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6월 1일 일요일

birth of a new cycle - normal, big, or super


과거 10년을 풍미하던 슈퍼싸이클은 아주 깔끔하게 끝이 났다.

그러나 다른 지역에서 새로운 싸이클이 발생하고 있고, 그 중에 어떤 것은 아주 클 수도 있다.




90년대를 끝으로 다시 오기 어려울 것 같았던 메모리의 빅 싸이클이 나타나고 있다.




미국의 관련기업들 (MU, SNDK, WDC, STX) 전체 시총이 몇배로 증가하고 있다.
하이닉스의 상승은 그에 비하면 매우 소박한 수준이다.

지금 마이크론을 보유한 펀드는 가치투자의 대가, 세스클라만의 바우포스트에서 공격적인 헤지펀드의 대표주자인 아인혼의 그린라이트까지 다양하다.

http://www.insidermonkey.com/insider-trading/company/micron+technology+inc/723125/hedge-funds/


왜 이런 변화가 생겼을까?
80, 90년대 pc, 인터넷, it의 대호황기가 지속되면서 수십개 업체들이 난립해 경쟁하던 시장이 지금은 대형 업체 몇개로 정리되었다.

저장장치 시장
http://runmoneyrun.blogspot.kr/2013/02/blog-post_21.html

수요가 증가하면서 분화되고 있고, 공급 증가는 제한적이다.
새로운 경쟁자의 진입은 없고, 기술개발은 더뎌서, 기존업체의 증설만이 중요한 문제가 된다.
이 기간이 얼마나 지속될지만 문제가 되는 시장이다.




과거 대한민국 개인, 기관투자자에게 블랙홀이나 다름없었고, 도박 중독자를 새주인으로 만나서 미래가 불분명해 보이던 회사는 태평성대를 구가하는 반면 한국의 it의 대표업체 둘은 최근 1년간, 혹은 수년간 덪에 빠져있다.

투자는 운칠기삼이라는 생각을 아니할 수가 없다.




최근 2년간을 확대해보면 전혀 다른 성과를 보이던 sec, lge 두 회사가 앞서거니 뒤서거니 사이좋게 동행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단기적으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은 롱숏이나 기타 수급의 영향이겠지만, 길게 봐서는 비교가능한 세계 기업들의 반 이하에 해당하는 평가를 공히 받고 있다.
하이닉스도 상대적으로 밸류에이션이 저렴하지만, 시총이 mu에 앞서고 점유율은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을 고려하면 sec, lge의 저평가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결국 성장을 통해서든, 주주환원을 통해서든 roe를 높여야 한다.
삼성은 배당을 통해, LG는 성장을 통해 그러기를 기대할 수는 있다.

그러나 전세계 투자자들이 이 회사들을 전화기 회사라고 보는 한 그 분야의 매출, 이익 성장이 가시적으로 나타나지 않으면, 큰 변화는 나타나기 어렵다.
더구나 중국, 인도에서 수많은 저가폰 경쟁자들이 나타났기 때문에 실수라도 하는 날이면 일본전자업체들과 비슷한 상황에 놓일 수 있다.




스마트폰 시장 성장의 수혜는 지금 sns, 모바일, 게임, 상거래 관련 업체들에 집중되고 있고 한국에서 투자할만한 업체가 손에 꼽을 정도였으나  다음카카오의 등장으로 관전의 재미는 커졌다.


관심은 두고 있었지만, 암흑의 역사를 가진 하이닉스에는 길게 투자를 하지 못했다.
상전벽해는 믿을 수 있지만, 환골탈퇴를 믿기가 어렵다.

나머지 업체들은 짧게는 1년, 길게는 9년 정도 투자를 하고 있는 셈이다.
supercycle, 최소 big cycle을 기대하지만 지나봐야 아는 것이고, 한국의 내수시장에서 의미있는 변화가 나타나기 전까지는 그나마 크게 실패하지 않는 방법이라고 본다.





supercycle, aftermath of oversupply




중국, 브릭스를 포함하는 신흥국의 성장과 관련된 업종, 기업의 슈퍼 싸이클은 일단락이 된 것으로 보인다.

중국과 운명을 같이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posco의 미래는 자체로도, 중국을 보는 창으로도 중요하다.



조선, 중공업, 화학, 자동차도 정도와 순서의 차이는 있으나 높은 수혜를 받았다.
또한 수출에도 크게 기여했고, 환율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반면 it는 기타 수출 관련 업종과는 크게 다른 길을 같다.



