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6월 1일 금요일

korea export 20180601 기저효과의 전형



http://runmoneyrun.blogspot.kr/2018/05/korea-export-20180501.html
전년 대비 감소했던 4월 수출은 걱정할 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당수의 전문가들이 기저효과를 들먹이면서 심하면 10%가 넘는 연간 수출증가율을 고수하기도 했다.

수출입에서 보이는 기저효과 base effect 20180503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5/base-effect-20180503.html

그런 이유로 기저효과에 대해 따로 언급을 했었다.
그들의 언급과 달리 4월은 기저효과라고 할만한 것이 별로 없지만, 5월에는 기저효과가 무엇인지 볼 수 있게 될 것이라고 했다.

이제 보자.



파란 점선은 눈으로 그냥 그은 것이다.
평균이 저 선 주위로 진행한다면 올해 수출은 한자리 중반 증가하게 될 것이다.

작년 5월 대비 올해 5월은 상당폭 수출이 증가하는 것이 정해져 있었다.
어느 정도 증가하는 것이 정상인지도 외눈박이 이코노미스트가 아니면 짐작할 수 있다.

안정적으로 한자리 초반을 예상할 수 있는 6월을 지나, 8, 9, 10월에도 기저효과란 것이 노이즈를 발생시킬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저 파란선을 기준으로 삼고 보면 대략 어느 수준이 쇼크인지, 어느 수준이 서프라이즈인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수입에 대해서도 대략의 추정이 가능하다.
특히 14년을 기준으로 삼아 비교해보면 쉽다.
지금은 그저 무난한 진행을 보이고 있다.
수출, 수입을 추정하면 무역수지 추정치도 확인한 셈이다.




원래 수치를 비교해보고 나서 전년동월비를 확인하면 13.5% 증가했다는 수출에 대해 굉장하다기보다는 다행스럽다는 생각이 들 수 있다.





수출 금액의 장기 추이를 보면
1년 가까이 수출이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수 있다.
조금 더 보면 16년 기름값 바닥부터 증가하는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조금 더 연장하면 11년 수준을 중심으로 변동하고 있다.
최대한 연장하면 2002년부터 우상향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추세와 순환이 저렇게 섞여있으니 누구나 보고 싶은 것을 보고, 보고 싶은 해석을 붙일 수 있다.

그러나 나는 15년, 16년의 전세계 제조업 둔화, 디플레이션 우려에서 한국 수출이 완벽하게 벗어났다는 점이 지금 한국경제에 가장 중요하다고 본다.
이전 정권들, 현정권의 지속되는 뻘짓에도 불구하고 한국이 느리게나마 지속적인 성장을 하고 있는 이유는 수출기업의 투자와 수출기업이 벌어들이는 달러에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또한 여러 신흥국들이 전세계의 경기침체를 겪고나서 다시 10년 전, 20년 전으로 회귀하는데 비해 한국이 다음 경기 침체 이후에도 낙관적으로 보이는 것은 좋은 시절에 한 발이라도 더 전진하는 수출이 있기 때문이다.



12개월 합으로 보면 노이즈가 감소하면서 추세가 더 잘 보인다.
느리지만 수출은 증가하고 있고, 무역수지도 16년 이후 일정 범위에 머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수출입 비율과 환율.
수출입의 차이(무역수지)와 비교시 수출입의 비율이 환율과의 관련성을 명확하게 보여준다는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최근 심각한 괴리가 존재한다고 할 수 없다.


그래서 이렇게 수출이 잘 버티는 이유는?
여전히 사상최고치를 다시 쓰고 있는 반도체 덕이다.



삼성 주주환원 samsung shareholder return 20180601


삼성생명, 삼성화재가 보유한 삼성전자 주식에 대한 블록딜이 있었다.
올해 예정된 삼성전자 자사주 소각이 진행되면 두 회사가 보유한 삼성전자 보유 지분이 10%를 넘게 되기 때문에, 이를 금지한 금산법 규정을 지키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일부에서 삼성전자가 자사주 소각을 하지 않고 지주사 전환에 이용할 것이라는 의심을 거두지 않고 있었기 때문에 불확실성이 감소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소각이 완료되면  보통주 7%, 우선주 9%가 사라지게 된다.

