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4월 16일 목요일

이제 시작 us investment cycle 20200416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16/09/us-investment-cycle-20160905.html

윗 글에는 16년 기름값이 저점을 확인하고 디플레이션 우려가 사라지면서 다시 경기확장으로 진입하던 시절의 그림이 담겨있다.

16년의 제조업경기 저점에서도 장단기 금리차, 실업률은 침체와는 거리가 상당히 있었다.
반면 18년 이후 19년까지는 대부분의 지표들이 언제든지 침체가 와도 될 정도의 준비가 되어 있었다.

미국 경기 순환 - gdp gap, 실업률, 장단기금리차, 설비가동률, 투자, 기업이익, 대출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19/11/gdp-gap.html

이것은 5개월 전의 그림이다.
미국에 침체가 오지않는 것이 연준이 끝까지 인정하지 않았던 QE의 효과인지는 알 수 없으나, 역사적으로 긴 경기확장이 유지되고 있었다.



미국 투자 싸이클은 단순하지만, 일반적인 인식과는 다른 점이 있다.

경기 초반 물건이 팔리기 시작하면 설비가동률이 증가하고, 이익이 증가하고, 자본에 기반한 투자가 증가한다.
경기 후반 활황이 지속되면 이익이 아니라 대출(부채)에 기반한 투자가 증가한다.
설비가동률이 꺾이고 투자가 꺾이고 나면 부채도 감소하기 시작하고, 이때는 이미 침체에 진입했을 가능성이 높다.

이익을 예상하고 부채를 내서 투자를 하는 것은 개별기업의 행태를 설명하는데는 그럴 듯하지만, 집단적인 행동을 설명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






지금은 어떤 국면인가?
산업생산이 급락하면서 설비가동률이 급격히 꺾였다.
그러나 설비가동률의 고점은 한참 전이고, 민간의 고정자산투자가 꺾인 것도 이미 확인할 수 있다.
기업의 이익이 증가를 멈춘 것은 그보다 한참 전이다.

코로나로 인한 연준의 양적완화로 상업/산업대출이 급증한 것은 2008년의 대출 급증과 상통한다.
남은 일은 부채가 감소하기 시작하는 것이고, 일단 부채 감소가 시작하면 몇 년 동안 지속된다.

이전 연준 의장이 코로나에 경기 둔화는 v자 회복이 가능하다고 허언을 하다가 말을 바꾸었다.
돈을 풀어도 침체 싸이클의 완성에는 시간이 필요하다.
침체 기간 자체는 빠르게 몇 분기 만에 지나갈 수 있지만, 고용과 생산과 투자에 나타나는 깊은 골짜기는 그보다 몇 배 길게 나타난다.

고용에도 산업생산에도 소비에도 이제 3월 한달의 흔적이 나타나고 있다.
코로나가 발생하기 전에 미국 경제는 침체에 진입할 모든 준비를 하고 있었다.
내년 언제 쯤 위의 지표에 회복의 기미가 보인다면 과거의 싸이클과 비교시 특별하지 않은 정상적인 싸이클이라고 볼 수 있게 될 것이다.




2020년 4월 6일 월요일

미국 코로나 고점 가능성 us covid-19 logistic model 20200406



미국, 유럽 고점 지연 us covid-19 logistic model 20200401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20/04/us-covid-19-logistic-model-20200401.html
유럽, 미국의 신규 확진자가 동시에 주춤한 날이다.
한국의 신규 확진자까지 급격히 감소했으니 오랜만에 행복 회로를 돌려본다.




한 달 넘게 증가추세에서 벗어난 적이 없던 미국 신규확진자가 처음으로 크게 감소했다.
미국의 이동제한이 효과를 발휘한 것일 수도 있지만 지금 이유를 알 수는 없다.


유럽의 나라들도 며칠 간 신규 확진자의 횡보 추세를 보이고 있다.
영국, 프랑스가 초기 이탈리아, 스페인의 역할을 떠맡을 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일단은 비슷한 범위에 있다.

https://www.france24.com/en/20200404-france-reports-441-coronavirus-hospital-deaths-in-most-recent-24-hour-periodThis brought the total number of deaths to 7,560 since the epidemic began, top health official Jérôme Salomon told reporters. Of these, 5,532 died in hospital and 2,028 in old age facilities.

프랑스가 노인 거주 시설의 사망자 2천 명 이상을 통계에서 제외했다가 나중에 공개해서 의심을 받고 있지만, 아직 스페인 급은 아닌 모양이다.
일단 중국처럼 자료에서 냄새가 나는 것은 사실이다.