최근 들어 해운, 조선, 철강보다 슈퍼싸이클의 뒤끝을 강하게 경험하는 분야가 정유이다.
그나마 캐시카우 역할을 하던 px, 윤할기유 사업의 공급과잉을 이끌어낸 국내 정유사들의 직격탄을 가장 강하게 맞은 회사이다.
실적과 배당에 대한 기대감이 사라지면서 보통주의 프리미엄이 완전히 과거 수준으로 돌아갔다.



다른 정유회사. 다른 부문이 일부 막아주는 모양새.





2014년 5월 31일 토요일

CHOSUN REFRACTORIES 1Q2014


http://runmoneyrun.blogspot.kr/2014/02/really-refractory.html

better than expected




가. 사업부문별 요약 재무현황
                                                                        
(단위:백만원)
사  업  부  문2014년도 1분기2013년도 1분기2013년도2012년도
매출액영업이익매출액영업이익매출액영업이익매출액영업이익
내화물   제조업146,8487,961133,5205,500573,60235,568553,64933,745
에너지   공급업39,3853,23951,9283,430120,9283,104125,2393,619
기계부품제조업55,5394,28446,2403,005206,77011,410198,94710,044
골   프   장  업1,337(580)1,182(705)8,561(1,490)8,153(2,151)
소             계243,10914,904232,87011,230909,86148,592885,98845,257
내  부   거  래(14,263)417(13,479)307(61,642)1,563(50,353)1,604
합             계228,84615,132219,39111,537848,21950,155835,63546,861


가. 요약 연결 재무제표
(단위 : 백만원)
구 분제67기1분기제66기제65기제64기
제63기
(2014년 3월말)(2013년 12월말)(2012년 12월말)(2011년 12월말)
(2010년 12월말)
[유동자산]
328,865
345,873
365,537
340,488
306,926
 현금및현금성자산
12,773
39,440
34,408
22,121
34,074
 매출채권및기타채권
150,583
132,172
162,727
150,563
128,556
 재고자산
130,825
140,200
148,512
146,356
131,667
 단기매매금융자산26,814
26,926
6,664
--
 기타단기금융자산2,038
2,033
5,071
8,257
7,226
 기타유동자산5,832
5,102
8,155
13,191
5,403
[비유동자산]
778,792
787,322
801,723
813,184
864,561
 유형자산
473,389
470,680
461,832
449,370
456,075
 투자부동산
19,698
19,790
20,180
21,240
21,961
 무형자산
44,034
44,351
44,695
44,540
43,616
 관계기업투자
45,987
45,681
47,411
48,898
49,195
 공동기업투자
2,449
2,514
2,423
2,816
2,379
 매도가능금융자산
188,714
199,666
220,793
240,161
284,385
 기타장기금융자산
4,502
4,623
4,389
6,159
6,950
 이연법인세자산
19
17
---
자산 총계
1,107,657
1,133,195
1,167,260
1,153,672
1,171,487
[유동부채]
215,954
227,453
254,992
272,623
270,991
[비유동부채]
238,555
246,367
275,225
259,177
259,964
부채 총계
454,509
473,820
530,217
531,800
530,955
[지배기업의 소유지분]
545,554
553,994
536,665
527,389
550,472
 자 본 금
20,000
20,000
20,000
20,000
20,000
 주식발행초과금
19,623
19,623
19,623
19,623
19,623
 기타포괄손익누계액
45,835
53,283
62,116
76,986
126,857
 기타자본항목
43,825
43,825
44,228
44,224
44,392
 이익잉여금
416,271
417,263
390,698
366,556
339,600
[비지배지분]
107,594
105,381
100,378
94,483
90,060
자본총계
653,148
659,375
637,043
621,872
640,532
자본과 부채 총계
1,107,657
1,133,195
1,167,260
1,153,672
1,171,487

(2014.1.1 ~
 2014.03.31)
(2013.1.1 ~
 2013.12.31)
(2012.1.1 ~
 2012.12.31)
(2011.1.1 ~
 2011.12.31)
(2010.1.1 ~
 2010.12.31)
매출액
228,846
848,219
835,635
772.376
703,780
영업이익
15,321
50,155
46,861
47,078
54,180
연결총당기순이익
15,018
43,820
37,034
38,934
42,918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12,007
37,940
33,892
35,082
36,482
비지배지분
3,011
5,880
3,142
3,852
6,436
기본주당순이익(원)
3,695
11,674
10,428
10,795
11,325
연결에 포함된 회사수
10
10
10
9
9
                                                                                       [Δ는 부(-)의 수치임]

spain and germany, still converging





stock: germany vs spain



bond: germany vs spain

http://runmoneyrun.blogspot.kr/2014/05/spain-still-underwater.html

채권은 3월까지의 금리만 보여준다.
유로가 깨지지 않는다면 독일과 남유럽의 금리차는 줄어들 것이다.
마찬가지로 주가의 차이가 줄어들 것인가?
그럴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특히 독일에 대한 의존도가 큰 스페인이 그럴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문제는 어디로 수렴하는가이다.

