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월 31일 월요일

확진자와 확진율 20220131

 

확진자 = 검사자 * 확진율

확진자가 증가하는 시기에 검사자 숫자와 확진율이 동시에 증가한다.

만약 하루에 최대로 검사할 수 있는 용량의 한계가 존재하면 확진율이 증가하는 경우에만 확진자 숫자가 증가한다. 명절 연후가 시작되기 전에서 하루 검사자의 숫자는 30만에서 증가하지 않고 있었다. ( 단 하루만 예외)

주말, 명절처럼 검사자 숫자가 감소하는 시기에 확진자는  비례해서 감소하지만, 감염자가 감소하는 것을 반영한다고 보기 어렵다.

이렇게 감소된 검사자 숫자가 유지되는 경우 확진율의 변화를 통해 확진자의 증감을 유추할 수 있다.






임의로 선택한 몇 개 국가의 확진율이다.
한국, 일본은 확진률이 증가하고 있고, 호주, 미국, 영국, 남아프리카공화국은 감소중이거나 횡보중이다.

이것이 확진자를 어떻게 반영하는지 아래 그림과 비교할 수 있다.





저점, 고점의 위치, 기울기 등이 대개 비례한다고 볼 수 있다.
다만 호주, 미국, 영국은 확진자의 레벨 자체가 일본, 한국, 남아프리카보다 높다.

일본, 한국은 사회적 통제, 방역 수준이 높은 것으로 인해 실제로 감염자가 적게 발생하고 확진자가 낮게 나오는 것을,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인프라의 제한으로 인해 감염자수에 비해 검사자수가 적은 것을 반영할 수 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오미크론 치명률이 3%로 다른 나라에 비해 5-10배 가까이 높은 것도 이러한 추측과 상통한다.




확진율이 5-10%를 넘어서는 경우 검사자 숫자를 늘려서 확진율을 5-10% 이하로 떨어뜨려야 확진자 숫자가 실제 감염자 숫자를 반영하는 것으로 판데믹 초기에 전문가들이 얘기했었다. 지금도 비슷할 것이라고 보면 오미크론의 급격한 확산 이후 선진국, 후진국 가리지 않고 다수의 국가에서 확진율이 20-30% 대로 올라간 것은 충분한 검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증거이다.

일본에서 확진률, 확진자가 오미크론으로 인해 수백 배 증가했어도 충분한 검사를 하지 않아서 실제보다 매우 낮게 나왔을 가능성이 있다. 영국대비 검사수가 1/10 이하에 불과한 것이 일본의 보건 인프라나 전체 인프라 수준을 반영하는 것이라면 선진국이라고 불리기 민망한 수준이다.

한국의 최대 30만건은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 적당한 수준의 검사 건수를 유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지만, 미국, 영국 대비 낮은 수준이다.






질병청의 보도자료에 있는 1월 30일까지의 검사 및 확진자 현황이다.

확진율 ( = 검사 양성률 = 당일 신규 확진자수/전일 소계)이 어제 7.8%로 급증했다.

반면 검사자수(218,716명) 가 전일대비 30% 이상 감소했고, 확진자수(17,085명)는 전일대비 큰 차이없다.

만약 연휴가 아니었고 검사숫자가 유지되었다면 확진자수가 어떻게 나왔을까?





확진율과 확진자수를 비교하면 확진자수가 17,000명대보다는 상당히 높았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명절 이후에는 실제 상황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요약

연휴 중에도 확진자수에서 보이는 것보다 빠르게 오미크론이 확산되고 있다.






댓글 2개:

  1. 개인적으로는 치명률이 낮아서 괜찮겠다 싶었는데 듀프레인님 포스팅들을 좀 읽어보니 그렇게 생각할 것도 아닌것 같네요. 오랫만에 들러 새해인사를 드리려 했는데 오미크론 글을 보면서 흠짓 하고 갑니다. ㅜㅜ

    공유해주시는 글 늘 감사드려요. ^^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늘 건강하시길 기원드립니다.

    답글삭제
    답글
    1. 오미크론 이후에도 덜 치명적인 변이가 우세종이 되는 패턴이 반복되면서 판데믹의 터널을 벗어나기를 기대합니다. 달밑님도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기 바랍니다.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