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yahoo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yahoo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4년 7월 25일 금요일

amazon 2Q2014



http://runmoneyrun.blogspot.kr/2014/02/amazon-4q2013.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4/05/tech-target-price-consensus.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4/06/techs-and-companies.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4/06/wmt-vs-amzn.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4/07/same-store-sales-walmart-vs-amazon.html




http://phx.corporate-ir.net/phoenix.zhtml?c=97664&p=irol-presentations

http://investor.ebayinc.com/#&panel1-2

https://investor.yahoo.net/index.cfm


amazon, ebay, alibaba에 투자하려고 관련된 회사를 비교했었다.
아마존으로 결론을 냈었지만, 적자가 지속되면 고난을 각오해야 한다.





매출이 빠르게 증가하는 것부터, 감소하는 것까지.




알리바바조차 성장율은 모두 피크를 지난 듯하다.
아마존의 성장율 20% 초반은 구글과 거의 비슷하다.
이베이는 페이팔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지속 둔화되고 있다.



별일이 없는 한 아마존의 이익은 4분기나 되어야 볼 수 있을 듯.
이베이도 4분기까지는 지지부진할 듯.




이런 그림은 정신만 사납다.


----------------

http://news.morningstar.com/articlenet/article.aspx?id=657839

http://abcnews.go.com/Business/amazons-net-income-97-facebooks-years/story?id=24714708






















2014년 5월 11일 일요일

alibaba, yahoo - damodaran


http://aswathdamodaran.blogspot.kr/2014/05/alibaba-china-story-with-profitable.html

http://seekingalpha.com/article/2209323-yahoo-a-puzzle-a-mystery-and-an-enigma

밸류에이션의 황제, 다모다란이 알리바바와 야후에 대해서 분석했다.


예전에 애플, 페이스북, 트위터에 대한 평가를 본 기억이 있다. 기본적으로 그가 가진 분석도구를 기술주에 적용하는 것이 적절한지는 모르겠으나 분석에 포함된 가정, 장단점, 한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 때문에 밸류에이션이 차이가 나도 투자 판단에는 도움이 된다. 중요한 점은 그의 판단은 상식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기억을 더듬으면 애플에 대해 꾸준히 600불 이상의 적정가를 불렀고 과거에 집착하는 경향이 있다고 보았으나 결과적으로 그 비슷한 가격으로 접근해가고 있다. 이유 하나는 아이폰에 대한 다양한 평가에도 불구하고 실적이 안정적이고, 다른 하나는 주주환원정책에서 매우 모범적이기 때문이다. 다모다란이 삼성전자에 대해서도 평가를 하면 어떨까 싶다.

상장전 페이스북에 대해 20달러 이하의 가격을 불렀었다. 당시에는 모바일 광고 수입이 발생하기 전이었으니 적당할 수도 있으나, 향후의 가능성이 높다고 봤고, 실제로 현실화되었다. 상장 이후 초기가격 대비 반토막이 나면서 결국 20달러 이하에서 매수할 기회가 있었다. 이후 3배 이상 올랐지만, 이것도 맞추었다고 보려면 그럴 수도 있다.

트위터는 다모다란이 20불 이하를 얘기했었고 나도 그 이상은 가치가 없다고 생각했다. 실제로 초기의 ipo 예정가격이 그 아래였다. 고점대비 많이 내려와 있지만 여전히 그가 계산한 가치보다 높다. 나는 트위터의 적정가에 대한 생각을 바꾸었고 현재 보유 중이다.



그는 알리바바에 대해 140조 전후의 가치가 있다고 본다. 적당하다.

" Yahoo, the parent company, is the puzzle (especially in how quickly it lost its dominance in the United States, and why), with a mystery (its 35% stake in Yahoo Japan, which is prospering while the parent struggles) and an enigma (the 22.1% share of Alibaba)"

야후에 대해서는 셋으로 나누어 계산한 후 현재 20%정도 할인되어 있다고 한다.



"I would not be surprised if Baidu (BIDU), the only other large, publicly traded Chinese online company that is structured similarly to Alibaba (as a Variable Interest Entity) is used for comparison and its pricing ratios are applied to Alibaba's metrics to arrive at value.

(click to enlarge)
Baidu Multiples Applied to Alibaba; Enterprise values adjusted for cash, cross holdings and debt

On second thought, given how low these values are, relative to the rumored IPO numbers, it is entirely possible that bankers will avoid talking about Baidu as much as they can, since it will not fit their pricing story."


계산 도중에 baidu가 알리바바의 ipo 예상가격과 비교시 얼마나 할인되어 있는지에 대해 언급한다. 


