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9월 20일 토요일

world gdp, stock market










us index vs world gdp, mid-2000 level

20800/80T





















BABA


상장 과정을 통해 알리바바에 대해서는 상당히 자세하게 기업의 실체가 공개되었다.
알리바바의 중요한 리스크로 알려진 것들을 생각나는 대로 몇 개 뽑아보면 이렇다.

- 외부 주주의 영향력이 거의 차단된 수십명의 파트너로 구성된 이사회의 지배구조.
- VIE 상장 구조.
- 마윈을 교주로 하는 신흥종교 혹은 초기 중국공산당과 비슷한 기업문화.
- 중국 공산당과의 정치적 공생 혹은 의존.
- 중국 경제의 거품, 붕괴, 침체.

대개 중국 경제 전체가 가진 리스크와 구분되기 어렵다.
한국에서 삼성, 현대차 그룹의 리스크가 한국 경제의 리스크와 분리하기 어려운 것과 비슷하다.

전문가들이 대략 2018년 전후 중국의 GDP가 ppp로 미국을 넘어설 것으로 본다.
비교방법에 따라서는 이미 중국의 경제규모는 미국을 넘어섰다는 주장을 하는 중국학자도 있다.
넉넉하게 10년 후 어떤 지표로도 중국의 경제규모가 미국을 넘어선다면 그 시장의 승자는 현재의 미국 기업, 80년대의 일본 기업의 위치보다 더 높을 가능성도 있다.


상장 첫날 2339억불의 시총으로 마감했으니 대략 240조에 달한다.
2년에 2배 이상씩 성장하고 있기때문에 당장은 높아보여도 2016년의 per는 20중반까지 내려온다. 그런 속도로 2년을 더 진행하면 2018년에는 10초반이다.
이러한 밸류에이션이 낮다고 할 수 없으나, 미래를 보는 관점에 따라서는 높은 것도 아니다.


기왕에 높은 가격에 상장되었으니 중요한 것은 성장 자체가 아니라 속도이다.
시장은 과거와 비슷한 성장이 향후 3-4년 동안 지속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아래 구글 파이낸스의 그래프는 위안화로 표시된 매출, 영업이익이다.






아래의 그림은 달러로 환산했던 것이다.

http://runmoneyrun.blogspot.kr/2014/09/alibaba-ipo-guessing-game.html





기업의 성장이 미국 경제의 엔진이다.
몇년째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페이스북과 비교해도 알리바바의 성장속도는 뒤진다고 할 수 없다. 비교할 만한 규모의 아마존, 이베이, 구글 등의 성장속도는 이미 차이가 난다.
성장을 위해 미국 자본을 끌어들인 중국기업도, 중국기업을 시장의 땔감으로 쓰는 미국 시장도  만만치는 않다.


-------------


http://www.businessinsider.com/alibaba-market-cap-2014-9

http://www.businessinsider.com/alibaba-is-already-the-fourth-most-valuable-technology-company-in-the-world-2014-9

http://www.forbes.com/sites/briansolomon/2014/09/19/alibaba-live-blog-tracking-the-biggest-us-ipo-in-history/

http://blogs.wsj.com/digits/2014/09/19/softbanks-alibaba-alchemy-how-to-turn-20-million-into-50-billion/








2014년 9월 18일 목요일

exchange rate since 1971






달러대비 파운드의 약세는 지난 100년간 지속되었다.
최근 약세가 강화되기보다는 80년대 중반에 바닥을 확인하고 횡보하고 있다고 봐야 한다.
캐나다달러, 오스트레일리아 달러도 2000년대 중반의 붐을 제외하면 대동소이하다.

스위스프랑, 엔, 유로는 40년간 강세를 보였다.
유로 도입 이전의 도이치마르크는 유로와 그대로 연결해도 추세에 큰 차이는 없다.
유로의 가치는 40여년간 주요국 통화가치 변화의 중간에 위치한다.

이번 경기싸이클 후반까지 몇 년 정도 달러 대비 거의 모든 주요국 통화의 약세가 유력하다.
그러나 중국 위안화의 향배가 불투명하다면, 경기싸이클을 넘어서 달러의 방향을 점치는 것은 큰 의미는 없는 일이다.

