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5월 8일 화요일

달러와 물가 dollar and cpi 20180508


미국 물가가 오르고 있고, 연준이 기준금리를 올려서 단기금리가 밀려올라가고 있고, 시장은 이에 부응해서 미국채 10년금리를 밀어올리고 있고, 이 와중에 장단기 금리차는 계속해서 축소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16년초 wti가 20불초반을 찍고 돌아섰을 때부터 시작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럼 달러약세는 언제부터인가?
90년대 후반이후 유가와 달러인덱스가 대칭이니 16년초에 달러약세가 시작되었으면 좋겠으나 실제로 달러의 고점은 16년 말이고 이때부터 달러약세가 지속되었다.

달러인덱스의 60%전후를 차지하는 유로달러 eurusd환율이 4월을 고점으로 최근 꺾였고, 이것을 libor등과 관련짓는 사람들이 있다.
초단기 환율변화를 설명하려면 그런 지표들이 필요할 수 있을지 모른다.

그러나 몇개월 이상 몇십년에 걸친 변화를 설명하는 것은 가장 중요한 지표인 물가로 충분하다.
물가가 충분히 환율을 잘 설명하고 있는 시기에 금리 관련 지표와 꿰어맞추는 것은 불편하고 번잡스러운 일이다.




eurusd yoy
미국 cpi yoy-유럽 cpi yoy
미국 cpi yoy
유럽 cpi yoy

미국물가가 유럽물가보다 더 올라서 미국돈의 가치가 떨어지면 달러대비 유로의 가치(eur/usd or eurusd)는 올라간다.





환율을 yoy가 아니라 환율 그대로 보면 조금 덜 맞는 부분이 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잘 일치한다.

최근 환율이 꺾인 것이 두 대륙간의 물가 변화를 그대로 반영하는 것인지 노이즈인지 고민할 필요가 있다.




어떤이들은 미국금리가 올라서 미국돈에 이자가 많이 붙으면 달러가 강해질 것으로 생각한다.
금리차가 그럭저럭 쓸만한 것은 사실이지만, 물가차와 비교하면 설명력이 전반적으로 많이 떨어진다.

그러니 한동안 금리차(초단기부터 장기금리까지)로 환율을 설명할 수 없다고 달러약세를 노골적으로 불만스러워 하거나, 비정상이고 왜곡된 것이라고 하던 사람들이 최근 몇주간의 달러강세를 환영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미국경제와 관련해서 관심을 둘 곳은 금리가 아니고 물가이다.
물가를 보고 있으면 연준의 발언같은 것은 크게 신경 쓸 필요가 없다.
미국물가는 오르고 있고, 당분간 오를 것이다.






2018년 5월 3일 목요일

Samsung, Hynix, Memory export 20180503



원화로 환산한 메모리 수출은 환율로 인해 4-5% 달하는 감소요인에도 불구하고 18년 1분기에 전분기 대비 꺾이지 않았다.
그러나 삼성전자메모리와 하이닉스의 매출 합계는 그 이상 감소했다.

무슨 일이 있었을까?
그것이 2분기 한국수출과 1, 2위 기업의 실적에 대한 힌트를 줄까?




두 회사의 매출은 공히 감소했다.
그런데 삼성반도체의 영업익은 증가했고,  하이닉스의 영업익은 감소했다.
왜?

이익률이 벌어졌다.



삼성반도체의 이익률 56%은 전무후무한 수준이다.
그래서 전사 이익률도 애플과 맞짱을 뜰 수 있게 되었다.

http://runmoneyrun.blogspot.kr/2018/05/samsung-vs-apple-1q2018.html



1분기 한국의 메모리 수출(원화환산)과 두기업 매출합계는 방향이 다르다.
방향이 다르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으나 틀렸다.

내 상식으로는 두가지 설명이 가능하다.

1) 한국에서 해외 자회사로 밀어냈다. 수출로는 잡히고 연결매출로는 잡히지 않는다.
2) 해외 공장보다 국내 공장의 가동률이 높았다. 그래서 전체 매출에서 수출의 기여도가 높다.