이렇게 주식수가 감소하면 어떤 차이가 발생하나?




몇년간 삼성전자의 총주주환원액을 배당과 자사주매입으로 구분해 표시한 것이다.
최근 7년간 주주환원이 증가했고, 특히 최근 4년간 배당보다 자사주 매입의 비중이 커졌다.




순이익과 총주주환원액을 비교한 것이다.
17년까지 주주환원은 증가했지만, 환원율은 16년에 비해 17년 감소했다.

18년에 삼성전자의 순이익이 45조이고, 9.6조의 배당이 계획대로 진행되면 주주환원율은 20%대에 불과해진다.
17년의 환원율 36%나, 환원액 15조를 유지하면 계획된 9.6조의 배당보다 5조이상 주주환원이 증가할 여지가 있다.
자유현금흐름의 50%라는 룰을 적용하는 경우 30조 이상의 자유현금흐름이 발생한다면 17년 수준의 주주환원을 넘을 수 있다.




여기에 주식수(자사주, 우선주 포함)의 감소를 고려하면 주당 순이익이나 주당 주주환원액의 기울기는 16년부터 추가적으로 증가한다.

삼성이 추가적인 주주환원을 18년에 진행할 것으로 보나, 자사주 매입소각을 진행하면 이번의 블록딜처럼 추가적인 고려사항이 생기고 시장에 노이즈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현금 배당보다 선호될지 알기 어렵다.





주가와 주당 순이익, 주당 주주환원을 비교한 것이다.

14년부터 총 주주환원율이 획기적으로 증가했으나, 시장에서 삼성전자에 대한 할인율을 재고하지는 않고 있다는 점은 명확하다.
실적이 감소하는 시기와 증가하는 시기를 모두 포함하지만, 주가는 이익의 10배 전후를 빡빡하게 유지하고 있다.

오히려 17년 이후 메모리 싸이클 고점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면서 per는 2013년 휴대폰 실적의 고점과 비슷한 낮은 밸류에이션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 주식 소각까지 고려하면 금융위기 이후 실질적으로 가장 낮은 밸류에이션을 보이고 있다.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있네 없네 말이 많지만, 내가 보기에 삼성 디스카운트나 메모리 디스카운트가 존재한다는 점은 명확하다.




samsung cash 20180531




삼성은 메모리 호황 덕에 전세계 it업체 중에서 애플 다음으로 이익을 잘 내는 회사가 되었지만, 반도체부문의 누적 실적은 이제 휴대폰의 성과에 도달한 것에 불과하다.

갤럭시의 힘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7/11/power-of-galaxy-cumulative-op-of-samsung.html


2007년 이후 누적 영업이익은 275조이다.
이중 휴대폰이 118조, 반도체가 115조를 차지한다.
메모리 호황이 지속되면 2분기부터 휴대폰의 누적 기여를 능가하게 된다.




매출, 영업이익 등의 지표는 부문별로 공개되지만, 현금흐름에 대해서는 전체 수치만 알 수 있다.

17년 초 급감했던 현금은 다시 증가하고 있다.
영업현금흐름의 증가와 하만인수로 일시적으로 급증했던 투자현금흐름의 감소가 기여했다.

2012년 갤럭시의 대박으로 보유현금이 20조원에서 70조까지 점프를 했으나, 반도체의 대박이 시작된 16년 후반 이후 현금은 80조원 초반 수준을 벗어나지 않고 있다.




여기에는 크게 두 가지 요인이 기여했다.
삼성전자의 투자가 급증했고, 주주환원이 꾸준히 증가했다.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7/10/samsung-vs-top-6-tech-capital.html

삼성의 투자규모는 전세계 어느 기업과 비교해도 떨어지지 않는 수준이다.


이중 반 이상은 메모리, 비메모리를 포함하는 반도체에 투자되었다.
반도체 투자만 따로 비교해도 intel, tsmc를 몇년째 초과하고 있고, 특히 40조가 넘는 2017년의 전체 capex는 전세계 상위 it기업의 capex를 합쳐서 비교할만한 높은 수준이다.