그럼 단기적으로는?
달러인덱스 내의 유로비중이 압도적으로 높고, 변동성 또한 낮지 않다.
단기적으로 유럽경기가 다른 주요국보다 좋아질 가능성은 낮다.
80년대 초반, 90년대 후반 약 5년씩 지속된 강달러의 시대가 재현된다고 해도 이상하지는 않다.












north sea


벌써 오늘이다.
제국이 망하는 과정의 맨 마지막을 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피도 언어도 다르니, 독립이 스코틀랜드에 중요한 가치라면 웨일즈, 북아일랜드도 붙어있을 이유가 굳이 있을 것 같지 않다.
그래서 어떤 일이 생기는지 한 번 확인해보고 싶다.

호황이고, 번영의 기초가 굳건할 때라면 스코틀랜드가 독립을 해도 단기간에 큰 영향은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경제적으로 독립이 가능하던 시기는 벌써 20년전에 지나갔을지 모른다.

어려운 경제로 인해 힘을 받는 분리독립은 꿈은 그럴 듯하나 스코틀랜드이든, 우크라이나이든 좋은 결과를 낳기 어려워 보인다.












http://calumjc.blogspot.kr/2012/10/the-beauty-of-statistics.html





http://www.independent.co.uk/news/uk/politics/independence-row-gets-vicious-as-first-minister-alex-salmond-accuses-uk-government-of-being-thieves-who-plunder-scotlands-oil-and-gas-reserves-9150233.html


http://www.economist.com/news/britain/21597890-scottish-nationalists-are-right-charge-britain-has-mismanaged-north-sea-oil-unionists


http://www.cges.co.uk/news/964-has-north-sea-oil-passed-its-peak-


http://blogs.wsj.com/moneybeat/2014/09/08/scotlands-pipe-dream-in-three-charts/




big betting



10조 5500헉.
대한민국에 이렇게 통이 큰 자가 있다닛.


아래는 한전의 대차대조표 일부이다.

연결 재무상태표
제 54 기 반기말 2014.06.30 현재
제 53 기말        2013.12.31 현재
제 52 기말        2012.12.31 현재
(단위 : 백만원)
 
제 54 기 반기말
제 53 기말
제 52 기말
자산



 자산총계
158,871,513
155,527,334
146,152,820
부채
   
 유동부채
20,688,985
20,213,849
18,817,079
 비유동부채
86,454,487
83,862,749
76,271,539
 부채총계
107,143,472
104,076,598
95,088,618
자본



   자본총계
51,728,041
51,450,736
51,064,202
자본및부채총계
158,871,513
155,527,334
146,152,820

연결로 부채가 107조로 1년 반만에 12조가 늘었다. 자본이 51.7조로 거의 그대로이다.
시총은 30조에 조금 못 미친다.

삼성의 베팅은 4조원대라서, 현대차가 5조를 베팅했어도 낙찰에 성공했을 것이라고 하니 5조에 해당하는 금액은 한전에게 망외의 소득이다.
대략 기업가치의 16% 이상에 해당하는 금액이고, 5조만큼의 부채감소,자본증가로 인한 재무구조의 안정효과도 매우 크다.
주가는 7-8% 수준의 상승을 보이니 충분히 반영된 것은 아닐 것이다.




한전의 주주구성이다.

성 명관 계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비고
기 초기 말
주식수지분율주식수지분율
한국정책금융공사최대주주보통주192,159,94029.94192,159,94029.94-
대한민국정부특수관계인보통주135,917,11821.17135,917,11821.17-
보통주328,077,05851.11328,077,05851.11-
------

현대차의 베팅금액중 51%는 한전을 보유한 정부의 돈이 된다고 볼 수 있다.
관련 세금도 결국은 정부, 서울시로 돌아가는 돈이다.
한전 재무구조개선, 주위 부동산에 대한 영향까지 고려하면 현대차의 이번 베팅은 조금 과장하면 나라 경제를 구하는 수준이 아닐까 한다.
적어도 이번 정권에서 벌인 어떤 경제정책보다 큰 파급효과를 낳을 것으로 본다.