100명 전후를 계속 유지하던 한국의 신규확진자도 50명 아래로 내려갔다.


이 분위기를 살리려면 거리두기, 폐쇄, 차단, 봉쇄, 추적, 격리 등의 험난한 과정을 적어도 2주 이상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 대부분 나라의 과제이다.





최대 확진자 67만명, 신규확진자 고점 4월 5일
최대 사망자 5만3천명, 신규사망자 고점 4월 13일


미국 모델은 며칠 전과 대동소이하다.
미국 정부의 사망자 예상치 10만-25만보다 훨씬 낮은 수준에서 큰 변화 없다.


미국 정부는 내가 볼 수 없는 특별한 데이타를 보고 있을 가능성도 있지만, 아직은 갑자기 사망자가 4-5배로 증가할 이유를 찾기 어렵다.
프랑스조차도 숨겨놓았던 사망자가 아직까지 2-3천명 정도이다.
미국이 2-3만의 사망자를 갑자기 증가시킨다고 해도 현재는 10만 이상의 사망자를 상상하기 어렵다.


4월말까지 전 세계가 코로나 확산 방지에 동참한다면 한국의 확진자가 낮게 유지될 가능성도 있다.






2020년 4월 4일 토요일

미국 실업률 us unemployment 20200403


실업률이 3.5%에서 4.4%로 증가했다.
전년 대비 0.6%p 증가해서 침체의 기준을 넘어섰다.


미국 실업률에 대한 느낌 us unemployment rate 20200327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20/03/us-unemployment-rate-20200327.html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에서 대략의 실업률에 대한 감을 잡을 수는 있지만, 정확한 실업률을 알 수는 없다.
취업자의 기준, 실업자의 기준이 다양하고 어떤 기준을 쓰는지에 따라 지표는 상당히 다른 모습을 보이게 된다.


아래에 노동가능인구 (=취업자+실업자), 취업자, 실업자 추이를 확인했다.
실업률은 실업자를 노동가능인구로 나눈 것이다.





https://fred.stlouisfed.org/graph/?g=qCHS


노동가능인구는 164,546천명에서 162,913천명으로 1,633천명 감소.
취업자는 158,759천명에서 155,772천명으로 2,987천명 감소.
실업자는 5,789천명에서 7,140천명으로 1,353천명 증가.

이 숫자들은 기업이 아니라, 가계를 대상으로 조사한 것이라서 70만명이 감소한 total nonfarm payroll과 취업자 변화가 크게 다르지만, 이번에는 실제 고용 상황을 좀 더 빠르게 반영하는 것처럼 보인다.

감소된 취업자 중 45%는 실업자가 되었고, 55%는 취업을 포기한 것으로 간주되어 비경제활동인구에 포함되었다.

한 달 후에 발표될 실업률에는 지난 2주 사이에 증가한 천만의 실업자와 앞으로 2주간 증가할 실업자까지 포함될 것이다. 한 달 동안의 실업자 증가가 2천만- 3천만 사이라고 아주 넓게 보면 4월 실업률은 10%중반에서 후반을 기록하게 된다.

또 금융위기 시와는 달리 노동가능인구의 감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어서, 실업률의 분모감소가 실업률 증가에 기여한다고 보면 20%도 불가능한 것이 아니다.

고용이 원래대로 회복되려면 고용감소 기간의 3-4배 이상이 걸리고, 위 그림에서 확인가능한 금융위기 전후에도 다르지 않았다.

전무후무한 상황이 진행 중이고, 아직은 악화되고 있기 때문에 6월까지만 고용감소가 나타난다고 봐도 회복하려면 최소 내년 상반기까지 기다려야 할 것이다.
천재지변이라서 V자 회복이 가능하다는 일부 전문가들의 상상력에 공감하기 어렵다.



https://fred.stlouisfed.org/graph/?g=qCHT


취업자 지표 3가지 전년 대비 증감.

앞의 두개는 기업 대상 조사이고, 뒤의 employment level은 가계 대상 조사.
민감하면 실제 변화를 빠르게 반영할 수 있지만, 노이즈가 커서 오류가 큰 것이 단점이나 이번에는 그럴 일이 없을 것이다.