궁금했는데, 어떤 보고서에도 언급이 없다.
다음분기까지 기다려면 될 일이기는 하다.



혹시나 하는 심정으로 수출과 매출의 비율을 구해봤다.
연결로 재무제표가 통일된 09년 이후의 비율을 보면 전체 매출에서 수출의 비율이 높은 시기(파란 화살표)가 순환의 고점이다.
지금은 10년보다 낮고, 14년보다 높다.

두 회사의 1분기 재고 수준이 2분기의 한국경제와 두 기업의 실적에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다.
1분기 보고서가 기다려진다.




반도체 수출 20180503



http://runmoneyrun.blogspot.kr/2018/04/vs-semi-export-q-vs-p-20180419.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8/03/semi-export-20180315.html




반도체 수출은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전년동월비로 보면 증가율이 고점의 70%대에서 4월 37%로 내려왔다.

그래서 앞으로는?
자세히 보려면 조금 확대할 필요가 있다.
보고 나면 머릿속이 명확해진다.





4월은 잠정치이지만 경험상 큰 변화는 없다.
2월과 3월의 수출을 보고나서 평균을 내고 머릿속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라.
그리고 17년 9월부터 일직선으로 팽팽하게 당겨진 줄을 보고 있다고 상상해보라.

18년 9월이 되면 어떤 일이 생길까?
반도체 수출 증가율이 0%에 수렴한다.

그러면 4월에 마이너스 전환한 한국 수출은 어떻게 될까?
'기저효과에 의한 착시'를 극복하고 9월까지 10% 수출, 조금 깎아서 8%수출을 달성하고 있을까?

갑자기 미국, 중국, 일본, 유럽이 돈을 풀면서 돌아버리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으면 불가능하다.
에라이코노미스트들아.


korea export 20180501 정체
http://runmoneyrun.blogspot.kr/2018/05/korea-export-20180501.html

수출입에서 보이는 기저효과 base effect 20180503
http://runmoneyrun.blogspot.kr/2018/05/base-effect-20180503.html





메모리 수출은 반도체 전체 수출보다 더 순환적. 4월치는 정부가 아니라 나의 추정.





수출입에서 보이는 기저효과 base effect 20180503


많은 애널, 기자, 학자라는 자들이 4월 수출 감소는 17년 4월의 기저효과로 인한 착시이고, 한국 수출은 멀쩡하다는 소리를 계속한다.

http://runmoneyrun.blogspot.kr/2018/05/korea-export-20180501.html

그래서 위에 일부러 자세히 그리고 설명을 했다.
그러나 그림에 따로 표시를 안 해놓으니 이해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여기에서는 다른 부분은 빼고 기저효과라는 것이 왜 거짓말인지만 확인한다.



17년(밤색)과 18년(빨강)의 같은 달 수치를 다른 연도는 다 빼고 '깔끔하게' 비교했다.
(사실 이것만 봐도 더 이상 설명이 필요없을 수도 있다)

이 비율을 숫자로 구하면 전년동월비이다.
4월에 전년대비 수출이 감소했고 그것이 18년 4월 수출이 특별히 적어서가 아니라 17년 4월이 특별히 많아서 그렇다고 한다.
실제로는 17년 5월의 특별 휴일을 포함한 많은 공유일때문에 4월, 6월에 수출이 당겨지고 밀려나간 것이 보인다.
그러니까 17년 4월이 조금 높은 것이 맞다는 것이다.
그러나 17년 9월처럼 많은 것도 아니고 전후의 몇개월 추세를 보면 그 기여도는 1-2%에 불과하다.

게다가 18년은 3월보다 4월이 조금 낮다.
전월대비 줄었고 주된 이유는 반도체때문이다.
(조선같은 것도 영향을 줄 수는 있지만 규모는 반도체가 크다. 2,3월에 나타난 반도체의 변동성에 대해서 대부분은 확인도 하지 않는 듯하다.)
이런 경우 두달씩 묶어 비교하거나 아예 3개월 이동평균으로 비교하면 그런 시시콜콜한 노이즈와 관계없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추세를 볼 수 있다.




