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괴리율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괴리율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4년 3월 11일 화요일

우선주 20140310




우선주의 열기 - 20130521http://runmoneyrun.blogspot.kr/2013/05/20130521.html

작년 5월 우선주의 1차 랠리가 고점을 친 날 우선주 랠리가 과하다고 생각하면서 올린 글이다.

2005년 이래 보통주 대비 가장 높은 괴리율을 보였고 금리의 하락이 지속되었기 때문에 우선주의 상승이 가능했지만, 배당이 늘지 않으면 우선주는 낮은 배당에 합당한 과거의 높은 괴리율 수준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봤다.


우선주의 회귀본능 - 20130523
http://runmoneyrun.blogspot.kr/2013/05/20130523.html

우선주, 집으로
http://runmoneyrun.blogspot.kr/2013/06/blog-post_18.html


'예상대로' 단기간에 상당폭의 조정이 발생했고, 괴리율도 회복되는 듯 했다.
그러나 '예상과 전혀 다르게' 이후 우선주 랠리는 지속되었다. 그것도 놀라운 수준으로.


아래는 10개월 전의 괴리율, 배당수익율과 현재를 비교해본 것이다.


13. 5. 21.


14. 3. 11.


당시 리포트들의 우선주 재평가 논리에 공감하지 못했지만, 결과적으로 우선주의 랠리가 진행되었다.

5년 넘게 비자발적으로 장투하던 우선주 덕분에 한발을 걸칠 수 있었지만, 이 회사처럼 배당을 80%씩 늘려준 우선주는 많지 않다. 배당이 오히려 감소했거나, 배당수익율이라고 할 만한 것이 없어도 우선주라고 이름이 붙은 것들의 가격은 보통주 대비 비율이 최저 15% 수준에서 40% 수준으로 상승했다.

배당수익율을 추적하던 60여개 우선주들의 평균은 보통주의 30% 수준에서 50% 수준으로 상승했다. 시장이 평균 제자리였으나, 우선주 보유자들은 단기간에 70% 이상의 초과수익을 기록한 셈이다.

그래서 앞으로 어떨 것인가?

남은 일은 축소된 괴리율이 유지되도록 배당이 증가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금리가 상승하기 시작하면 매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투자자가 할 수 있는 일이 별로 없다.

시장 전체의 배당수익율이 다른 선진국, 신흥국 대비 반 이하에 불과한 것이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주요한 이유이기 때문에 배당의 증가는 한국 주식시장의 장기적인 재평가에도 필요한 일이다.

어떤 경우에도 우선주의 투자에서는 괴리율이 핵심이 아니고 배당이 핵심이다.
배당수익율이 낮은 경우에 조심할 필요가 있다. 특히 배당수익율이 금리보다 낮고, 향후에도 배당 증가를 기대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배당이 증가하면 괴리율이 축소될 것이다...라고 믿는 것은 크게 위험하지 않다.
그냥 배당을 받으면 된다.
그러나 괴리율이 축소되었으니 배당이 증가할 것이다...라고 믿으면 배신당할 수 있다.






2013년 5월 21일 화요일

우선주의 열기 - 20130521


우선주 랠리가 진행 중이다.
아래 표에서 괴리율과 배당수익율을 확인할 수 있다.
일견 아무런 관계가 없어 보이지만 그런 것은 아니다.

한국의 우선주들이 태생적인 한계를 갖고 있기때문에 괴리율은 장기투자에서는 중요한 변수가 아니다. 배당성향, 배당수익율, 기업의 생존, 대주주의 도덕성 등에 대한 장기적인 검증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우선주는 주식의 권리도, 채권의 권리도 제한된 껍데기에 불과하다.





아래 그림의 점은 위의 데이타를 포함하는 일부 우선주들의 괴리율과 배당수익율을 도시한 것이다.
녹색 박스는 오늘 (2013/5/21) 우선주가 높은 밀도로 분포하는 영역이다.
괴리율이 배당과 관련성이 적지만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만약 배당을 목적으로 한다면 박스의 상단, 괴리율 축소를 목적으로 한다면 박스의 좌측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분홍색 박스는 대략 1년 이전에 많은 우선주들이 분포했던 영역이다.
최근의 랠리로 인해 위치가 변했지만, 주된 변화는 괴리율의 축소보다는 배당수익율의 감소라고 할 수 있다.

왜 그런가?
금리의 하락이 중요한 변수였기 때문이다.
주가상승에 의한 배당수익율의 감소가 허용되는 상황이었다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괴리율의 축소가 진행될 것인가?
아직 2005년 수준과는 차이가 있고, 축소될 수는 있다.

문제는 축소된 괴리율이 지속될 것인가이다.
배당이 증가하는 상황, 증가된 배당이 유지되는 상황이 아니면 언제든지 90%에 육박하는 괴리율로 돌아갈 수 있다.

경영권을 보유하지 않은 투자자에게도 주가의 변동(자본이득이라고 포장을 해도 다를바 없다)이 아니라 배당을 통해 보상하는 관행이 제도적, 정서적으로 뒷받침되지 않으면, 괴리율과 관련된 어떠한 논리도 소용이 없다. 선진국의 우선주와 한국의 우선주를 비교하는 증권사 보고서들은 한국 자본시장의 환골탈태가 전제되지 않으면 무용지물이다.