방향이 아니라, 높이의 문제.






bond vs euro

http://runmoneyrun.blogspot.kr/2014/05/euro-20140528.html

유로 지역 전체의 채권 금리에 대한 지표가 있었는데 잊고 있었다.
독일 금리보다 유로와의 관련성이 높다.




spain, still underwater



The Pain In Spain Is Mainly Europe’s Bane
http://blogs.wsj.com/moneybeat/2014/05/29/the-pain-in-spain-is-mainly-europes-bane/





Spanish House Prices Decline Again

Decrease Smallest Since mid-2010, But Still 22nd Consecutive Quarterly Decline



Inflation Weakens in Italy and Spain
http://online.wsj.com/article/BT-CO-20140530-704206.html

"FRANKFURT--Annual inflation weakened in Italy and Spain, reports released Friday showed, further cementing expectations in financial markets that the European Central Bank will cut interest rates and take new measures to improve bank lending when it meets Thursday."


Spanish economy posts third straight quarter of growth
http://www.reuters.com/article/2014/05/29/us-spain-economy-gdp-idUSKBN0E90MM20140529

"The IMF said on Monday robust exports and better financial market conditions had fed into private consumption and business investment, but warned Spanish people were suffering from the legacy of the crisis with 6 million still out of work."

Spanish housing nightmare fades as buying picks up
Economic recovery helps entice buyers back into the housing market where prices have slumped since 2007 peak


"Real estate is lagging but it'll follow now that the economy has started to grow," said Madrid-based Angel Laborda, chief economist at Funcas, Spain's savings banks' foundation. "It's taking much longer, but Spain is going through the same process as the US or Ireland, where construction is contributing to the economy again."




















2014년 5월 30일 금요일

lg 그룹 우선주



순서대로 lg, lg전자, lg화학, lg생활건강



순서대로 lg, lg전자, lg화학, lg생활건강의 우선주들.

lg지주회사는 상장 자회사지분을 대개 30% 초중반대로 들고 있다.
시총을 고려하면 lg화학, 전자, 생건 순서대로 영향이 커야 하지만, 2010년 후반부터 lg전자 주가를 졸졸 따라다니고 있다.
특히 생활건강의 가치가 증가했던 것을 거의 반영하지 않았다.

비상장 자회사(cns, 실트론, mma 등)의 가치하락이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도 있으나, 그것이 lg전자의 업황과 동일하거나 아주 밀접한 것은 아니라서 논외이다.

내가 보기에는 시장이 모멘텀이 부재한 대형지주회사에 대한 평가를 열심히 할 필요를 못 느끼는 것이다. 누군가 관심을 가졌다고 해도, 기껏해야 롱숏, 페어 트레이딩의 대상이었을 것이다.

눈이 밝거나 발이 빠르거나, 운이 좋은 사람들은 다른 중소 지주, 우선주, 부품 등 관련된 시장에서 투자하고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lg그룹의 우선주들도 예외는 아니어서 보통주들의 소외에도 불구하고, 12년말, 13년초부터 시작된 우선주의 재평가 시기에 대개 동참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삼성, 현대차 그룹 우선주들이 대개 보통주의 60%-80% 평가를 받는 것에 비하면 여전히 저평가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우선주 재평가 이유가 소액주주에게 보통주의 의결권이 거의 가치가 없고, 미국 등의 시장에서 배당이 없거나 적은 무의결권 주식들도 보통주 대비 할인율이 매우 낮고, 일부 기업에서 실제로 배당이 증가했거나, 앞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라면 삼성, 현대차 그룹 우선주가 재평가 되는 이유가 lg 그룹에 적용되지 않을 이유가 없다.


종목코드 종목명(우) 보통주 우선주 우선주/보통주 08배당 09배당 10배당 11배당 12배당 13배당 DY13
051905 LG생활건강우 510,000 225,000 44.1 2050 2550 2700 3550 3800 3800 1.7
003555 LG우       60,700 36,650 60.4 750 1050 1050 1050 1050 1050 2.9
066575 LG전자우  72,900 35,950 49.3 400 1800 250 250 250 250 0.7
108675 LG하우시스우 191,500 84,000 43.9   1050 1050 1050 1050 1850 2.2
051915 LG화학우  260,000 164,000 63.1 2550 3550 4050 4050 4050 4050 2.5


5개 우선주에 대한 할인율과 배당 이력을 정리한 것이다.
보통주 대비 할인율이 높고, 배당수익율이 높고, 향후 배당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면 더 유리할 것이다.