연간 4-5% 정도의 수출성장에 해당하는 보조선(파란 점선)을 눈으로 대충 추가했다.
월별 변동에도 불구하고 대략의 추세를 볼 수 있게 그린 것이라서, 이대로 수출이 진행한다는 것은 아니지만 가능성이 낮은 것도 아니다.

해마다 1/2월, 5월, 8/9월 등은 명절과 휴가 등으로 인해 수출이 감소하고 계절적인 노이즈가 발생한다.
작년 5월은 유난히 조업일수 감소가 심해서 당연히 올해 5월 수출은 특별한 일이 없는한 다시 증가한다.
그것이야말로 기저효과로 인한 착시라고 할만하다.
가능성은 거의 없지만, 5월에도 수출감소가 나타난다면 그것은 한국수출이 매우 위험하다는 신호가 될 것이다.

당연히 증가하게 되어있는 5월 수출(yoy)는 가볍게 넘어가고, 6월 수치가 나온 후에 비교해야 18년에 한국의 수출이 정말 한자리 초중반의 약한 성장을 보이게 될지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4월까지의 결과만으로도 한국 수출이 정체단계에 들어섰다고 말할 수 있는 조건은 충분하다.

전년비가 이미 작년 하반기부터 내리막을 지속하다 드디어 마이너스 전환했고, 12개월 합계는 상승추세에서 횡보단계로 꺾였다.
위의 그림처럼 월별로 하나하나 따져가면서 봐도 수출은 정체국면이다.


경제애널들이 수출전망을 12%에서 10%로, 8%에서 6%로 낮추면서 수출은 견조하게 증가하는 중이라고 얘기하는 것은 종목업종애널들이 목표주가를 낮추면서 매수를 유지하는 것과 다를바 없다.
착시고, 기저효과인데 전망을 왜 낮추나?
그들은 집단적으로 자신을 속이고 있는 것이다.





기왕에 수출을 다시 본 김에 수입도 다시 봤다.
14년은 기름값이 폭락하던 해이고, 디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감으로 전 세계 제조업경기가 둔화를 보이던 2년의 기간이 시작되던 시기이다.
18년의 수입은 계속 증가하던 17년보다는 정체되어 있던 14년처럼 보인다.
그렇지 아니한가?
수입으로 보면 한국의 2018년은 돌고돌아 2014년이 된 것이다.



위에 표시하지 않았지만, 14년, 17년, 18년 수출을 함께 비교해보면 왜 지난 3개월의 수출 추이가 낙관적이지 않은지 알 수 있을 것이다.

http://runmoneyrun.blogspot.kr/2018/05/korea-export-20180501.html

단순한 그림은 설명에는 좋지만, 분석에는 답답하다.
그래서 복잡하지만 4월 한국 수출 관련 포스트를 다시 보면서 한국의 18년 수출이 심각하게 갇혀가고 있다는 것을 이웃분들이 직접 느낄 수 있기를 바란다.







대칭적 물가 "symmetric" 20180503




연준이 오랫만에 다시 '대칭적' 물가 목표라는 언급을 해서 시장이 눈치를 본다고 한다.
내가 보기에 '대칭적'이라는 표현은 해석하고 말 것도 없다.

25년 넘게 2%를 중심으로 1-3% 범위에서 물가가 움직였고, 그 범위가 미국의 골디락스 경제를 유지하는데 적당하다고 보기때문에 그렇게 하겠다는 것이다.
2%에 도달했는지 여부가 아니라 물가상승속도가 문제가 되는 국면이다.

고압경제 + 대칭적물가목표 CPI vs federal rate 20170318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3/cpi-vs-federal-rate-20170318.html


작년에는 기준금리가 너무 낮았고, 지금은 그렇지 않다.
작년에는 금리를 물가 통제가 가능한 수준으로 올려놓을 필요가 있었고, 지금은 그런 수준에 거의 다 와 있다.
물가상승은 6-7월까지 가속될 것이고, 장차 상단을 위협할 정도인지 확인하는 것은 그 때가 되어야 가능하다.