GH정권이 경제민주화를 실현하고 우선주의 괴리율이 감소할 것이라는 상상.
알흠답지만, 매우 어렵기 때문에 현실감각이 필요하다.
그런데 지금은 기준이 변하고 있고, 어디로 가는지 알기 어렵다.
이럴 때는 가능한 길게 과거를 돌아보는 것이 최선이다.




아래 표는 이전의 블로그에 2011년 7월 22일에 올렸던 것이고, 때는 유럽위기가 터지기 직전이었다.
당시 한 달 여간 우선주들의 작은 랠리가 있었다.
그러한 이유로 많은 우선주들의 배당수익율이 6% 아래로 내려와서 안전한 우선주가 많이 감소했다...고 생각했다.
그래도 지금과 비교하니 괴리율이나 배당율이나 모두 저렴하다.

지금은 어떠한가?
정기예금금리가 2% 대로 내려왔으니 우선주들이 여전히 살만한가?
금리가 올라가지는 않을 것인가?
지금 싼 것이 금리가 올라가도 싸 보일 것인가?








2013년 4월 10일 수요일

우선주 보고서에 대한 단상


http://blog.naver.com/ehdwl2000/40186798938


기존 보고서를 편집한 수준이다.
한국의 우선주 수익율조차 단순평균으로 계산할만큼 기본이 안되어 있다.
기하평균을 쓰던 다른 것을 쓰던 장기 수익율을 비교하려면 최소한의 기본은 지켜야 한다.

그런데 일단 보고서처럼 2000년부터 수익율을 계산하는 것은 썩 좋은 생각이 아니다.

우선은 보통 10년, 5년, 3년 단위로 수익율을 비교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2005년 전후로 한국시장의 대세상승이 시작되면서 장기 수익율이 레벨업되었다.
바로 그 때부터 우선주가 뒤쳐지고 있다.
또 그 시기를 전후해서 대형주, 중소형주, 성장주, 가치주 등의 수익율에 장기간에 걸친 차이가 발생했다.

또한 한국의 개인투자자 대부분은 투자의 기간이 13년이 되는 경우가 없다.
한국기관투자자의 포트폴리오도 가치투자펀드를 포함해서 평균 회전율이 수백%가 넘으니 거의 무의미하다.

가장 중요한 점을 추가하면 우선주 수익율이 2001년-2002년 사이에 특별히 높았다.
그러니 그 시기를 포함해서 수익율을 단순평균하면 비교의 가치가 거의 없다.
포함하려면 아예 더 길게 해야 바이어스를 줄일 수 있다.

의도적으로 2000년부터 계산할만큼 자세히 생각해봤을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데이타를 들여다보면서 기본적인 사항등을 먼저 확인하고 왜 라는 질문을 던지지 않고, 남의 보고서를 요약 정리하는데서 시작을 하니 장수를 늘리기에는 좋은데 투자에는 도움이 되지않는 쓰레기 분석이 쌓이는 것이다.

한국의 일부 우선주에서 보통주대비 수익율이 낮지 않은 이유는 삼성전자처럼 특별한 이유가 있는 것이 아니라면 주로 배당성향, 배당의 안정성 때문이다.

실제로 보통주와 우선주의 수익율을 비교하려면, 과거의 배당을 종목별로 조사하고, 주식수 변동을 확인하고, 배당재투자를 고려해야 한다.
총수익율이라고도 부르는 모양이다.
그러나 그려려면 시간이 매우 많이 들고, 한 종목을 제대로 정리하는 것도 어렵다.

주식투자바이블, 투자의 미래를 쓴 제레미 시겔교수가 훌륭한 점은 그런 과정을 대상이 되는 종목 전부에 대해 모두 분석을 수행하고 방법론을 상세히 밝혀놓았다는 것이다.

상식 수준의 과학적인 분석이 제레미 시겔 교수의 책에는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아직 한번도 한국 시장의 우선주에 대해 기본적인 규칙을 지키면서 분석한 보고서를 본 적이 없다.

과거에 한번 s-oil우선주에 대해 나름 기본을 갖춰서 조사를 해본다고 했는데, 블로그에 왔던 사람들의 반응이 별로였다. 막상 열심히 해도 과거의 자료를 가지고 왜 그렇게 열심히 분석을 하는지 이해하는 독자도 많지 않다는 것 또한 한국의 현실이다.


위의 보고서는 예전에 우선주에 대한 수많은 카피 보고서를 보지 않은 사람에게는 요약정리의 의미가 있는 보고서이고, 배당수익율, 괴리율 순으로 정리한 표는 도움이 된다.
이런 표를 증권사의 단말기에서 쭉 뽑으면 5분이면 될 것이다.


-------
전에는 주로 상식을 벗어난 기사에 대해서 비판을 했었는데, 투자에는 제도권 보고서의 문제를 확인해보는 것이 더 도움이 될지도 모르겠다. 그런다고 그들이 바뀔리는 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