우연이겠지만, 지금은 인터넷 주식들에 대한 다모다란의 정밀한 계산이 나의 주먹구구와 크게 다르지가 않다.









2014년 3월 26일 수요일

alibaba = (amazon + ebay) * google * (china/us)








http://www.softbank.jp/en/corp/irinfo/presentations/2013/#5965


위의 그림은 소프트방크의 2013 q4 cy (q3 fy) 자료에서 가져온 것이다.

중국의 전자상거래 시장은 이미 미국보다 50% 이상 크고, 알리바바는 미국의 아마존과 이베이를 합친 것보다 거래액이 크고, 주로 매도자의 광고료에서 나오는 매출규모는 작지만 이익율과 이익은 크고 급증하고 있다.

최근 관련한 기사들이 미국에서 쏟아지고 있다.

대개는 알리바바의 비지니스 모델이 미국의 아마존, 이베이, 구글을 섞어놓은 것과 비슷하고 중국의 거래 관행이 미국과 달라서 이 회사의 실체를 미국인들이 이해하기 어렵다는 것, 프리미엄이 높아서 거품이 끼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 홍콩이 아니라 미국 상장을 선택한 것이 홍콩 시장에게는 손해일 수도 있으나, 미국에게는 부끄러운 일일 수도 있다는 것, 야후가 상장과 동시에 지분을 팔아서 생기는 현금을 어떻게 쓸지 궁금하다는 것, 소프트방크의 향후 미국 진출 전략, 일본 벤처 투자 전략 들이 궁금하다는 것 등이다.

http://news.wsiu.org/post/chinas-e-commerce-giant-alibaba-offer-us-listed-ipo

위의 기사는 그 중 정리가 잘 되어 있다.
추가로 알리페이의 성격, 중국 경제에 대한 우려, 알리바바의 향후 전략 등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

gmv는 amazon과 ebay의 합보다 크고
수익모델은 google의 검색광고와 비슷해서 매출은 낮게 이익율은 높게 보이고
중국 할인을 피하기는 어렵고...


-------------------

Alibaba valued at up to $250 billion in grey market bids
http://www.cnbc.com/id/101509742

http://seekingalpha.com/article/2105503-alibaba-estimates-are-getting-frothy-caution-may-be-warranted?source=google_news

http://www.usnews.com/news/articles/2014/03/21/chinas-tech-giants-eye-wall-street

Alibaba: A Mix of Amazon, eBay and PayPal With a Dash of Google
How the Chinese Company Came to Dominate Chinese E-Commerce
http://online.wsj.com/news/articles/SB10001424052702303546204579440472954450720

http://www.telegraph.co.uk/finance/newsbysector/mediatechnologyandtelecoms/digital-media/10704202/Alibaba-is-a-rare-thing-a-tech-company-worth-its-valuation.html



---------------------

http://runmoneyrun.blogspot.kr/2014/03/one-stock-one-vote.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4/03/yahoo-bps.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4/03/internet-china-etf.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4/02/reverse-showrooming-or-webrooming.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4/02/amazon-4q2013.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4/01/alibaba-yahoo.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4/01/ebay-paypal.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4/01/amazon-and-alibaba.html








source:
http://www.economist.com/news/briefing/21573980-alibaba-trailblazing-chinese-internet-giant-will-soon-go-public-worlds-greatest-bazaar



Online retail in China

source:
http://www.ft.com/m/html/expandable-picture.htm




http://runmoneyrun.blogspot.kr/2013/10/yahoo-alibaba-ipo.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4/02/softbank-said-to-seek-stake-in-navers.html








2014년 1월 31일 금요일

alibaba, yahoo








3 개월 사이 크게 달라진 것은 없다.
alibaba가 미국보다는 홍콩에 상장할 가능성이 높아졌고, 시장의 평가는 더 높아졌다.
yahoo는 여전히 모바일에서 방향을 잡지 못하고 있고, 최근의 급락에도 불구하고 4-5% 이상 비싸다.

현재 트위터와 시총이 비슷하다.
거의 알리바바와 일본야후에 대한 지분가치와 비슷하니 상대적으로 싸보인다.


http://www.zdnet.com/cn/alibaba-profits-but-revenue-slows-in-3q-7000025772/

http://www.scmp.com/business/china-business/article/1417008/alibaba-growth-rate-cools-ipo

http://www.forbes.com/sites/ericjackson/2014/01/29/alibabas-growth-really-slowing/

http://tech.sina.com.cn/i/2013-10-21/18418837562.shtml

알리바바의 실적이 둔화되었다고 판단하는 사람도 있고, 야후의 지분을 싸게 되사려는 계략을 의심하는 사람도 있지만, 내 눈에는 저 정도면 엄청난 실적이라 둔화되었다는 얘기가 좀 공허하게 들린다. 몇개월 사이 최대 140조에서 200조까지 평가가 올라간 것이 충분히 납득이 된다.