삼성전자의 영업이익과 영업현금흐름의 차이는 주로 감가상가비와 관련이 있었다.
2010년에서 2016년까지 투자규모가 25조 전후를 유지하는 동안 둘 간의 차이는 약 20조 수준에 도달했다.
영업이익에 20조를 더하면 영업현금흐름을 짐작할 수 있어서, 영업이익이 30조라면 영업현금흐름은 50조, 영업이익이 50조라면 영업현금흐름은 70조라고 퉁치면 되는 것이었다.

그런데 2017년 이후 이러한 관계에 차이가 생겼다.
2017년 1분기의 매출채권 22조, 재고자산 22조에서 2018년 1분기에는 매출채권 35조, 재고자산 26조로 약 17조에 달하는 현금이 잠긴 것이다.
만약 이러한 영업자본이 증가하는 매출에 비례해서 증가한 것이고 향후 추가적으로 급증하지 않는다면 이후 영업이익과 영업현금흐름의 차이는 장기적인 capex수준 (30조-40조)에 수렴할 것이다.

애널들의 2018년 영업현금흐름 추정은 미친년 널뛰는 듯하다.
그러나 영업이익추정은 65조 근처에 매우 근접한 상태이다.

만약 삼성전자의 장기적인 영업이익 수준이 최근의 몇년간의 평균에 해당하는 40조라면 영업현금흐름은 70조-80조에 수렴하게 된다.
만약 삼성전자의 영업현금흐름이 장기적으로 70조를 유지하면, capex를 30조 수준으로 유지해도 40조의 자유현금을 만들어낼 수 있다.
40조의 자유현금흐름이 유지되면 주주환원은 20조 이상을 유지할 수 있다.

이게 삼성전자에 대한 기본적인 시나리오이다.

만약 삼성전자의 장기적인 영업이익 수준이 60조에서 유지되는 최선의 상황을 가정하면?
영업현금흐름은 90조 이상이 되고, capex를 40조 수준으로 유지해도 50조 이상의 자유현금을 만들어낼 수 있다.
50조의 자유현금흐름이 유지되면 주주환원은 25조 이상을 유지할 수 있다.
그렇게 하고도 현금이 연 25조씩 쌓일 수 있다.

갤럭시 대박은 삼성을 현금왕으로 만들었지만, 메모리 빅싸이클은 아직까지 삼성의 현금더미에 이렇다할 표시를 내지 못하고 있다. 만약 삼성이 투자규모를 현재의 40조 수준에서 통제한다면 메모리 호황이 지속되는 동안 분기당 10조 이상의 자유현금을 만들어내게 될 것이다.





2018년 5월 23일 수요일

환골탈태 중인 마이크론 micron 20180523




2분기 마이크론 매출 가이던스가 상향되었다.

1분기에 나타난 삼성전자, 하이닉스와의 매출차이는 전분기대비 4-5%정도 강세를 보인 환율만으로는 설명될 수 없다.
2분기에 환율의 영향은 미미한 수준일 것이다.



http://runmoneyrun.blogspot.kr/2018/04/memory-revenue-vs-memory-export-20180401.html


마이크론의 이전 가이던스이다.
1년 이상 가이던스를 상향하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

이번에도 메모리 싸이클 고점이 연장되었다는 것은 확인한 셈이다.



http://runmoneyrun.blogspot.kr/2018/05/samsung-hynix-memory-export-20180503.html


1분기 메모리 수출에서 예상할 수 있는 매출대비 4% 정도의 괴리가 나타났고, 일부는 삼성전자, 하이닉스의 반도체 재고 증가로 설명할 수 있다.
2분기에 차이가 좁혀질지, 유지될지, 벌어질지는 아직 알 수 없다.

마이크론은 인텔과 함께 업계최초로 64단 QLC nand를 출하했고, 이후에도 협력을 진행할 것으로 보도되었다.
올초에 두 회사의 협력관계를 끝낼 것이라고 ir을 통해 알려진 것과 다른 뉘앙스가 보이는 기사들이 나오고 있다.