고용, 성장은 미국에게 문제가 되는 시기가 아니라서, 물가에 대한 상상력만으로 충분히 연준의 태도를 이해할 수 있다.
금리 인상을 서두르지 않고 물가의 방향과 속도를 충분히 관찰하겠다는 것이 나의 느낌이다.


한국최저임금과 미국물가 cpi vs m2, v2 - 20180412
http://runmoneyrun.blogspot.kr/2018/04/cpi-vs-m2-v2-20180412.html

한국에 몇가지 특수한 상황이 벌어지고 있지만, 한국물가도 미국물가와 동조화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

Symmetric’ captures Wall St attention in May Fed statement
https://www.ft.com/content/4d4c4760-4e3b-11e8-a7a9-37318e776bab

http://runmoneyrun.blogspot.kr/2018/04/1929-us-unemployment-and-cpi-since-1929.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8/03/interest-rate-vs-ngdpmb.html

2018년 5월 2일 수요일

Samsung vs Apple 1q2018 - 박빙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11/supercycle-vs-supercycle-samsung-vs.html


애플의 아이폰 슈퍼싸이클은 무위로 끝났다.
판매대수에서 14년 이후의 성수기와 비교시 주목할만한 변화가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기대에 미치지 못한 x의 판매에도 불구하고, 매출과 영업이익은 한단계 성장했다고 볼 수 있다.






아이폰 판매의 계절성이 두드러지는 애플의 영업이익과 달리 삼성의 실적은 16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메모리반도체의 슈퍼싸이클(95년과 비교하면 아직도 빅 정도에 불과하다)에 대한 고점 논란이 1년째 지속되고 있으나, 아직 고점 혹은 고원에 도달했는지는 알 수 없다.
디램과 관련해서 중국 당국, 미국 민간의 담합에 대한 의혹 제기가 존재하나, 해당 업체들은 증가하는 수요와 빡빡한 공급에 의한 가격 상승이라고 주장하고 있기 때문에 아직은 호황기의 흔한 노이즈라고 볼 수 있다.

애플의 아이폰x 이후 전략이 새로운 성장을 끌어내지 못하고, 삼성의 반도체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이 유효하다면 애플과 삼성의 영업이익 차이는 연간 몇 조이내로 감소할 것이다.





좁혀지는 차이에도 불구하고 18년에 삼성이 애플을 뒤집을 가능성은 낮다.
그러나 영업이익률은 애플 26.05%, 삼성 25.83%로 실제적인 차이는 없다고 할 수 있다.
애플의 이익률이 계절적으로 하락하는 2분기에는 이익률이 역전될 것으로 본다.


앞으로는?

애플의 아이폰x는 실패라고 할 수 없으나, 불완전한 성공에 불과하다.
완전한 성공은 이후의 모델이 소비자에게 어떤 가치를 줄 수 있을지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그러나 이익률이 과거처럼 30% 이상으로 올라가는 것이 가능할지는 알기 어렵다.
메모리, 디스플레이 등 중요 부품을 공급망에 포진한 삼성과의 관련성을 보면 더욱 그러하다.

삼성의 반도체 이익률이 56%이고, 디램만 보면 70%를 넘는다고 한다.
반면, 휴대폰의 이익률은 10%대이고, 디스플레이와 가전의 이익률은 한자리 초중반에 불과하다.

이보다 더 좋을 수 없다는 메모리반도체 업황은 두려워할 일이고, 실제로 시장은 그런 반응을 보이고 있다.
가전은 백약이 무효로 보이고, 디스플레이 실적은 애플에 달린 것이라서 애플의 선전은 삼성oled에도 콩고물을 남길 것이다.
결국 삼성 휴대폰의 성과가 두 업체의 승부에 결정적인 요소가 될 것이다.
매출, 이익, 이익률뿐 아니라 현금흐름에도 휴대폰의 실적이 결정적인 차이를 낳는다는 것을 확인했었고, 향후에도 다를 이유가 없다.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11/power-of-galaxy-cumulative-op-of-samsung.html

현금왕 삼성전자의 현재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8/blog-post_20.html



요약
반도체의 초호황에도 불구하고 애플과 삼성의 승부는 휴대폰에서 갈릴 것이다.