2020년 4월 1일 수요일

미국, 유럽 고점 지연 us covid-19 logistic model 20200401


코로나 새 국면 covid-19 new cases 20200327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20/03/covid-19-new-cases-20200327.html
이탈리아 피크아웃, 미국 초기국면 italy and US, covid-19 logistic model 20200325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20/03/italy-and-us-covid-19-logistic-model.html

이탈리아의 신규확진자가 고점을 확인하고 감소추세로 접어드는 동안 스페인의 신규확진자가 하루 만 명을 넘어섰다.
프랑스의 신규확진자도 지속증가하고 있어서 유럽의 코로나 대유행이 끝나려면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수 있다.
왜 스페인의 확진자, 사망자 증가가 빠르게 오랫동안 유지되고 있나 살펴보면 다른 나라들의 포커스는 하나인데 비해 두 개의 확산 포커스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 특별하다.


중국의 우한/후베이.
한국의 대구/경북.
이탈리아의 밀라노/롬바르디아.
프랑스의 파리.
영국의 런던.
미국의 뉴욕/뉴저지.


이렇게 하나의 대도시와 연결된 지역에서 수 만 명 규모의 확진자가 집중해서 발생한다.
https://www.abc.es/sociedad/abci-mapa-coronavirus-espana-evolucion-comunidades-202003251848_noticia.html
반면 스페인에는 마드리드와 카탈루냐에서 각각 수 만 명의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다.


미국에는 확진자가 만명에 미치지 못하나 조만간 넘어설 수 있는 주가 대여섯개에 달한다.
부활절까지 미국을 다시 열겠다는 트럼프의 계획은 철회되었지만, 현재 미국의 상황은 4월까지 높은 강도의 이동 제한을 유지해도 어떤 상황이 될지 짐작하기 어렵다.





신규확진자 추이를 보면 미국, 스페인, 프랑스가 며칠 만에 다시 고점을 넘기고 있다.
이탈리아, 독일은 둔화조짐을 보이고 있지만 스페인, 프랑스같은 상황을 피할 수 있을지 알 수 없고 영국, 네덜란드, 벨기에, 스위스 등의 상황도 여전히 심각하다.

한국의 확진자 수는 집단감염, 지역사회의 산발적 감염, 해외 유입이 골고루 기여하면서 100명 전후 수준을 2주 이상 유지하고 있다.
3파의 크기가 커지지도 않고 있지만, 사라진 것도 아니다.




미국의 확진자 고점이 오늘, 3일 후, 9일 후라고 가정하고 모델링한 것이다.
확진자가 백만명을 넘기는 것이 비현실적인 시나리오는 아니다.





최대 확진자 660,000명, 고점 4월 4일
최대 사망자 45,000명, 고점 4월 11일
최종 치사율 6.8%

이런 시나리오에서 5월부터 미국이 원래의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을까?
쉽지 않을 것이다.

만약 뉴욕주와 인근 지역 이외에서 대규모의 확산이 발생하면 고점이 더 지연되고 확진자, 사망자 규모도 상응해서 증가할 것이다.
그런 경우 6월의 경제활동 정상화도 장담하기 어렵다.

지난 주말 트럼프가 뉴욕주를 격리(봉쇄?)하려다 저항에 부딪혀서 철회했지만, 한 두달 후에도 해결기미가 보이지 않으면 그 시점에 문제가 되는 지역을 봉쇄하고 미국경제를 정상화하려는 시도가 다시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2020년 3월 27일 금요일

코로나 새 국면 covid-19 new cases 20200327






코로나가 시작된 이후 전세계의 코로나 선발국에서 신규확진자가 동시에 전고점을 넘기는 강력한 증가세가 나타났던 기억이 없다.
오늘은 전세계 코로나 확산이 새로운 국면으로 넘어가는 첫날이 될 수 있다.


미국은 이제 중국, 이탈리아를 넘어서 유일의 강대국 지위를 다시 한번 드러내고 있다.
이탈리아는 5일 전의 고점에 육박하고 있고, 이란은 2주 간의 횡보를 지나 다시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유럽은 스페인을 포함 다수 국가에서 동시에 고점을 넘기고 있다.
특히 스페인은 확진자, 사망자가 이탈리아보다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서 최종적으로 더 큰 희생자가 나올 수 있다.


중국은 확진자 대부분이 해외 유입자라고 주장하나, 우한 포함 여러 지역에서 축소 조작의 의심을 받고 있었고, 당장 내일부터 입국 제한을 실시한다고 한다.
우한을 제외한 지역에서 개선되고 있던 것은 의심하기 어려우나, 여전히 미스테리한 나라이다.


한국의 확진자는 전세계 어느 나라와도 다른 모습을 보이면서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2주째 지속하고 있다.
확진자 3파의 피크가 높지도 않지만, 지속적으로 유지되면서 덩치를 키우고 있다.
해외 유입자 외에 국내발생 확진자가 60-70명대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고, 주로 대구경북 서울경기에서 발생하고 있다.
더구나 고령층 사망자는 감소하지 않고 7-8명 수준을 넘나들고 있다.