마이크론은 기존에 전환사채를 통해 조달한 자금으로 인해 지속적인 주식수 증가, 주당가치 희석을 겪었다.
그러나 최근 10조 이상의 자사주 매입소각을 발표했다.
과잉투자를 피하고 적정한 주주환원를 유지하는 것은 주주들의 기대에 부응하는 조치일 뿐 아니라 메모리 싸이클을 연장시킬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이다.

마이크론은 3-d 낸드에서 하이닉스를 앞섰고, qlc에서는 삼성전자를 앞섰다.
한국의 두 업체가 가속되고 있는 마이크론의 기술적인 진보에 어떤 방식으로 대응할지에 따라 메모리 싸이클이 얼마나 연장될지가 좌우될 것이다.




http://runmoneyrun.blogspot.kr/2018/04/vs-semi-export-q-vs-p-20180419.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8/05/20180503.html


2018년 5월 21일 월요일

interest rate, copper, gold, oil 20180521





copper/gold vs 10-year rate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8/dr-copper-vs-dr-coppergold.html

2000년경부터 구리/금 비율과 미국채 10년 금리 동행.
구리가격이 업데이트되지 않아서 대신 구리선 ppi를 씀.
장기 비교목적으로는 더 좋은 듯.

명목금리 = 실질금리 + 물가(혹은 기대인플레)
copper, oil은 주로 물가와 관련된 원자재.
gold는 화폐대용. 실질금리와 반비례하고, 실질금리는 실질성장을 반영.





copper/gold vs 10-year rate


최근 몇개월간
단기금리가 장기금리보다 빨리 상승해서 장단기금리차 축소.
장기금리가 copper/gold보다 빨리 상승해서 괴리 증가.

금리가 역사적 평균으로 회귀하는 중이라면,  혹은 정상화되는 중이라면 copper가 오르거나 gold가 내려야.
copper가 오르는 것은 인플레로, gold가 내리는 것은 실질성장으로 나타날 수 있음.

최근의 장기금리 상승은 미래의 인플레나 성장이 더 강할 것이라는 것을 반영하는 것일 수도.






copper/gold vs 10-year rate vs 주가지수 yoy

copper/gold와 주가지수는 10년 동안 잘 동행.
최근까지도 특별한 괴리는 보이지 않음.
금리만 상대적으로 오버슈팅.

채권, 주식, copper/gold 사이의 괴리가 좁혀지려면?

1) 금리가 내려가거나
2-1) 금리가 유지되고, copper가 오르고, 주가가 올라가거나
2-2) 금리가 유지되고, gold가 내리고, 주가가 올라가야





f(+oil, -gold) vs 10-year rate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1/interest-rate-gold-oil-20170102.html

gold/oil 혹은 oil/gold 같은 비율로는 금리와의 관련성을 포착하기 어려워서 금값과 기름값으로 명목금리를 재구성한 것이다.

10-year rate = a *  OIL - b * GOLD +c

차이가 좁혀지려면
금리가 내려가거나 기름값이 올라가거나 금값이 내려가야.



미국의 성장률이 높아지면 해피엔딩으로 끝날 수 있다.
물가상승이 성장에 동반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물가만 상승하는 상황은 미국, 전세계에 모두 어려운 일이 될 것이다.








2018년 5월 16일 수요일

최저임금과 고용쇼크의 관련성을 인정하는 김동연 20180516



최저임금인상이 날린 일자리 20만개
http://runmoneyrun.blogspot.kr/2018/04/20.html

경기가 순환적으로 회복되면 고용은 회복될 수 있다.
정부에서 무슨 짓을 해도 시간이 충분히 지나면 마찬가지일 것이다.
10년이 지나면 전세계가 금융위기에서도 벗어날 수 있고, 20년이 지나면 일본도 회복할 수 있다.
그러나 4월 기준으로 18만개 정도 날아가버린 일자리는 영원히 없어진 것이다.



4월 고용도 변함없이 쇼크 수준이다.
벌써 3달째 이어지고 있으니 노이즈일 가능성은 낮다.
변함없이 서비스/판매종사자, 단순노무직의 상황이 더 나쁘다.



