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4월 17일 금요일

run kospi run


2011년 이래 미국, 일본, 유럽, 중국 시장을 뻥튀기하던 돈들이 드디어 한국에서도 돌기 시작하는 모양이다.
그런데 벌써 과열 얘기가 나오고, 조심하라는 얘기도 나온다.
그런 얘기는 중국에 가서 하면 적당할 듯 하고 미국, 유럽, 일본조차 아직도 과한 것인지 판단하기 어렵다.



주가지수보다는 시가총액이 예탁금, 신용융자와 비교하기에 적당하다.
예탁금 21조, 신용융자 7조를 넘겼다고 한다.
과거의 고점과 비교해서 지수는 낮지만 시총이 더 큰 시장이니 움직이려면 더 많은 돈이 필요하고, 예탁금이나 융자잔고가 과거의 고점을 넘기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지수가 1000을 돌파하던 2005년 이전과 이후 시기에는 자금 수준의 차이가 크지만, 이후에는 비례한다. 시총이 증가하려면 비례해서 예탁금과 융자의 규모가 커질 필요가 있다.

예탁금에도 대출이 포함될 수 있으나 신용은 초단기 대출이니 시장의 변동을 키울 수 있다.
그래서 두 자금의 비율을 확인했다.



과거 고점에서 융자/예탁금의 비율은 40%를 넘는다.
현재는 35%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예탁금 유입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최근에는 오히려 감소했다.

굳이 신용융자의 위험 수준을 얘기하자면 예탁금이 21조에서 정체될 경우 9조정도로 볼 수 있다.
예탁금이 지속적으로 증가한다면 위험수준에 도달하기 위한 신용융자 수준은 비례해서 높아진다.




회전율도 시장의 과열을 나타내는 지표로 쓰인다.
거래대금이 증가하고 있지만 바닥권이다.
회전율은 과거 고점 25%, 15%의 1/3, 1/2에 불과하다.
월별 거래대금이 저 수준에 도달하려면 갈 길이 멀다.




20년이상 누적으로 60조이상의 순매도를 이어가는 개인의 추세가 그대로이다.
외국인의 누적순매수도 지속되고 있다.
한국에서도 다른 나라들에서 보였던 큰 변화가 시작되려면 기관이나 개인의 전향적 자세와 돈과 시간이 필요하다.




잘 동행하던 한국과 미국의 지수 전년동월비, 금리차에 변화가 생기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한국의 지수가 상승하면서 미국지수와도 한국의 금리차와도 거리를 두고 있다.
두 지수간의 디커플링에도 불구하고 전년동월비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3년동안 커플링 되어 있었다. 그러나 달라지고 있다.

이제부터는 한국과 미국 경제의 진짜 디커플링 혹은 역전이 나타나는지 유심히 관찰해야 한다.





두 나라의 지수가 지난 20년간 앞서거니 뒤서거니 곡절을 겪으면서 2000에 도달한 상태이다.
큰 변동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인 성과를 비교하면 명확한 장기 트렌드가 나타난다.
이것이 싸이클이라면 94년에 하락, 98년에 상승, 2011년에 하락으로 방향을 바꾸었다고 볼 수 있다.

2015년에 다시 상승으로 방향을 바꿀까?
두고 보자.
한국 경제가 가계부채 때문에 망하는지, 2년째 증가하고 있는 대출과 통화량이 경기회복을 이끌어내는지를 저 비율이 먼저 알려줄지도 모른다.












댓글 17개:

  1. 올초에.. 아무도 한국을 좋게 이야기 하는 사람들이 없는 걸 보니까 이제 갈때가 됐다 라고 강력 주장하던 오랜경험의 PB가 두명있습니다.

    그 두분다 아직은 상투는 아니고 더 갈거다. 라는 이야기를 하더라고요 그래서 왜그러냐? 라고 했더니..

    모두가 투자하며 모두가 해피할때가 상투인데.. 지금은 실제로 돈 번사람은 제약 화장품 중국 쪽에서 빠르게 움직인 사람들이고 대형주에 투자하던 소위 "스마트/보수적 " 투자자들은 아직 박탈감에 사로 잡혀 있는때라면서..

    때론 데이터보다 이런 점쟁이 같은 분석이 더 잘 맞더라고요. ^^

    답글삭제
    답글
    1. 얼마나 어디까지 갈지도 점괘를 받아주시면 감솨 ㅎㅎ.

      삭제
    2. 그래서 저도 가지고 있는 kodex 200 얼마에 줄일까요? 물어봤더니.. 돌아온 답은.

      " 분할 매도." 였습니다.

      삭제
    3. 노련하신 분이군요. 어떻게 들어갈까요 했으면 분할매수 그랬을 것 같네요.

      삭제


  2. 지루할 정도로 오랫동안 옆으로 갔네요..
    밑으로만 안 간것은 다행일 수도 있으나....

    지수는 가든 말든, 내 계좌 먼저 가면 좋겠으나 .....
    찍기 실력이 일천해서....

    답글삭제
    답글
    1. 피차일반이라 드릴 말씀이...
      눈덩이는 못 굴리고, 눈알만 열심히 굴리고 있습니다.

      삭제
  3. 속시원한 글입니다. 요즘 신용 7조 가지고 떠드는 뉴스가 거슬렸는데..ㅎㅎ

    답글삭제
    답글
    1. 그런 뉴스도 지금 위치를 알려주는 기능이 있으니, 그냥 그런가보다 합니다.