korea export 20180501 정체


korea export 20180401 기대 이상
http://runmoneyrun.blogspot.kr/2018/04/korea-export-20180401.html

korea export 20180102 돌파구가 필요한 시기
http://runmoneyrun.blogspot.kr/2018/01/korea-export-20180102.html


3월의 기록적인 수출로 인해 잠시 기대를 가졌으나, 4월 수출은 그러한 기대가 허망한 것이었음을 보여준다.
올해 4개월간의 수출만으로도 이미 2014년 혹은 2017년 수준의 수출에서 몇 % 이상의 성장을 기록하는 것도 매우 어려울 것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작년 5월의 기저효과로 앞으로 한달은 잠잠하겠으나 6월 이후 한국 수출은 경제성장을 주도하기보다는 오히려 성장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

수출에서 돌파구를 찾을 수 없다면 내수에서 변화가 나타나야 한국이 성장을 지속할 수 있다.
gm에 대한 정부 지원으로 최저임금으로 인해 가속되고 있는 고용상황의 급격한 악화에 대한 우려는 잠시 사그라들수 있다.

남북정상회담 이후 진행될 경제협력이 가시적이고 실질적인 기업들의 매출로, 노동자들의 소득으로 이어지는 것이 얼마나 걸릴지 예측하기 어렵다.
그러나 상당한 시간이 걸릴지라도 북한이 개방을 통한 경제성장을 추구한다면 남한의 기업이 가장 직접적이고 큰 수혜를 입을 가능성이 높다.
만약 야당이 정권의 발목을 잡지 않고, 남북회담에서처럼 북미회담에서도 김정은이 비핵화에 대한 의지를 보이고 행동으로 이어지면, 북한과의 경제협력이 빠르게 진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단기적으로 수출엔진이 꺼진 한국에서 한국경제의 모멘텀은 북한밖에 보이지 않는다.





4월 수출은 14년, 17년 수준보다 더 높지 않다.
그러니 이 수준에서 상향 이탈하지 않으면 정체를 피할 수 없다.




전년 동월비로 수출은 살짝 마이너스, 수입은 두자리 플러스이다.
그러나 수입도 연말까지 0근처로 수렴할 가능성이 있다.

올해 수출이 한자리 초중반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고 봤으나 더 낮아져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다.




12개월 합계(ttm)를 보면 무역수지가 16년, 17년에 이미 고점을 확인했다는 것이 명확하다.
과거처럼 하락할지는 알 수 없다.
왜?
유가가 얼마나 더 오를지 알 수 없는 것과 같은 이유이다.

수출은 18년들어 정체되고 있지만, 14년 수준보다 약간 높다는 것은 알 수 있다.
수입은 여전히 상승 중이나 조만간 수출처럼 정체될 것이라는 것을 아래 그림에서 짐작할 수 있다.





십몇개월만의 수출 감소가 착시라느니, 기저효과라는지 말들을 하지만, 2월에서 4월까지의 숫자들을 14년, 17년과 비교하면 올해 수출이 작년보다 4-5%의 증가만 보여도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게 만든다.

수출을 주도하던 반도체도 하반기에는 성장률이 0에 수렴할 가능성이 있다.
규모가 있는 산업 중에서 현재 대안은 보이지 않는다.

5월에는 작년의 연휴로 인해 확실한 '기저효과'가 예정되어 있다.
그러면 6월 수출까지 나온 다음에야 의미있는 비교가 가능할 것이다.




수입은 17년 대비 두자리 증가율을 유지하고 있으나, 기저효과로 인해 연말로 갈수록 0에 수렴할 가능성이 높다.
기름값이 현재 수준이라면 그렇다는 것이고, 만약 더 오른다면 그래서 달러가치가 내려간다면, 거기에 원화 강세가 기름/달러/북한 때문에 심해진다면 수출, 수지가 모두 크게 악화될 수 있다.



과거 2년동안 한국의 수출이 성장하는 모습을 확인하는 것은 즐거운 일이었다.
그러나 당분간 한국 수출을 들여다 볼 흥이 나지 않을 것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