최악의 상황인 고용 현실을 인정하지 않는 자들도 많지만, 인정해도 최저임금과의 관련성을 부인하는 자들도 많았고, 그 중에 부총리도 있었다.

최저임금과 고용쇼크의 관련을 부인하는 김동연 20180417
http://runmoneyrun.blogspot.kr/2018/04/20180417.html

그러나 부총리가 오늘자 인터뷰에서 입장을 바꿨다.

[단독] 김동연 “최저임금 인상, 필요하면 속도조절 해야”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1&oid=005&aid=0001097810

김 부총리는 지난 15일 정부서울청사 집무실에서 국민일보와 인터뷰를 갖고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은 분명히 고용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며 최저임금 속도조절론을 제기했다. 정부 내 경제사령탑 중에서 ‘2020년 최저임금 1만원 달성’ 공약에 대해 이견을 제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부총리는 이 정권 고위직 중 유일하게 최저임금인상과 고용 쇼크의 관련성을 인정한 사람이다.
부총리가 물꼬를 텄으니 앞으로 비슷한 얘기들을 여기저기서 할 것으로 본다.

최저임금과 실업률 minimun wage and unemployment rate 20180412
http://runmoneyrun.blogspot.kr/2018/04/minimun-wage-and-unemployment-rate.html

내가 보기에 최저임금과 실업률의 관계는 덧셈뻴셈 수준의 산수이다. 곱셈, 나눗셈도 필요없다.
그러나 4월의 고용상황이 호전될 기미가 보였다면 김동연도 지난 달처럼 쌩깠을 것이라고 본다.

“소득주도 성장이 소득을 늘려 성장한다기보다는 우리 경제의 구조적 문제 해결을 강조하는 것으로 이해했으면 한다”

같은 기사에서 소득주도성장론이 근본없는 개소리라는 것을 인정하는 듯한 발언도 했다.
최저임금올려서 성장이 가능하면 베네수엘라, 아르헨티나, 브라질도 왜 성장을 못하겠나?



전년동월비(%)로 취업자수와 경기동행지수를 비교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용은 경기에 후행한다고 하는데, 한국에서는 동행하는 것으로 보인다.

작년 대선 전후가 경기가 둔화되기 시작하는 시점이고 고용도 그 시점이 꼭지이다.
지난 1월까지 경기둔화는 지속형이었으나 고용은 버티고 있었다.
그러던 고용이 2월에 수직으로 떨어져서 it버블붕괴, 금융위기 이후의 전세계 침체 국면과 비교할 만한 수준을 3개월째 유지하고 있다.

경기가 확장되는 국면에서라면 충격의 강도가 덜하거나, 빨리 회복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수출을 제외하고는 둔화 혹은 횡보에 가까운 한국의 경제 상황에서 이렇게 인위적인 고용 충격은 경제를 reset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그것이 김동연이 언급한 '구조적 문제 해결'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본다.

만약 그 문제가 분배와 관련있는 것이라면 이 정권은 해결하고 있는 것이 아니고 실패하고 있는 중이다.
성장없는 분배라도 하려면 밥그릇, 숟가락이라도 늘려야 한다.
고용이 최저인 상황은 분배도 최악인 상황이다.
이것도 산수에 불과하지만, 산수를 넘어서는 것이 이 정권에게 준비가 되어있을지 알 수 없다.
다만 최저임금 인상이 고용에 미친 영향을 부총리가 인정했으니, 이것이 향후 변화의 단초가 될 수 있으리라 본다.
부총리가 이 정권의 왕따가 아니라면 그렇다는 것이다.









2018년 5월 14일 월요일

아르헨티나의 교훈. 브라질. 20180514


브라질 국채에 투자하는 개인은 많아도 아르헨티나 관련 주식, 채권 등에 투자한다는 얘기는 들어본 적이 없다.

직접 관련이 없을 지라도 신흥국 위기라는 것이 전염성이 매우 강하고 전세계의 경기싸이클을 끝내는 신호가 될 수도 있기 때문에 간단히라도 지표를 확인해볼 필요는 있다.

아르헨티나 위기의 특징은?

