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8월 30일 금요일

시리아, 미국


영국에 이어 독일도 시리아 공습에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고 한다.
당장이라도 공격할 기세였던 미국은 주춤하고 있다.

군사작전에 대한 회의가 발생한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이라크의 수렁이 되풀이될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큰 것으로 보인다.

시리아에서 화학무기가 사용되었는지 확실하지 않고, 사용되었다고 해도 누가 사용했는지 확실하지 않다. 또 정부군에 대한 공습으로 화학무기 사용을 금지하려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지 확실하지 않다. 게다가 다른 효과적인 대안에 대해 충분히 검토된 바도 없다.

어제까지 뚜렷해 보이던 상황이 갑자기 안개에 쌓여 버렸다.
다시 생각해보면 시리아와 관련된 혼란에 대해 관련국의 국민들이 명확히 알게 되었다.
불확실성이 증가한 것인가? 감소한 것인가?

미국은 2차대전 후 서방 세계의 경찰이었다.
소련이 무너진 후에는 유일한 세계의 경찰이었다.
이제 그러한 역할이 축소되고 있다는 것을 누구나 알 수 있다.

다른 나라나 다른 기구가 미국이 과거에 했던 역할을 대치하지 못하면 힘의 공백이 생긴다.
시리아에서 화학무기로 많은 사람들이 죽은 것이 사실이고, 앞으로 더 많은 사람들이 죽는다고 해도 미국이 나서지 않으면 현실적으로 억제하기 어렵다.
그보다 더한 문제가 다른 나라에서 발생하고 반기문 총장이 국제사회의 개입을 촉구해도 나설 주체가 없다.

새로운 질서와 균형을 찾기 전까지 다양한 형태의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발생한 혼란의 해결이 지연될 수 있다.
이것이 그런 전조인가?





unmatched Q&A


유로강세가 멈추었다.
약세로 전환되었는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5월 이후 금리의 상승은 장기간 지속된 미국 경제의 회복때문이다.
QE의 종료는 당연한 결과이다.
QE의 종료를 예상한 시장의 선제적인 반응, 대응이라고 보는 것도 틀렸다고 하기는 어렵다.

저금리에 기반한 투자 자금이 신흥국에서 빠져나가는 것은 당연하다.
주식, 부동산, 실물. 구분할 이유가 없다.
신흥국 통화/주식/채권의 동반 약세도 피하기 어렵다.

신흥국의 외환보유고가 감소하면 euro는 약세를 보인다.
그런데 왜 유로가 약세가 아니라 달러가 약세였나?
신흥국이 달러와 미국채를 파나?
그래서 통화가치를 방어했나?
방어가 되겠나?

미국이 달러를 풀어서 달러약세로 신흥국경제를 망친다고 하고.
미국이 달러를 거둬들여서 달러강세로 신흥국경제를 망친다고 하고.
미국, 달러의 존재 자체가 악인가?
그것을 원시화폐, 금이 대신하면 그것은 선인가?

유럽의 경제도 회복되기 시작했다.
이미 몇개월 혹은 그 이전부터 신호는 충분했다.
지금은 확인하고 있을 뿐이다.

그래서 지금까지 유로가 강세였나?
유로의 강세가 실물경기의 회복을 반영하나?
아니면 유럽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을 반영하나?
강세였던 euro가 지금 하락전환할 이유가 있는가?

euro가 약세전환하면 dollar가 강세전환한다.
dollar가 강세전환하면 gold, oil이 약세전환한다.

oil이 약세전환하려면 시리아 관련 불확실성이 해소되어야 한다.
시리아를 포기하든지, 시리아를 공격하든지 결론이 나야 한다.
벌써 결론이 났나? 나만 모르나?

안전자산, 위험자산의 구분은 원래 무의미하다.

달러가 언제부터 위험자산이었나?
유로가 언제부터 안전자산이었나?
엔이 언제부터 위험자산이었나?
원이 언제부터 안전자산이었나?
위안이 언제까지 안전자산일까?

위험의 기준이 무엇인가?
하락 추세가 더 위험한가? 변동성이 더 위험한가?
몰라서 위험한 것인가? 많이 안다고 착각해서 위험한 것인가?

금이 좋다는 얘기가 다시 나온다.
안전하다는 것일까? 싸다는 것일까? 털기 좋다는 것일까?
기름이 좋을 때까지는 좋을까?
기름은 언제까지 좋을까?
셰일은 혁명이 아니라 마치 쿠테타같다.

달러가 미국 주식을 선행하는 듯, 마는 듯.
일본 주식이 미국 주식을 선행하는 듯, 마는 듯.
달러 강세로 가면 미국, 일본 주식이 강세로 전환될까?
그러면 혼란이 잦아들까?

미국채 약세로 시작된 혼란이 달러강세로 마무리될 수 있다는 야릇한 얘기.
이런게 결론일까? 서론일까? 아니면 네버엔딩스토리?

질문과 답들.
짝을 맞출 수 없지만, 세상은 이제 짝이 맞아가고 있는 것 같기도 하다.
당분간 유로, 금, 기름을 열심히 보자.
그냥 한국만 봐도 될지 모르겠다.