다만 미국 야후는 투자가치를 알 수 없으니, 단기 투자로 그치거나 알리바바와 교체하는 전략인데 편한 투자는 아니다. 아직은 기회인지 판단할 수 없다.



----------------------
이전 글


http://runmoneyrun.blogspot.kr/2013/10/yahoo-alibaba-ipo.html

http://investor.yahoo.net/
http://finance.yahoo.com/blogs/yahoo-earnings/?_device=full conference call
http://finance.zenfs.com/assets/gf/q3_2013_earnings/Q313_Earnings_Presentation.pdf


3q 실적은 별로, 1년 동안 정체. 가입자, 사용자는 지속적으로 증가.
그러나 알리바바의 실적은 대단.


http://www.reuters.com/article/2013/10/16/us-yahoo-results-idUSBRE99E0YO20131016
http://in.reuters.com/article/2013/10/16/yahoo-alibaba-idINDEE99E0EJ20131016
http://techcrunch.com/2013/10/15/yahoo-reduces-planned-alibaba-share-sale-by-20-will-keep-more-skin-in-the-game-when-it-ipos/


알리바바 주식 523.5 백만 주 보유. 24% 에 해당.
내년 초 IPO 예정. 15조 정도를 조달할 계획이고 약 110-130조로 평가.
(현재 텐센트 100조 홍콩, 바이두 57조 나스닥)

야후의 일본 야후 지분 35 %, 현재 시총 29 B yen (31조), 1년 동안 80% 상승.
http://stocks.finance.yahoo.co.jp/stocks/detail/?code=4689.T.


야후의 알리바바 지분 20조 이상
야후의 일본야후 지분 10조 이상

현재 야후의 시가총액 34 B $ (36조)

지분가치 30조 이상. 시총 36조.
야후의 가치는 얼마인가?

포탈, 메일은 별로 쓸모 없다.
야후파이낸스는 최고 수준이다. 구글파이낸스, ychart, seekingalpha, 4-treders 등과 비교시에도 고유의 장점이 있다.
flickr는 몇개월 써 본 바로는 언제 망해도 망할 것같다.
tumblr는 안 써봐서 모르지만, 마리사 메이어가 안목이 있다면 구글의 유튜브, 페이스북의 인스타그람이 될 것 이다.



2013년 10월 16일 수요일

yahoo - alibaba ipo


http://investor.yahoo.net/
http://finance.yahoo.com/blogs/yahoo-earnings/?_device=full conference call
http://finance.zenfs.com/assets/gf/q3_2013_earnings/Q313_Earnings_Presentation.pdf


3q 실적은 별로, 1년 동안 정체. 가입자, 사용자는 지속적으로 증가.
그러나 알리바바의 실적은 대단.


http://www.reuters.com/article/2013/10/16/us-yahoo-results-idUSBRE99E0YO20131016
http://in.reuters.com/article/2013/10/16/yahoo-alibaba-idINDEE99E0EJ20131016
http://techcrunch.com/2013/10/15/yahoo-reduces-planned-alibaba-share-sale-by-20-will-keep-more-skin-in-the-game-when-it-ipos/


알리바바 주식 523.5 백만 주 보유. 24% 에 해당.
내년 초 IPO 예정. 15조 정도를 조달할 계획이고 약 110-130조로 평가.
(현재 텐센트 100조 홍콩, 바이두 57조 나스닥)

야후의 일본 야후 지분 35 %, 현재 시총 29 B yen (31조), 1년 동안 80% 상승.
http://stocks.finance.yahoo.co.jp/stocks/detail/?code=4689.T.


야후의 알리바바 지분 20조 이상
야후의 일본야후 지분 10조 이상

현재 야후의 시가총액 34 B $ (36조)

지분가치 30조 이상. 시총 36조.
야후의 가치는 얼마인가?

포탈, 메일은 별로 쓸모 없다.
야후파이낸스는 최고 수준이다. 구글파이낸스, ychart, seekingalpha, 4-treders 등과 비교시에도 고유의 장점이 있다.
flickr는 몇개월 써 본 바로는 언제 망해도 망할 것같다.
tumblr는 안 써봐서 모르지만, 마리사 메이어가 안목이 있다면 구글의 유튜브, 페이스북의 인스타그람이 될 것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