한국 코로나 3차 파동의 시작 3rd wave, korea covid-19 logistic model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20/03/3-3rd-wave-korea-covid-19-logistic-model.html
한국 코로나 사망자와 치사율 증가 korea covid-19 logistic model 20200324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20/03/korea-covid-19-logistic-model-20200324.html


끓어오르고 있는 유럽, 미국이 우려스럽지만, 상대적으로 잠잠한 중국, 한국이 덜 불안한 것도 아니다.







미국 실업률에 대한 느낌 us unemployment rate 20200327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에 대한 미국 시장의 반응이 열광적이다.
예상보다 적다는 뜻일 수도 있다.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20/03/icsa-vs-unemployment-rate-20200326.html

청구건수와 장기적인 실업률과의 관계는 앞의 글에서 알 수 있지만, 실제로 실업률이 10%, 20%, 30%로 올라가면 실업자가 얼마나 나오는지, 그런 숫자가 나오려면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는 얼마가 되어야 하는지를 "대충" 생각해본다.




실업률은 노동가능인구(빨간색 숫자) 중 실업자(주황색 숫자)의 비율이다.
실업률의 증가는 침체 전에 시작해서 침체가 끝난 후 상당기간 유지된다.

1-2년의 기간 동안 노동가능인구의 숫자는 대개 크게 변하지 않는다.
그러면 실업자의 증가는 취업자의 감소와 교환된다.
비경제활동인구로 빠져나가는 숫자도 있지만, 대충 계산할 때는 필요없다.

지금 노동가능인구는 1억 6500만명. 현재 실업자는 580만명.
실업률 10%에서 실업자는 1650만명.
실업률 20%에서 실업자는 3300만명.

실업률 10%에 도달하려면 1070만명의 실업자가 증가해야 하고,
실업률 20%에 도달하려면 2720만명의 실업자가 증가해야 한다.

일주일에 실업자가 300만명씩 증가하면 4주 이내에 10%에 10주 이내에 20%에 도달한다.
3월 실업률은 크게 증가하지 않겠지만, 4월 실업률이 10%를 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만약 일부의 주장처럼 금주에 실업수당 처리의 병목으로 숫자가 과소평가된 것이라면 다음주에는 증가할 수도 있다.
요즘같은 시절에 실업률 10%에는 아무도 반응하지 않겠지만, 금융위기에 가장 높았던 실업률이 10% 수준이다.

문제는 5월 실업률이 될 것이다.
만약 미국에서 코로나가 4월 중순 이내에 고점을 확인하지 않으면 비슷한 수준의 실업이 이어질 수 있다.
그러면 10%후반에 도달하고, 이미 대공황급이다.

5월까지 코로나가 맹위를 떨친다면 확진자는 미국 국민의 몇 %는 넘을 것이고, 사망자는 확진자의 몇%가 될 것이다. 이런 시나리오에서 정상적인 경제활동은 불가하고, 대부분 쉬고 있을테니 실업률같은 숫자에는 이미 관심이 떠났을 것이다.

당장 며칠 후의 미래도 알 수 없지만, 300만이 넘는 초월적인 실업수당신청자 숫자에 안도하는 것은 미국시장이 실업률 10%정도의 시나리오는 각오하고 있었다는 것이고, 이런 추세로는 그 이상에 도달하지 않는다고 믿는다는 뜻일 것이다.

그럴려면 다음 주에 청구건수의 감소가 나타나야 한다.
만약 300만 이상의 숫자를 또 보게 된다면 이유가 수당신청의 병목으로 인한 지연때문이든, 코로나가 확산되어서 경제활동이 더 어려워서이든 안도할 수 있을지 의심스럽다.





요점

미국이 많이 맞아서 맷집이 매우 강해졌다.
그렇지만 매 앞에 장사 없다는데 또 맞을까 내가 겁난다.





2020년 3월 26일 목요일

icsa vs unemployment rate 20200326





신규실업수당 청구 328만건은 실업률로 치면 약 50%에 해당.
다음 주부터 감소하고 나중에 조정하게 되면 좀 더 감소하겠지만, 30%의 실업률도 가능할 듯.
그러면 대공황 당시의 실업률 25%와 비슷한 수준.



한 달 전의 그림과 비교하면 상전벽해.




실업률저점과 장단기금리차 역전이 침체에 선행한다는 사실은 이번에도 관철되는 듯.



---



---