2013년 8월 29일 목요일

해외채권 수업료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3082613529627467&outlink=1

증권사별 해외채권 판매 현황

정리를 매우 잘 한 좋은 기사이다.



일부 뒤늦게 판매를 시작한 증권사는 금리가 상승하고 환율이 하락하니 적극 물타기를 권하는 모양이다. 실제 장기투자하면 이자로 환율 하락을 커버할 수 있고, 브라질 경제가 안정되면 글자 그대로 대박이 날 가능성을 부인할 수도 없다.

그러나 반대의 가능성도 있다.

일단 헤알 가치하락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심화, 연속적인 금리인상, 고금리로 인한 경기회복지연과 침체, 해외자본이탈, 다시 헤알 가치 하락의 악순환이 발생하면 금리가 아무리 높아도 환율 하락을 커버할 수 없을지 모른다. 브라질에 경제 위기가 오지 않아도 장기간이라면 충분히 가능한 일이다. 장기로 투자하는 것이 필망의 길일수도 있는 것이다.

차라리 단기채권에 투자에서 적당한 환율손실로 그치는 것이 덜 괴로운 상황이 될 수 도 있는 것이다.

해외 채권, 주식으로 투자를 다변화하는 것은 한국의 경제, 자본 규모에서 피할 수 없는 일이고, 처음 배우는 것에는 수업료가 들게 된다. 2007년에 중국주식투자에서 크게 당한 뒤로 많은 한국사람들이 해외투자에 대해 잘 알게 되었다. 개인적으로 인사이트는 아니어도 헷지한 중국펀드에 가입해서 깡통으로 추가납입을 하면서 저절로 공부가 되는 경험을 했다.

이번에 브라질채권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수업료를 다소나마 지불하고 있는 모양이다. 작년에 동양증권에 계좌를 만들었던 장모님 문제 해결을 위해 이머징 채권과 채권 펀드에 대해 조금이나마 조사를 해두었더니, 이번에 벌어지는 일들이 조금 더 이해가 된다. 아직 다행인 것은 그래도 브라질이 최근에 문제가 되는 여러 나라들 중에 최악이라고 보는 사람이 별로 없다는 것이다.

기왕에 낸 수업료들이니 어깨너머로 같이 배우기라도 하자.









comparison of SNS user growth


several types of user statistics

download numbers
total users
daily active users, DAU
monthly active users, MAU

- defined by each company for its specific purpose
- reported regularly only by listed companies
- data from various sources (company report, news, posts, financial report et al)


FB users increased linearly by 240 million per year.
Wechat and Line shows similar rate of user increase.
LinkedIn, Twitter, Kakaotalk shows much slower growth rate.




In log scale, the slope of graph shows the % increase of users.
Even facebook shows slower rate of user increase (20-30% yoy).
The growth rate of wechat and line is still faster than others ( >100% yoy).
Whatsapp user growth rate is almost the same as wechat and line from limited data points. (not shown)


There are two groups in SNS: fast growing (fb, twitter, linkedin and kakaotalk) and slow growing (Whatsapp, Wechat and Line).


What makes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 different user pool size (general vs specialized)
- localization of services or users (china, korea, japan, us, europe...)
- relative phase of each user pool (initial, rapid growing, plateau, decreasing)
- monetization method (free, premium...)
- competition (within messenger apps)



Who will be the winner of mobile platform competition?
Google and Facebook.
Twitter?

Mobile messengers are the fastest growing, but still unproven candidates.
1. Line
2. Wechat
3. Whatsapp (+ Google)?
4. Kakaotalk?
5. etc (Viber, tango, kik, pinger,,,facebook messenger, google hangout,,,)






2013년 8월 28일 수요일

내란죄



공안정국. 오랫만이다.
이석기에게 어떤 혐의가 있다고 하더라도 국정원과 검찰이 지금 터뜨리는 이유가 무엇일까?

이제는 돌이킬 여지가 별로 없어 보인다.
짝퉁 MB정권에 비하면 역시 GH정권이 원조라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다.

경제민주화 공약은 지나친 감이 없지 않았으나, 상법 개정안은  나름 개선되는 면이 있다고 기대했었다.
하루에 세상이 뒤집어진 느낌이다.

벙벙하다.

-----------


진보당·이석기 '내란음모' 혐의 30여년만에 등장

법조계의 한 관계자는 "최근 들어 내란 예비나 음모 혐의를 적용해 수사하거나 기소한 사례는 보기 힘들었던 것 같다"라며 "내란 관련 혐의를 적용한 점에서 구체적인 문건이나 증거를 확보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em etf



http://finance.yahoo.com/echarts?s=idx#symbol=idx;range=6m;compare=epi+ewz+thd+tur+ephe;indicator=volume;charttype=area;crosshair=on;ohlcvalues=0;logscale=off;source=undefined;

Indonesia
India
Brazil
Thailand
Turkey
Phillippines

이 중 일부가 더 위험하다고 얘기하지만 etf에는 아직 큰 차이가 없다.

아래의 나라들은 가끔씩 언급되지만 시기상조로 보인다.
FXI
EWH
EWS
EWM
EZ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