      삭제
  4. 월가쪽에서는 "뭐뭐는 버블의 어머니다"라는 표현을 잘 쓰는 것 같던데, 이 양반은 이런 표현을 했더군요.

    http://search.naver.com/search.naver?sm=tab_hty.top&where=nexearch&ie=utf8&query=%ED%94%BC%ED%84%B0+%EC%B9%98%EC%95%84%ED%94%BC%EB%84%AC%EB%A6%AC

    만일 위 주장이 마켓을 관통하는 진정한 통찰이라면
    중국증시 랠리의 정점이 유가 랠리의 상투권이고, 극동증시, 미국을 포함한 글로벌증시의 랠리 상투권 가능성이 되야겠는데
    어째 표현이 멋있는게 그럴싸해보이지 않나요?ㅎㅎ
    쉴러PER 및 AXP 보면 진짜 그럴 것 같기도 하고 말이죠.ㅎㅎ

    답글삭제
    답글
    1. 가격만을 본다면 중국보다는 나스닥이 거품일 가능성이 높지만 그런 관점에서는 코스닥도 만만치 않아 보이네요.
      중국의 일대일로, aiib, 위안의 국제화, 금융시장개방, 국영기업 민영화가 투자에 기반한 중국의 성장을 지속하기 위한 일관된 전략이라면 주식시장을 안정적으로 키우는 것이 중요할테고 그런 점에서 어젯밤에 벌어진 중국의 진정책에 대한 전세계금융시장의 난리굿은 언제라도 튀고 싶은 사람들의 자연적인 반응으로 보입니다. 그린스펀풋, 버냉키풋에 이어 베이징풋이라는 표현을 쓰던데 만약 성공적이라면 얼마나 현상황이 지속될지 예단하는 것은 무의미하고, 96년 미국에서 비이성적과열에 대한 경고가 나오고 4년 갔던 것과 비교할만 하지 않을까 싶네요.
      최근 외부의 과열, 거품도 주목할만한 문제이기는 하지만, 달러도 위안도 원도 강한데 한국시장만 유난히 저평가된 것이 더 심각한 문제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삭제
  5. 중국, 홍콩 시장에 작년에 많이 들어가 둬서, 걱정이 많았는데, 듀프레인님 답댓글을 보니, 중국은 그나마 안심이네요.
    코스피는 아직 개인들중에는 관심있게 보는 사람도 거의 없더군요.
    블로거님 덕분에 경제 지식이 조금씩 쌓여가는 것 같아서 고맙습니다.

    답글삭제
    답글
    1. 중국에서 공개하는 지표는 믿을 것이 전혀 없는 블랙박스라고 보기 때문에 최근 몇년간 안심할 만한 적인 한번도 없었습니다. 댓글 어디를 보고 그렇게 생각하시는지 모르겠습니다. 중국은 내릴수도 돌아갈수도 없으니 기호지세라는 말이 적당하지 않나 싶네요.

      삭제
  6. 좀 된 기사인데 WSJ 기사에 따르면, 한국의 환률이 과거 통계와 다르게 움직이는 원인은 과거에는 미국유럽쪽에 수출을 많이 하였기 때문에 그쪽과 연동이 되었다면, 지금은 중국 그리고 동남아나 신흥국쪽에 수출을 분산해오고 있기 때문에 과거와는 다른 움직임을 보이는 것이라는 주장을 하더군요. 동남아 신흥국쪽의 높은 성장률이나 수출증가율이 과거와는 다른 움직임을 보이게 하는 원인이라는데 좀 오래된 기사여서 본문을 찾기는 힘들지만, 취지는 그러했던 걸로 기억납니다.

    답글삭제
    답글
    1. 기간이 적어도 1년 혹은 반년쯤 된 기사였던 걸로 기억하니, 근자의 환률 움직임에 대한 견해로 봐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삭제
    2. 최근 몇주를 투자해서 자료를 리뷰한 소회로는 환율, 외환보유고 관련해서 12년정도부터 자본금융수지의 방향이 바뀐 것이 환율흐름을 이해하는데 중요해보이고, 경상수지의 지속적인 증가는 금융위기 이후 변수보다는 상수에 가까왔던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 동남아와의 교역증가는 이미 2000년대 초반부터 진행된 것이라 최근의 변화로 봐야한다면 다른 이유가 있을 것 같네요. 삼성의 베트남에 대한 투자가 증가하는 것처럼 직접투자가 증가하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라고 보이기는 하네요.

      삭제
  7. 조선일보, 앤디 셰 인터뷰가 눈길을 끄네요.

    -
    앤디 셰박사가 2014년11월12일 하나대투증권 주최 강연을 위해 방한했습니다.
    중국경제에 대해선 이제 막 디플레이션 국면에 접어들었기 때문에 투자할 타이밍이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후강통시행으로 유입될 글로벌 자금 규모도 상하이 증시 시가총액의 1-2%에 불과하기 때문에 즉각적인 증시부양효과는
    없을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산업전반에 퍼져있는 공급과잉이 어느정도 해소되면 중국정부가 세금인하를 통해 경기부양에
    나설 수 있는데 이때가 "평생 한번 올까 말까 한" 투자 타이밍이 될거 라고 내다봤습니다.


    답글삭제
    답글
    1. 중국의 선*인같은 사람이라고 생각하지만, 가끔은 남들은 모르는 데이타를 혼자 보나 싶을 때도 있네요. 선모처럼 데이타를 고르는 것 같지는 않은데 점쟁이같이 얘기하니 종잡을 수가 없네요. 그래도 전*서보다는 덜 무당같다고 봅니다. 사실 최근에는 저런 장사꾼들의 글 자체를 피하고 필요하면 그냥 데이타를 찾아봅니다.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