할인율이 높고, 배당수익율이 6-10%에 이르는 우선주들이 널려 있던 2년 전만 해도 상상할 수 없는 수준이기는 하지만, 한국 시장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기 위해 배당 증가가 필수적이라고 보는 투자자가 늘어나고 있고, 그러한 요구에 기업이 반응할 것이라고 판단한다면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7월에 발표될 삼성전자의 배당 정책에 따라 현재의 우선주 랠리가 과도한 것인지 판가름날 것으로 보이고, 그전까지는 우선주들 간의 차이도 좁혀들 수 있다. 좋게 보면 시간 여유가 충분한 데다 한국시장 재평가의 서막일 수도 있는 것이고, 나쁘게 보면 삼성의 발표에 따라 시한부일 수도 있는 것이다.


------------
고지사항.

보통, 우선 포함 위에 언급된 10 개를 과거 10년 동안 전부 돌아가면서 고생스럽게 보유했었고, 현재 총 4개를 보유 중이며, 시장이 허락한다면 조만간 2개 정도 추가할 가능성이 있다.





원화, 주식, 채권의 트리플 강세




과거 트리플 강세 국면의 특징 - 우리투자증권

주식, 채권, 원화 강세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고 해서 트리플 강세라고 이름을 붙이고, 과거 비슷한 현상이 관찰된 시기와 비교하고 있다.

그래서 얻은 결론은 "과거 트리플 강세 국면에서 나타났던 특징(주요 선진국의 경기부양책, 리스크 지표의 안정세, 외국인 매수세 등)들이 최근에도 유사하게 관찰되고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매물소화 과정을 거친 이후 국내 증시가 경기민감주(업종대표주)를 중심으로 상승세를 이어갈 가능성을 염두에 둔 매매전략을 유지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는 것이다.


위의 그림은 한국 주식 시장과 관련이 높은 변수를 아주 깨끗하게 도시하고 있기때문에 설명이 어떻든 볼만한 가치가 있다. 또한 설명도 특별히 흠잡을 것은 없다.

그러나 아쉬운 점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그림에 박스 몇개를 추가했다.






최근 3년간 주가가 좁은 박스권에서 횡보했던 시기는 상승, 하락을 얘기하기에는 폭이 작다. 또한 한국에서 80년대 이래 1년 이상 주가가 횡보했던 시기도 없어서 과거와 비교하기 불편하다.

최근 시기를 제외하고 그림에 포함된 주가 상승기는 5개이다.
금리와 비교해보면 5개 상승기의 초반에 금리가 하락하고 이 후 상승한다.
금리는 한 번을 빼면 시작보다 끝에서 더 높다.
환율은 5번 모두 시작보다 끝에서 낮다.

최근에 벌어지는 현상은 전혀 특별한 것이 아니고, 경기회복기, 주가상승기의 초입에 일정하게 반복되었던 현상이다. 그러니 "트리플 강세 국면에서 나타났던 특징(주요 선진국의 경기부양책, 리스크 지표의 안정세, 외국인 매수세 등)들"을 전혀 몰라도 된다. 경기는 주가지수, 업종별지수, 대형주주가를 보고 파악하는 것이 더 정확하고, 빠르다. 당연히 한국, 미국 포함해서 전세계의 경기선행지수에는 주가지수가 포함된다.

지금 한국이 경기상승기의 초입이라는 판단을 하기 어려우니, 그냥 주가, 금리만 봐도 알 수 있는 것을 판단을 못하거나, 복잡해지는 것이다.
펀더멘탈에 대한 이해가 눈앞에 벌어지는 현상을 못 보게 하는 것이다.
아는 게 병인 전형적인 경우이고, 많은 식자들이 겪는 증상이다.

지금 내수, 수출 어느 쪽을 봐도 한국 경기가 좋아진다고 해서 이상할 것이 전혀 없다.
만약 좋아지지 않으면 주가가 꺾이면서 경기 횡보, 침체 국면이 지속될 것이다. 그래도 이상할 것이 전혀 없다.

요점은 지금은 한국의 상황은 전혀 특별하지 않다는 것이다. 지표 세개가 아니라 수백개가 어떻게 움직이든 마찬가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