난 지금은 상황이 많이 달라졌다.







무엇보다 치명률이 8%를 넘어서 델타를 포함한 이전 변이와 비교해서 전혀 치명률이 낮지 않다.


한동안은 제 발등에 떨어진 불을 끄기 바쁜 나라들이 대부분이었고, 지금은 그마저도 리오프닝 될 것이라는 기대로 판데믹에 대한 관심과 우려 자체가 줄어들고 있다. 그래서인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상황에 대해서는 알기 어렵다.




윗줄은 남아프리카의 신규 확진자, 아랫줄은 신규 사망자이다.

네 번째 확진자 피크는 비정상적으로 빨리 나타났고 이것은 높은 감염력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본다.

그러면 이전 유행과 비슷한 속도로 (그러나 상대적으로 엄청나게 느리게) 증가하는 사망자는 무엇을 반영하는가?

위 글에 나의 뇌피셜이 길게 쓰여져 있지만, 오미크론이 이전 변이보다 빠르게 확산될 뿐 아니라, 빠르게 진단되는 특성을 보일 수 있다는 것이다. 빠르게 많이 진단되려면 잠복기가 짧고, 무증상보다는 경증이라도 유증상자의 비율이 높아야 한다. 이전보다 적은 비율이지만 감염자의 일부는 폐렴의 위중증, 사망의 단계를 느리지만 확실하게 밟고 있는 것이다. 


만약 가설이 맞다면 아래와 같은 상황이 발생할 것으로 보았다.


1. 천천히 사망자의 숫자가 증가하면서 치명률이 이전보다는 낮지만, 독감보다는 훨씬 높은 수준에 도달할 수 있다.

2. 미국, 유럽 등 여러나라들에서 확진자 고점을 지난 후에도 지속적으로 사망자가 증가할 수 있다.

3. 지연성 의료체계 마비가 여러 나라, 지역에서 국지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40여일이 지난 지금 위의 2개는 현실과 부합한다고 볼 수 있고, 3번째는 미국 일부 지역에서 의료체계의 포화가 나타나 군의료진이 동원되었지만 그럭저럭 넘긴 정도로 넘어갔다.

최초 보고된 나라의 전개과정이 이후의 모든 나라와 달랐던 것처럼 이후의 여러나라 사이에서도 상당히 큰 차이가 나타났고, 접종률의 차이, 인구구조의 차이, 방역정책의 차이 등 여러 원인이 가능할 것이다.

일본, 호주처럼 확진자가 100배 이상 증가한 나라도 있고, 유럽 북미처럼 치명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나라도 있다. 공히 사망자수는 이전의 델타 유행과 비교시 더 많거나 적지않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고 아직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한국은 남아프리카 기준으로 보면 아직  치명률이 감소하고 있는 초기에 해당한다. 이후에 어떤 과정을 겪든 일별 확진자, 사망자가 각각 3월초, 4월초까지 증가할 수 있고 치명률도 현재의 0.1%대에서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0.3-0.5% 수준까지 증가하는 것을 준비해야 한다. 누적으로는 놀라운 숫자의 감염자, 사망자가 나올 수 있다.


covid-19의 피해는 정점을 치고 있을 가능성이 있지만, covid-19에 대해서는 새로운 미스테리가 계속 나오고 있다. 판데믹 3년으로 전 세계시민이 전문가가 된 것 같지만, 내가 보기에는 반대이다.  오히려 전문가들이 바보가 된 것처럼 보일 때가 있다.



나도 끝이 거의 다 온 것 같아 보인다.
그러나 끝나기 전까지는 끝난 것이 아니다.




요약

남아프리카공화국이 전 세계에 준 판데믹 종료의 희망은 그 나라에게는 가짜였다.
다른 나라에 대해서는 아직 알 수 없다.




-----------------------
BA.2 







댓글 3개:

  1. 전에 말씀하신적 있는 것 같은데 영국 데이터는 좀 앞뒤가 안 맞는거 같다고 하셨지만,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등은 오미크론의 중증 발병률이 현저히 낮다고 결론을 내리고 규제를 다 풀고 있는것으로 보아,

    그 나라의 의료체계,
    백신 2차 3차 접종률,
    무슨 백신을 접종하였느냐,
    그리고 그전에 확진자가 얼마 있었느냐 즉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공식적, 비공식적으로 바이러스에 접촉이 되었었나.. 등등에 따라서 치명률이나 중증 발병도가 다 다른 것 같습니다.

    한국은 낮았으면 하고 바래 봅니다.

    답글삭제
    답글
    1. 유럽에서 낮다고 하는 수치가 0.2%-0.5% 전후라서 이전보다 낮은 것은 사실이고 그런 수치를 받아들이고 원래 생활로 돌아갈지는 국민들이 결정할 수 있는 문제같습니다. 한국도 접종률, 방역수준 등으로 보면 저 수치 중간 쯤 나올 가능성이 높아보이네요. 나중에 그 정도면 확인되면 델타보다는 낮은 게 맞겠지요.

      삭제
    2. 아프리카의 일부 국가나 미국의 일부 지역 등에서 높은 치명률이 나오는 것이 단지 낮은 백신접종률과 관련된 문제인지 혹은 스텔스 변이같은 것의 문제인지 또 다른 무엇인지, 또 그것이 다른 나라에 영향을 줄지는 아직은 그저 미지수라고 봅니다.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