탄탄한 외환보유고에도 불구하고 무역수지, 경상수지는 악화되고 있었다.
성장은 몇년째 멈추었지만, 물가 상승은 하이퍼인플레이션 수준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통화가치가 하락하면서 기준금리, 시장금리가 폭등했다.

아르헨티나의 교훈은?
외환보유고보다 무역수지, 경상수지의 추이가 위기상황과 관련이 더높다.
외화부채, 자본수지를 통해 유지되는 외환보유액은 현실을 왜곡할 수 있다.
높은 물가는 통화가치 하락과 동반되지만, 시차가 나타날 수 있다.
이런 조건에서 금리상승을 피하기 어렵고, 이것이 시장의 안정을 가져오기도 어렵다.

추가적인 교훈은?
경상수지가 아니라 자본수지로 외환보유액이 유지되는 나라에서 물가상승이 지속되면 위험한 투자대상이다.
지난 2년전의 브라질도 그런 관점에서 봐야 한다.
그런데 지금 물가가 안정되고, 금리도 안정되고, 환율도 안정된 브라질이 안전해졌나?
기름값 상승에 의한 일시적인 호전에 불과한 것인가?



아래 그림은 전부 https://tradingeconomics.com/argentina에서 퍼 온 그림.



아르헨티나 페소 usdars

2012년경 이륙해서 최근까지 5배 상승.
페소의 가치는 5분의 1토막.




그럼 당연히 외환보유액에 관심이 생기지만, 사상 최고 수준.




무역수지, 경상수지는 최악.
어떻게 외환보유액이 유지되었을까?


자본 유입이 경상수지적자와 거의 비슷하게 유지.
어떤 돈이 들어왔을까?


엄청나게 증가하는 외채.
외채 최근 3년간 70,000 M$ 이상 증가.
외환보유액 최근 3년간 40,000 M$ 미만 증가.

늘어난 빚보다도 외환보유액 증가량이 적다.





최근 5년간 gdp 성장 거의 멈춤.


그러나 gdp디플레이터는 4배로 증가.


이상 요약
경제상황이 엉망인 상황에서 물가가 급등하고 있었고, 지속적인 경상수지 적자로 유출되는 외환은 과도하게 부채로 충당하면서 오히려 외환보유액은 증가해서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가리고 있었다.


그래봐야 소비자 물가는 몇년간 터무니 없이 높았고,


최근 충격적인 금리인상 전에도 금리를 높이고 있었다.
이것으로 위기상황에 대한 대처로 충분하지 않으니 imf에 구제금융과 비슷하지만 같지는 않은 자금지원을 신청한 모양이다.


브라질 그림은 한방에.




최근 회복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경제는 2011년 수준에 멈춰있다.
물가는 아르헨티나처럼 몇배는 아니지만 2011년에서 60% 이상 상승했다.
다행인 것은 16년까지 가속화된 이후 물가상승은 소강상태라는 것.

이 모든 것이 결국 기름값과 관련이 있고, 기름값은 수십년간 달러와 관련이 있다.
브라질은 기름값 폭락하던 시기에 러시아와 더불어 위기에 준하는 금융시장의 변동을 겪었다.

16년 이후 물가, 금리, 환율이 안정되어 가고 있었고 외환보유액도 끄덕없이 유지되고 있었다.
신기했는데, 아르헨티나의 상황을 보고나니 왜 브라질이 잘 버티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지, 왜 그것이 사상누각일 수 있는지 판단할 힌트를 얻었다.

2012년까지 증가한 외환보유액은 전부 자본수지에 의한 것이다.
뭔가를 팔아서 번 돈은 전혀 없다. 하다못해 2008년까지 기름값이 오르던 시기에도, 2014년까지 기름값이 높게 유지되던 시기에도 그렇다는 것이다.
외부에서 빌려오고, 투자를 받는 돈이 없으면 브라질은 멈춘다.
최근 외채는 증가하지 않고 있지만, 대신 정부부채가 증가하고 있다.
브라질의 빚은 해외이든 국내이든 지속적으로 늘어나기만 하고 있다.

아직도 신흥국에 포함되기도 하는 한국은?
신흥국 대표들과는 그림이 많이 다르다.
여전히 원화약세가 아니라 강세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