길게 보면 계산이 다를 수 있으나, 당장은 한전, 현대차그룹, 삼성전자의 희비가 갈리는 것을 피하기는 어려워보인다.





2014년 9월 17일 수요일

Mi _ _ _ _ _ ft



http://www.businessinsider.com/funny-tweet-about-the-microsoft-minecraft-deal-2014-9

microsoft를 떠올리면 old, minecraft를 떠올리면 young 하다고.



1. 왜 샀나에 대한 얘기

http://www.businessinsider.com/heres-why-microsoft-is-paying-25-billion-for-minecraft-2014-9

"With Minecraft, it's an open world and users contribute content making the game grow. Just like Twitter is enhanced through user generated content, so is Minecraft."


2. 왜 팔았나에 대한 얘기

http://www.businessinsider.com/minecraft-creator-markus-notch-persson-is-leaving-mojang-2014-9

"It’s not about the money. It’s about my sanity. "


2014년 9월 16일 화요일

지방 건설사






동*개발이라는 지방 건설사의 주가와 매출, 매출원가, 매출총이익, 판관비, 영업이익이다.

내가 이 회사에 대해 들은 것은 약 2년전 화살표로 표시한 지점이다.
매출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었고, 이익은 따라서 증가할 가능성이 높은데다, 주가상승은 훨씬 못 미쳤고, 과거처럼 대형 부동산붐이 발생하지 않아도 지방부동산은 수도권과 차이를 보였기때문에 금융위기 이전의 활황 패턴을 반복해도 이상하지는 않았다. 비슷한 시기에 ****동서, 서*이라는  회사에 대해서도 들었던 기억이 있다.

그러나 건설, 해운업체의 장부를 믿기 어렵고, 경영진을 파악할 수도 없고, 지방의 건설현장에 대해 아는 바도 없기때문에 저렴해 보였지만 투자하지 않았다. 물론 다른 저렴한 투자대상이 널려 있던 것도 큰 이유이다. 좋은 기회가 있어도 보는 눈이 없으면 그냥 흘려보내는 것은 병가지상사일 뿐이다.

최근 여기저기서 지방 건설사들에 대한 관심이 늘었다. 아직 국내 국외를 막론하고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는 대형건설사들에 대한 대안으로 삼을만 하고, 일본에서 20여년간의 침체에도 디벨로퍼라는 한국에는 존재하지 않던 관련 회사들의 성장이 눈부셨기 때문에 지방건설사들의 활약이 한국의 건설업의 방향을 제시한다고 보는 견해도 제도권 보고서에서 볼 수 있다.

문제는 그래서 지금 이 회사를 포함해서 지방건설사를 투자대상으로 볼 만한가이다.

저런 회사가 장기 투자대상이 될 수 있나?
저런 회사가 모멘텀 투자대상이라면 지금이 적절한 진입시점인가?


대한민국에 60년 부동산 불패 신화가 존재하지만, 장기 투자자들에게 돈을 벌어준 부동산은 있어도 돈을 벌어준 건설사는 없다. 그러나 돈을 번 건설회사 대주주는 많다.

이번에는 다를지 저 그림으로 결론을 낼 수 없지만, 같다면 어떤 경로를 밟게될지 추측할 수 있다.
경기싸이클을 거칠 때마다 워낙 많은 건설사들이 망하니, 10년 후에 살아남기만 해도 대박일 가능성이 있다.

저런 그림은 늦어도 2년 전에 관심을 두었어야 한다.
그 당시로 돌아가서 판단해서 투자가 가능했다면 하는 것이고, 아니면 아닌 것이다.
난다긴다하는 선수들이 버글거리고 있는 저런 동네에서는 설령 지금이 2007년 초반과 비슷하다고 해도 어렵다.



---------

사족.
지방 부동산과 수도권/전국 부동산은 같은 관점에서 볼 수 없다.
중소 지방 건설사와 대형 건설사도 마찬가지이다.



---------


http://finance.naver.com/item/fchart.nhn?code=013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